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스리랑카 불교의 역사에서 간타두라와 위빳사나두라에 대한 재조명=Rethinking on Gantha-dura and Vipassanā-dura in the History of Sri Lanka Buddhist Monarchism
著者 김한상 (著)=Kim, Han-sang (au.)
掲載誌 불교학보=佛教學報
巻号v.79 n.0
出版年月日2017.06
ページ185 - 208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サイト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강사
キーワード간타두라=gantha-dhura=Task of book; 위빳사나두라=vipassanā-dhura=Task of spiritual insight; 교학=pariyatti=Theory; 실천=paṭipatti=Practice; 아란냐까=araññaka=Forest-dwellers; 가마와신=gāmavāsin=Village-dwellers; 빰수꿀리까=paṃsukūlika=Rag-wearers; 담마까티까=dhamma-kathika=Dhamma-preachers
抄録이 논문은 스리랑카 불교의 역사에서 비구의 두 가지 임무(dve-dhurāni)인 간타두라(gantha-dura)와 위빳사나두라(vipassanā-dura)를 재조명한다. 기원전 1세기에 일어난 빰수꿀리까(paṃsukūlika)와 담마까티까(dhamma-kathika) 사이의 논쟁에서 쟁점은 불교의 근본이 교학(pariyatti)인지 아니면 실천(paṭipatti)인지였다. 논쟁에서 교학이 불교의 근본이라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안타깝게도 많은 학자들은 이 사건이 수행을 거부하거나 수행을 낮추어 보는 것을 뜻하며, 스리랑카 불교 역사의 흐름을 바꾸었다고 해석하였다. 이러한 해석은 잘못이다. 우리가 이 사건에 대해서 상호 검증(cross-reference)을 해보면 논쟁은 실제로 벌어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설사 논쟁이 벌어졌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빨리 성전의 보존이 미래에 수행의 지속과 법의 실현(paṭivedha)을 위한 길이라는 공감대가 승가 내에 형성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주석서들(aṭṭhakathā)에 나오는 짝꾸빨라 테라(Cakkhupāla Thera)와 밀락카띳사(Milakkha-Tissa)의 이야기들은 월폴라 라훌라(Walpola Rāhula)와 같은 현대 학자들에 의해 당시 승려들의 수행 거부나 폄하를 암시하는 근거로 종종 인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 이야기들은 간타두라와 위빳사나두라 간의 결합과 균형을 강조하는 것이다. 특히 붓다고사(Buddhaghosa)의 『위숫디막가(Visuddhimagga)』는 중도(中道, majjhima- paṭipadā)의 관점에서 기원전 1세기부터 승가 내에서 구분되기 시작한 비구의 두 가지 임무 간의 긴장을 해소하기 위한 시도이다. 위빳사나두라에 일반적으로 전념하는 아란냐까(araññaka)는 과거부터 지금까지 이상적인 승려로서 간주되어 왔고, 승가의 정화와 통합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왔다. 이 또한 간타두라와 위빳사나두라가 상호 배타적이 아닌 상호 보완적이라는 점을 증명한다. 스리랑카 불교의 역사에서 간타두라와 위삣사나두라 간의 균형을 맞추고자 하는 시도가 주기적으로 있어왔던 것도 이론과 실천의 일치를 강조하는 붓다의 중도적 입장으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승가 내의 자정 작용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article sheds new light on bhikkhu’s two primary duties (dve-dhurāni): the scholarly task of books (gantha-dura) and the task of spiritual insight (vipassanā-dura) in the history of Sri Lankan Buddhist Monarchism. The issue of the debate between rag-wearers (paṃsukūlika) and preachers (dhamma-kathika) in the early first century B.C. was wether theory (pariyatti) or practice (paṭipatti) was the root of Buddhism. The upshot of the debate is that theory is the foundation. Unfortunately, many scholars interpreted this story as indicating an rejection or devaluing of practice, and henceforward it dominates the religious history of Sri Lanka. This is misleading. If we make a cross reference on this story, it is quite likely that the debate did not actually arise. Even if the debate did actually aris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general recognition among the members of the Saṅgha that the preservation of the texts was the way to assure the continuation of practice and realization of dhamma for the future. The stories of Cakkhupāla Thera and Milakkha-Tissa in the commentaries (aṭṭhakathā) have been interpreted by modern scholars like Walpola Rāhula as indicating a rejection or devaluing of practice among the members of the Saṅgha in those days. These stories in fact underscore combination and balance between scholarly task of books and the task of spiritual insight. In particular, Buddhaghosa’s Visuddhimagga should be regarded as an attempt to resolve the tension between two different types of monks that had developed distinct social featur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iddle path (majjhima-paṭipadā). The forest-dwelling monks (araññaka), who are generally engaged in the task of spiritual insight, have been viewed as ideal monk down to the present day, and they have been played an active role in purifying and unifying the Saṅgha. This also strongly suggests that the scholarly task of books and the task of spiritual insight are not mutually exclusive but mutually inclusive. The periodic attempt in the history of Sri Lanka Buddhism to resolve the tension between the scholarly task of books and the task of spiritual insight should be seen as self-purification within the Saṅgha in order to going back to the Buddha’s middle position, which is combination of theory and practice.
目次한글요약 186
I. 들어가는 말 187
II. 빰수꿀리까와 담마까티까 사이의 논쟁 188
Ⅲ. 빨리 주석서들과 『위숫디막가』의 사례들 192
IV. 역사적 사례들 197
Ⅴ. 나가는 말 202
참고문헌 204
Abstracts 207
ISSN12261386 (P)
DOI10.18587/bh.2017.06.79.185
ヒット数211
作成日2022.09.10
更新日期2022.09.10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8569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