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변행심소 촉에 대한 후카우라 세이분의 해석=A Study of Hukaura Saybun[深浦正文]"s Interpretations on the Universal Mental Activity Sparśa[觸]
著者 박인성 (著)=Bak, In-seong (au.)
掲載誌 불교학보=佛教學報
巻号v.73 n.0
出版年月日2015.12
ページ117 - 138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サイト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불교학부 교수
キーワード변행심소 촉; 삼화의 인과 과; 근; 경; 변이=variations; 변이의 분별=the discrimination of the variations; 변이의 공능=The function of variations; the universal mental activity Sparśa; the primary function of Sparśa; the object; the sense organ
抄録이 논문은 근대의 일본 불교학자 후카우라 세이분의 변행심소 촉에 대한 해석을 검토하며 비판하고 있다. 후카우라는 호법과 규기의 정의와 해설을 따라가며 촉을 설명하면서도 그들과는 다른 독특한 해석을 제시하고 있다. 이 해석에는 두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는, 후카우라는 촉의 체성을 심을 대상으로 향하게 하는 것으로 이해했다는 점이다. 호법과 규기는 촉의 체성을 심과 심소들을 모두 동일한 대상으로 향하게 하는 것으로 정의했는데, 후카우라는 심소들은 빼놓고 심에만 주목함으로써 촉의 체성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없었다. 둘째는, 후카우라는 변이와 ‘변이의 분별’을 올바르게 구분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호법과 규기에 따르면, 근과 경과 식 셋이 화합할 때 근과 경과 식 모두에서 각각 변이가 일어나는데, 이 변이는 심소들을 발생하게 하는 공능이 있다. 이 경우 심소들은 촉을 포함한 심소들인데도 후카우라는 이를 간과했기 때문에, 변이의 공능이 수등 심소들을 발생하게 하는 촉의 공능 곧 ‘변이의 분별’과 구분된다는 것을 읽어낼 수 없었다. 즉, 후카우라는 촉을 포함한 심소들을 발생하게 하는 변이의 공능과, 촉을 제외한 심소들을 발생하게 하는 ‘변이의 분별’의 공능을 구분할 수 없었던 것이다.


This paper is examining and criticizing a modern Japanese Buddhist philosopher Hukaura Saybun's interpretations on the universal mental activity Sparśa. Hukaura interprets Sparśa on the basis of Darmapāla and Kuiji’s definition and explanation. His interpretation, however, has two drawbacks. The first one is that he understands the primary function of Sparśa as directing the mind toward the identical object. According to Darmapāla and kuiji, the primary function of Sparśa is to direct both the mind and the mental activities toward the identical object, but Hukarura paid attention to the mind alone and couldn't understand the primary function of Sparśa properly. The second one is that he doesn't know the real meaning of difference between variations and ‘the discrimination of variations’. According to Darmapāla and kuiji, when the three, namely the sense organs, the object, and the consciousness are combined together, the variations arise in each of three, and these variations have the function that makes the mental activities appear. Even though these mental activities involve Sparśa, Hukaura overlooked it so he couldn't find out that the variation's function is different from Sparśa's function, namely ‘the discrimination of variation’. In other words, he couldn't diffentiate the function of variations that make the mental activities including Sparśa appear and the function of ‘the discrimination of the variation’ that make the mental acitivities excluding Sparśa appear.
目次〈한글요약〉118
Ⅰ. 들어가기 119
Ⅱ. 촉에 대한 호법과 후카우라의 논의 전문 119
Ⅲ. 삼화와 촉 124
Ⅳ. 변이(變異)와 ‘변이의 분별’ 128
Ⅴ. 맺기 134
〈참고문헌〉 136
〈Abstract〉137
ISSN12261386 (P)
DOI10.18587/bh.2015.12.73.117
ヒット数66
作成日2022.09.11
更新日期2022.09.11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8677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