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스리랑카 비구니 승가 소멸에 대한 고찰=Some Observations on the Disappearance of the Theravāda Order of Nuns in Sri Lanka
著者 김한상 (著)=Kim, Han-sang (au.)
掲載誌 불교학보=佛教學報
巻号v.86 n.0
出版年月日2019.03
ページ197 - 218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サイト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한국외국어대학교 HK연구교수
キーワード비구니 승가=bhikkhuṇī-saṅgha=Theravāda Order of Nuns; 아란냐까=araññaka=Forest-dwelling monks; 위자야바후 1세=Vijayabāhu I= King Vijayabāhu I; 쫄라의 침공=Invasion of Cōḷa; 힌두교=Hinduism; 테라와다 불교=Theravāda Buddhism; 수행자의 여성혐오=Ascetic misogyny
抄録이 논문에서 필자는 스리랑카의 비구니 승가의 소멸에 대해 탐구한다. 비구니 승가는 거의 1200년 동안 아누라다푸라(Anurādhapura)에서 번영하였다. 하지만 993년 아누라다푸라가 쫄라(Cōḷa) 침략자들의 손에 넘어가고 아누라다푸라 왕국이 쫄라 제국에 합병되면서 비구니 승가도 사라지게 되었다. 비구 승가도 동일한 운명을 맞이하였지만, 위자야바후 1세(Vijayabāhu I)가 쫄라 침략자들을 몰아내고 나서 복원되었다. 불행하게도 위자야바후 1세와 (빠락끄라마바후 1세를 포함한) 그의 후임 왕들은 비구니 승가 복원을 위한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적어도 미얀마 비문들이 13세기까지 미얀마에 비구니 승가가 존속했음을 입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싱할리즈 왕들과 비구들이 사라진 비구니 승가의 복원에 관심이 없었던 이유는 복합적이지만 대체로 세 가지로 유추해볼 수 있다. 한 가지 이유는 여성의 종교적 실천에 대한 애매모호하고 상충하는 모델을 제시하고 여성의 종속성과 하열한 업을 가리키는 간접적 힌트들이 존재하는 빨리 성전에서 찾을 수가 있다. 또 한 가지 이유는 폴론나루와(Polonnaruwa) 시기에 증대된 힌두교의 반여성주의와 남존여비사상이다. 세 번째 이유는 아란냐까(araññaka) 전통의 대두이다. 이러한 이유들에서 싱할리즈 왕들은 어려운 시기에 제한된 자원들로부터 더 많은 공덕(puñña)을 얻고자 비구 승가를 지원하는 쪽을 선택했던 것 같으며, 비구 승가도 비구니 승가의 존속을 바라지 않았고 싱할리즈 왕들에게 비구니 승가의 복원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권고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In this article, I investigate the disappearance of the Theravāda order of nuns (bhikkhuṇī- saṅgha) in Sri Lanka. The order of nuns flourished at Anurādhapura for about 1,200 years. However, with the fall of Anurādhapura to the Cōḷa invaders in AD 993 and the annexation of the Anurādhapura Kingdom to the Cōḷa Empire, the order of nuns disappeared and became defunct. The order of monks (bhikkhu-saṅgha) also met the same fate but was later revived after King Vijayabāhu I drove away the Cōḷa invaders. Unfortunately, no steps were taken to reestablish the order of nuns by the king or his successors (including King Parakramabāhu I), even though Burmese inscriptions attest that the order continued to thrive there until at least the thirteenth century. The reasons for the Sinhalese kings’ and monks’ lack of interest in resuscitating the defunct order of nuns are complex, but by and large th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One reason may be found in the Pāli Canon, which contains disparate and conflicting models for religious action by women and indirect hints that imply women’s subjugation and inferior karma. Another reason is the implied influence of Hinduism’s anti-feminism and anachronism during the Polonnaruwa period. The other reason is the emergence of the forest-dwelling monks (araññaka), who became very influential on the island from the late Anurādhapura period.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it appears that the Sinhalese kings chose to support the order of monks in order to generate more merit (puñña) from the limited resources in times of difficulty. Also, it is possible that the order of monks did not encourage the existence of the order of nuns, nor did they advise the Sinhalese kings to take the necessary steps to revive the order.
目次I. 들어가는 말 199
II. 테라와다 불교의 남성중심주의적 성향 201
III. 힌두교의 반여성주의와 남존여비사상 206
IV. 아란냐까 전통의 대두 209
V. 나가는 말 212
ISSN12261386 (P)
DOI10.18587/bh.2019.3.86.197
ヒット数33
作成日2022.08.23
更新日期2022.08.23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8107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