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대령의식의 대상과 의미 -- 백파긍선의 『作法龜鑑』을 중심으로=The Object and Implications of the Ceremony of the Spiritual Meeting -- Focusing on Baekpa’s Jagbupguigam (The Best Exemplar for Ritual Procedures)
著者 황갑수 (著)=Hwang Khap-soo (au.) ; 정승석 (著)=Jung, Seung-suk (au.)
掲載誌 불교학보=佛教學報
巻号v.89 n.0
出版年月日2019.12
ページ73 - 98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サイト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황갑수: 동국대학교 대학원 인도철학과 박사과정 수료
정승석: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교수
キーワード대령; 재대령; 대령소; 삼혼칠백; 혼백; 제사감격설; 고혼청; Ceremony of Meeting Spiritual; Three Spiritual; Seven Physical Souls; Jagbupguigam=the Best Exemplar for Ritual Procedure; Spirit; Buddhist Ritual; Daoism
抄録대령은 영가를 청하여 모시는 의식이다. 대령을 통해 불공이나 관욕, 시식 등의 다음 의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대령의식의 내용은 착어 등의 가르침을 통해 삼혼 칠백이라 불리는 번뇌장의 허망함을 인식시키고 진성을 깨닫게 한다. 대령은 번뇌를 소멸하고 지혜와 해탈을 성취하게 하는 내용이다. 대령의식에서 영가를 규정함에 도교의 삼혼 칠백의 개념이 불교적 개념으로 재해석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것은 <불설지장보살발심인연시왕경>에서 제8식인 아뢰야 식에서 삼혼의 심성이 생겨났음을 언급한 바 있고 칠백의 성상(性相)은 제 6식과 관련하고 있음을 지시하고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삼혼칠백의 성격을 번뇌장으로 규정한 것이다.
한편 유교에서는 혼백의 성상(性相)을 ‘굴신왕래(屈伸往來)’의 개념에서 ‘제사감격설’로 발전시켜 가며 제사에 대상이 감응하는 논리에 정당성을 부여하고 있다. 대령의식에서는 ‘부앙은현현(俯仰隱玄玄)’과 ‘환래하난(喚來何難)’으로 영가를 규정하고 있는데 이점은 불교의 천도재에서 영가를 모셔오는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교의 감격설(感格說)과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다. 대령의식에서 영가 제도의 원리는 위로는 삼보께 귀의하여 그 위신력에 의지하여 극락왕생의 길을 열고 아래로는 삼교(三敎)의 방편으로 그 바탕인 지혜를 갖추는 방식이다. 대령의식에서는 첫째, 마음자리를 깨닫는 방법은 대령의식 전체에서 삼교(三敎)의 방편을 두루 활용하고 있다. 둘째, 삼보에 대한 귀의와 정토 신앙을 통해 영가가 구제되는 논리는 불교의식의 전반에 걸쳐 수시로 나타난다. 이것은 정토신앙의 회복이며 한국불교가 의식을 통해 추구하려는 궁극적인 목적이다.
요컨대 대령의식은 착어 등의 다양한 교법(敎法)을 통해 어리석음의 집착을 끊게 하고, 양구와 선게 등의 선법(禪法)으로 불성의 정견을 획득하게 하며, 진언과 수인 등의 가지법(加持法)을 통해 즉신 성불과 해탈의 방편을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object and meaning of the ceremony of the spiritual meeting 對靈 by focusing on the Jagbupguigam (The Best Exemplar for Ritual Procedure 作法龜鑑) written by Baekpa Geungsun (白坡 亘璇, 1767-1852). The ceremony of meeting spiritual is a ritual to ask for a spiritual family. This ritual can be proceeded by such rites as the grand meal offering to the buddhas, bathing the buddhas, and meals for the buddhas. The content of the meeting spiritual is to realize natural characteristics by the such teachings as agglutinative language 着語, which can be lead to be vanity for human beings through the obstacles of emotional disturbance (kleśa āvaraṇa 煩惱障) so-called three spiritual and seven physical souls 三魂七魄 in Daoism. So, the rite can be said to delete all
defilements and accomplish wisdom and liberation.
In Buddhist rituals, however, the definition of the spiritual reinterprets the concept of the
three spiritual and seven physical souls from Daoism.
In The Scripture of Kṣitigarba Bodhisattva Giving Rise to the Circumstances of the Ten
Kings (佛說地藏菩薩發心因緣十王經), there is evidence that the three spiritual souls is derived from the concept of storehouse consciousness (ālayavijñāna 阿頼耶識). In addition, this scripture also mentions that the seven physical souls are related to the concept of mental consciousness (manovijñāna 意識).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three spiritual and seven physical souls are obstacles of emotional disturbance.
On the other hand, the concept of the nature of the spirit in Confucianism is developed and changed from the flexing and stretching to effervescence of sacrifice that can be legitimated for performing people the rites. In the ceremony of meeting spiritual, spirit can be defined as “When you face down, you hide and appear, this one that is bright and clearly heard [俯仰隱玄 玄]” and “What does it mean when it comes to calling? [喚來何難].” From this perspective, it can be founded that the procedure of calling spirit in Buddhism is similar to emotion theory in Confucianism.
The principle of the spirit’s salvation in the ceremony of meeting ritual consists of two methods. One the one hand, in the upper level, it can be lead for common people to experience a peaceful death in Buddhist heaven 極樂往生 by taking the three refuges based on miracle power. On the other hand, people can acquire wisdom by the useful method of the three teachings, namely, theatrical teachings 敎法, teaching of meditation practice 禪法, and practical tantric teaching 顯法. The theatrical teachings are intended to help people eliminate the suffering of ignorance through practicing agglutinative language. Through the teaching of meditational practice, such as keeping silent without answering 良久 it can be possible to achieve Buddhahood. Through tantric teaching and the repetition of mantras 嗔言 or performing ritual gestures with the hands and fingers (mudrā, 手印) during meditation practice it can be possible to accomplish the useful method of immediately becoming
目次I. 서론 75
II. 대령의 대상인 영식(靈識)과 혼백(魂魄) 76
III. 대령의식의 내용과 의미 84
V. 결론 93
ISSN12261386 (P)
DOI10.18587/bh.2019.12.89.73
ヒット数102
作成日2022.08.16
更新日期2022.08.16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7642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