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스리랑카 보살왕 이념의 형성과 전개 -- 대승불교 영향설에 대한 반론=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Bodhisattva Ideology for Kingship in Sri Lanka: A Counterargument to the Mahāyānic Influence on the Concept of Bodhisattva-king
著者 김한상 (著)=Kim, Han-sang (au.)
掲載誌 불교학보=佛教學報
巻号v.90 n.0
出版年月日2020.03
ページ137 - 157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サイト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HK연구교수
キーワード보살=Bodhisattva; 베뚤라와다=Vetullavāda; 둣따가마니=Duṭṭagāmaṇī; 시리상가보디=Sirisaṅghabodhi; 벳산따라=Vessantara; 끼르띠 스리 라자심하=Kīrti Śrī Rājasiṃha; 마하삼마따=Mahāsammata
抄録이 논문은 스리랑카 불교에서 보살이상이 어떻게 왕권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탐색한다. 일부 학자들은 왕권에 영향을 미친 보살이상을 종종 대승불교에 돌리고 있다. 비록 스리랑카 최초의 보살왕이라 알려진 시리상가보디(Sirisanghabodhi)가 대승불교가 처음 스리랑카에 모습을 드러낸 보하리까 띳사 (Vohārika Tissa)의 통치기보다 15년 뒤에 왕위에 오르긴 하였지만, 그가 대승불교의 사상적 영향을 받았다거나, 대승불교와 접촉이 있었다는 직접적 증거는 거의 없다. 대승불교는 보하리까 띳사뿐만 아니라 그 이후의 싱할리즈 왕들에 의해서도 주기적으로 탄압을 받아서 그 문헌들은 불태워지고 추종자들은 인도로 추방되었다. 그러한 상황에서 대승불교의 사상이 싱할리즈 왕들에게 미친 영향은 적어도 서기 3세기에는 매우 미미하였을 것이다. 비록 대승 문헌들에서 보살을 가리키는 동의어로 종종 사용되는 마하삿따(mahā-satta)가 시리상가보디에게 주어지긴 했어도, 그 용어는 대승불교에서만 사용되지 않는다. 사실 이 용어는 테라와다와 대승불교와 밀교만의 고유 용어가 아니라 모든 불교전통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3세기 시리상가보디보다 훨씬 이전 인물인 둣따가마니(Duṭṭagāmaṇī)에게서도 보다 유화적인 방식으로 왕권과 보살이상 간의 관계를 엿볼 수 있다. 보살왕 이념은 붓다가 싯닷타(Siddhattha) 태자로서의 삶뿐만 아니라 벳산따라(Vessantara) 왕이었을 때 보살의 경력에도 그 기원을 두고 있다. 극심한 가뭄을 물리치기 위해서 자신의 목숨을 건 시리상가보디와 극심한 가뭄을 물리치기 위해서 깔링가(Kāliṅga)에 자신의 코끼리를 내어준 벳산따라와 놀랄 만큼의 유사성이 발견된다. 그리고 보살왕 이념은 후대 빨리 주석서와 연대기에서 보살과 동일시되는 신화적 군주인 마하삼마따(Mahāsammata)에서도 나타난다. 그러므로 스리랑카의 보살왕 이념은 테라와다 전통 내부에서 발전된 보살 이상의 직접적 결과이고 정치와 종교를 이어주는 가교 역할을 해왔다고 말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how the bodhisattva concept had its influence on the evolution of kingship in Sinhala Buddhism. The bodhisattva ideology for kingship is often ascribed to Mahāyāna Buddhism by some recent scholarship; however, I disagree with this: I do not think that the conception of the bodhisattva-king was influenced by certain Mahāyāna doctrines, such as Vetullavāda. Although the first bodhisattva-king, Sirisaṅghabodhi, ascended the throne 15 years after the reign of King Vohārika Tissa, who at first encountered the appearance of Vetullavādins on the island, there is little direct evidence that Sirisaṅghabodhi was influenced by Vetullavāda thoughts nor had a connection with Vetullavādins. Vetullavāda was periodically repressed by later kings including King Vohārika Tissa himself, with its texts burnt and its advocates banished to India. In such a condition, Mahāyāna's impact on Sinhalese kingship (at least during the 3rd century) was almost insignificant. Although the term mahā-satta given to King Sirisaṅghabodhi is a synonym often found in the Mahāyāna scriptures for the word bodhisattva, it is not used exclusively in Mahāyāna Buddhism. This is a pan-Buddhist term which is not specifically Theravāda, Mahāyāna, or Vajirayāna. Even before the 3rd century, we can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kingship and the bodhisattva ideal expressed in more tempered ways, as in the case of King Duṭṭagāmaṇī. The bodhisattva ideology for kingship has its source in the bodhisattva career of Gotama Buddha as depicted not only by his life as Prince Siddhattha but also by his penultimate earthly life when he was King Vessantara. There is a remarkable parallel between King Sirisaṅghabodhi, who risked his life to avert a devastating drought, and King Vessantara, who gave away his loyal elephant to avert a drought in Kāliṅga. Another aspect of the bodhisattva ideology for kingship is reflected in the legendary king Mahāsammata, who is identified as a bodhisattva in the later Vaṃsa literature and Pāli commentaries. Thus, the bodhisattva ideology for kingship is a direct development of the bodhisattva ideal within Theravāda tradition, and the bodhisattva ideal stands as the bridge between politics (kingship) and religion (Buddhism) in Sri Lanka.

目次Ⅰ. 들어가는 말 139
Ⅱ. 스리랑카의 베툴라와다(Vetullavāda) 140
Ⅲ. 시리상가보디(Sirisaṅghabodhi)와 둣따가마니(Duṭṭagāmaṇī) 그리고 벳산따라(Vessantara) 144
Ⅳ. 스리랑카 왕권과 마하삼마따(Mahāsammata) 147
Ⅴ. 나가는 말 151
ISSN12261386 (P)
DOI10.18587/bh.2020.3.90.137
ヒット数79
作成日2022.08.14
更新日期2022.08.14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7476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