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초기 인도불교의 고행 : 느낌과 갈애 간의 조건적 관계를 중심으로=Self-mortification in Early Indian Buddhism: Focusing on Conditional Relation Between Feeling and Craving
著者 김한상 (著)=Kim, Han-sang (au.)
掲載誌 불교학보=佛教學報
巻号v.87 n.0
出版年月日2019.06
ページ9 - 29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サイト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HK연구교수
キーワード고행=tapas=Asceticism; 감각적 욕망에 대한 갈애=kāma-taṇhā=Craving for sensual pleasure; 존재에 대한 갈애=bhava-taṇhā=Craving for existence; 비존재에 대한 갈애=vibhava-taṇhā=Craving for non-existence; 잠재성향=anusaya=Latent tendency; 상견=常見=sassata-diṭṭhi=Eternality-belief; 느낌=vedanā=Feeling
抄録이 논문에서 필자는 느낌(vedanā)과 갈애(taṇhā) 간의 조건적 관계를 중심으로 붓다가 비판한 고행을 살펴본다. 인도의 종교적 전통에서 따빠스(tapas)라고 알려진 고행은 해탈(mokṣa)에 이르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서 널리 받아들여졌다. 붓다 당시 자이나교도와 아지위까(Ājīvika)들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인 고행은 단식, 극한의 온도에 몸을 노출시키기, 특별한 고통스러운 자세, 제의 자살에 의한 죽음이었다. 이들이 고행을 실천한 이유들 가운데 하나는 몸이 감각적 욕망의 근원이기 때문에 감각적 욕망을 단절하기 위해서 고행을 통해서 몸을 괴롭혀야 한다는 생각이다. 당대의 고행자들과 마찬가지로 붓다도 감각적 쾌락에 대한 탐닉(kamāsukhallikānuyoga)이 깨달음에 장애가 된다는 사실을 인정한다. 하지만 붓다는 고행을 깨달음에 이르는 예비조건으로 간주하지 않고 이를 비판하였다. 왜냐하면 몸은 수행을 하는데 꼭 필요한 도구이기 때문에 이를 학대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감각적 욕망이 잠재성향(anusaya)을 지니고 있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그래서 갈애는 법제도나 고행과 같은 외형적 억압으로는 근절되지 못한다. 고행은 감각적 욕망이 표출되지 못하게 잠시 억누를 따름이며, 고행을 마치고 나온 뒤나 잠시 고행을 중단하여 활기가 회복되면 감각적 욕망은 예전처럼 돌아온다. 고행에서 발생하는 괴로운 느낌은 세 가지 갈애를 증장시킨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 고행자는 괴로운 느낌을 경험하면 고행의 불편함과 고통으로부터 벗어난 편안한 삶을 갈구한다. 이것이 바로 감각적 욕망에 대한 갈애(kāma-taṇhā)와 존재에 대한 갈애(bhava-taṇhā)이다. 고행에서 괴로운 느낌의 경험은 분노의 잠재성향(paṭighānusaya)을 활성화시키고 제의 자살과 같은 폭력적인 지름길로 그러한 느낌들을 억누르거나 회피하려는 시도로 이어진다. 이것이 바로 비존재에 대한 갈애(vibhava-taṇhā)이다. 이와 같이 붓다가 고행을 비판한 중요한 논리적 근거는 자학적 괴로움이 세 가지 갈애의 발생에서 담당하는 능동적인 역할이다. 이는 “갈애는 느낌으로부터 일어난다(vedanā paccayā taṇhā).“라는 연기법의 공식에서 잘 드러난다. 고행은 느낌이 갈애로 발전하는 악순환을 끊는데 이바지하기는 고사하고 그러한 악순환이 계속 반복되도록 한다. 이러한 악순환으로부터의 유일한 탈출구는 느낌을 있는 바른 지혜로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것이다. 그러면 느낌을 자아와 동일시하는 습관에서 벗어나게 되어 마침내 모든 갈애를 소멸한 ‘무아적 인간(selfless person)’이 될 것이다.

Within the present article, I examine self-mortification criticized by the Buddha, focusing on conditional relation between feeling (vedanā) and craving (taṇhā). Self-mortification, generally known in Indian religious tradition as tapas, was widely accepted as a highly effective method of liberation (mokṣa). Commonly accepted ascetic practices by Jain and Ājīvika ascetics at the time of the Buddha were prolonged fasting, exposure to extremes of temperature, the adoption of particularly painful postures, and voluntary termination of life by ritual suicide. One of the reasons behind the self-mortifications prevalent among the ascetics is the idea that the body is the source of craving and thus, in order to eliminate craving, the body is to be mortified. Like contemporary ascetics, the Buddha too recognizes that pursuit of sensual pleasures (kamāsukhallikānuyoga) obstacles on the path of awakening. However, the Buddha does not consider the undertaking of austerities as a necessary prerequisites for liberation and thus criticize it simply because the body as a tool for attaining awakening should not be mortified. What is important here is that sensual pleasure has a latent tendency (anusaya). Thus, craving is not eradicated by suppression such as self-mortification and legal system. Self-mortification may keep the craving for sensual pleasures in check temporarily but the craving remains dormant. After coming out of the practice of self-mortification, or stopping the practice for some time, when vitality returns, the craving for sensual pleasures also return as before. Also it should be noted that painful feeling in the practice of self-mortification reinforces three cravings: the practitioners of self-mortification will crave for comfortable living, free from discomfort and pain of the practice. This is the carving for sensual pleasure (kāma-taṇhā) and the carving for existence (bhava-taṇhā). The experience of painful feeling during the practice of severe asceticism can activate the latent tendency to irritation (paṭighānusaya) and lead to attempts to repress or avoid such painful feeling by violent short-cut such as ritual suicide. This is the craving for non-existence. Thus, I can safely say that a prominent rationale behind the Buddha’s criticism for severe asceticism was the active role of self-inflicted suffering in the arising of three kinds of craving. This can be seen in the formula of dependent origination (paṭicca-samuppāda): feeling conditions craving (vedanā paccayā taṇhā). Self-mortification, far from breaking vicious circle between feeling and craving, circulates it. The only way to escape from that circle is not practicing self-mortifica
目次I. 들어가는 말 12
II. 감각적 욕망의 잠재성향 14
III. 고행의 불편함과 고통으로부터 벗어난 편안한 삶에 대한 갈구 17
IV. 분노의 잠재성향 20
V. 나가는 말 23
ISSN12261386 (P)
DOI10.18587/bh.2019.6.87.9
ヒット数53
作成日2022.08.22
更新日期2022.08.22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8084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