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스리랑카 승가에서 아란냐까 전통의 정통성과 연속성=Legitimacy and Continuity of Forest Tradition in Sri Lankan Buddhist Monasticism
著者 김한상 (著)=Kim, Han-sang (au.)
掲載誌 불교학보=佛教學報
巻号v.78 n.0
出版年月日2017.03
ページ9 - 32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サイト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강사
キーワード승원 제도; 아란냐까=araññaka=Forest-dwelling monk; 가마와신=gāmavāsin=Town-dwelling monks; 마하위하라=Mahā- vihāra; 불교 정화=sāsana-sodhana=Purification of the Buddhist order; 랑까의 등불=Laṅkā-dīpa=the lamp of Laṅkā; 장로들의 계 보의 등불=theravaṃsappa-dīpa=the lamps in the lineage of the elders; 까띠까와따=Katikāvata; Buddhist Monasticism
抄録본 논문의 목적은 스리랑카 승가의 아란냐까 전통을 시간적 순서에 따라서 그 정통성과 연속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아란냐까(araññaka) 또는 빰수꿀리까(paṃsukūlika)는 마을과 도시에 사는 가마와신(gāmavāsin)과 대비되는 승려 그룹이다. 비록 아란냐까들은 수적으로 비주류였지만 그들의 소박한 거처로, 버려진 누더기로 만든 분소의를 걸친 빰수꿀리까와 함께 오늘날까지 이상적인 승려로 간주되어왔다. 서기 5세기에 스리랑카의 마하위하라(Mahāvihāra)에서 머물며 테라와다 불교를 성문화한 붓다고사(Buddhaghosa)는 자신의 주석서들이 ‘장로들의 계보의 등불(theravaṃsappa-dīpa)’인 마하위하라 장로들의 교학을 거스르지 않는다고 말한다. 붓다고사 자신도 그러한 존칭으로 묘사되고 있다. 연대기들에서도 아란냐꺄들에게 ‘장로들의 계보의 등불’과 ‘장로들의 계보의 빛(theravaṃsekapajjota)’ 이라는 존칭들이 부여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존칭들은 마힌다 테라(Mahinda Thera)에게 돌아간 랑까의 등불(laṅkā-dīpa)이라는 존칭과 중첩되고 있다. 연대기는 승가가 빠라끄라마바후 1세 왕(King Parākramabāhu I)의 불교 정화(sāsanasodhana)를 통해서 붓다 당시의 승가로 복원되었다고 말한다. 담바데니아(Dam̆badeṇiya) 시대의 아란냐까 수장에게는 ‘땀바빤니의 기치(Tambapaṇṇi-dhaja)’라는 존칭이 주어졌다. 그러므로 필자는 아란냐까 전통의 정통성과 연속성이 등불(dīpa)과 빛(pajjota)과 기치(dhaja)라는 은유법으로 표현되었으며, 아랸냐까 전통이 마힌다 테라뿐만 아니라 붓다에게까지도 소급되는 참된 법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생각한다. 아란냐까들이 숲속 수행에서 얻은 지혜와 세련된 도덕적 감각은 스리랑카 승가가 위기에 처했을 때마다 이를 극복하고 쇄신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주기적으로 고대 숲속 수행의 이상을 재확립하고자 하는 시도는 스리랑카 승가의 역사의 세부적 특징들 가운데 하나이며, 스리랑카 승가의 역동성은 가마와신과 아란냐까 사이의 상호작용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렇게 본다면 오늘날 스리랑카 불교가 기로에 서게 된 이유들 가운데 하나는 가마와신과 아란냐까 사이의 건전한 균형이 깨어졌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지금 시점에서 간타두라(gantha-dhura) 또는 교학(pariyatti)과 위빳사나두라(vipassanā-dhura) 또는 수행(paṭipatti)이라는 두 가지 형태의 전문적 전통을 다시 일원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는 곧 초기 불교의 이상적 승려의 발자취를 따르는 길이다.

The present paper attempts to explore legitimacy and continuity of forest tradition in Sri Lankan Buddhist monasticism chronically. Although forest-dwelling monks (araññaka) may have been numerically insignificant, with their simple wildness dwellings, and the rag-wears (paṃsukūlika), with their robe made out of discarded rags, have been viewed as ideal monk down to the present day. Fifth-century’s Pāli commentator, Buddhaghosa says that his commentaries do not contradict the tenets of the elders who are the lamp in the lineage of the elders (theravaṃsappa-dīpa). He is also described as such. In the chronicles such honorary titles as the lamps in the lineage of the elders (theravaṃsappa-dīpa) and a light of the race of the elders (theravaṃseka-pajjota) which were attributed to the forest- dwelling monks, are overlapped with the lamp of Laṅkā (laṅkā-dīpa) which were attribute to Mahinda Thera. The chronicle states that King Parākramabāhu I established again the Saṅgha as it had been in Buddha’s time through purification of Buddhism (sāsana- sodhana). In the Dam̆badeṇiya period a leader of the Āraññaka fraternity a honourable title of ‘a banner unto the island of Laṅkā (tambapaṇṇi-dhaja)’ was attributed. Therefore, I assert that lamp (dīpa), light (pajjota), and banner (dhaja) are metaphor for legitimacy and continuity of forest tradition, and that the forest tradition is based on a true dhamma traceable directly back to Mahinda Thera and even to the Buddha himself. Meditative insights and refined moral sensitivity of forest monks has been a spiritually nourishing force to Saṅgha in danger. The periodic attempt to re-establish the ancient ascetic ideal is one of the defining features of the history of Buddhist monasticism, and the dynamic of the Buddhist monastic way of life should be viewed as rooted in the interaction between a more settled monastic lifestyle and the ideal of the forest-dwelling wanderer. Perhaps, it was derivation mediating forest-dwelling monks and non-meditating town-dwelling monks of healthy balance that caused Sri Lankan Buddhism finds itself at a crossroa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ify the two main duties of gantha-dhura or learning (pariyatti) and vipassanā-dhura or practice (paṭipatti) among the members of the Saṅgha at this time. This is the way to walk in the footsteps of the ideal monk of Early Buddhism.
目次한글요약 10
Ⅰ. 서론 12
II. 아누라다푸라 시대 13
III. 폴론나루와 시대 19
IV. 담바데니야 시대와 그 후 23
V. 현대 25
VI. 결론 26
참고문헌 28
Abstracts 31
ISSN12261386 (P)
DOI10.18587/bh.2017.03.78.9
ヒット数55
作成日2022.09.10
更新日期2022.09.10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8574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