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심신치유 프로그램 구축을 위한 지관명상(止觀冥想) 수행법 연구=A Study of Jigwan Meditation Performances for the Construction of Mind and Body Healing Programs
著者 이기운 (著)=Lee, Ki-woon (au.)
掲載誌 불교학보=佛教學報
巻号v.70 n.0
出版年月日2015.04
ページ257 - 281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サイト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교수
キーワード지관법문=Jigwan Sutra; 사마타=Samatha; 위빠사나=Vipassana; 삼관=Samgwan=三觀; 지관명상=Jigwanigwan Meditation=止觀冥想; 식문=breathing gate=息門; 색문=observation gate=色門; 심문=mind gate=心門; 소지관= the Jigwan practice method; 지관 수행법; 심신치유; heal performers' minds and bodies
抄録천태(天台)는 사마타 위빠사나 삼관(三觀) 등 근본불교로부터 대승불교에 이르는 수행법들을 총정리하여 지관법문(止觀法門)을 열었다. 그의 지관법은 선정과 삼매를 통해 마음을 한 곳에 모아 심신의 안정을 추구하고 올바른 지혜를 개발해서 깨달음을 얻도록 하는 수행법으로, 일종의 명상 수행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마하지관??에서 “지관명정(止觀明靜)”이라 하여, 마음이 대상을 향하여 반연하는 것을 그치고 관조(관찰함)를 통하여 고요한 마음의 본성을 밝히는 일종의 명상법으로 보고 있다. 이 연구는 천태지관법문이 가지고 있는 지관명상으로 심신치유를 이루기 위하여 어떠한 지관 수행체계를 구축할 것인가를 모색한 것이다.
그의 지관법문은 불교 삼장의 모든 수행법을 수행자의 능력과 상황에 따라 정리한 것이다. 점차지관의 『차제법문』(『釋禪波羅蜜次第法門』)에서는 낮은 단계로부터 높은 단계의 수행법을 닦아서 구경에 이르도록 정리한 수행문이고, 원돈지관의 『마하지관(摩訶止觀)』에서는 불가사의한 원융한 실상의 경계를 체득하는 관법의 수행문이며, 부정지관의 ??육묘법문(六妙法門)??에서는 앞의 두 지관문의 체계를 따르지 않고 단일의 수행체계를 능력과 상황에 맞게 활용하도록 한 수행문이다. 여기에 이들 법문의 중요한 수행법을 요약해서 초심자들의 깨달음을 돕도록 지어진 『소지관(小止觀)』을 포함하여 사종지관이라고도 한다.
근래에 들어 불교의 명상법들이 심리치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 수행법은 호흡을 통한 아나파나와 대상을 관찰하는 위빠사나 수행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천태는 이들 두 가지 명상수행법을 지관법문에서 모두 수용하고 있다. 그리고 그는 이미 지관법문의 방편장 정수장에서 명상을 심신치유에 사용하였다.
심신치유를 위한 지관명상의 수행체계는 다음의 두 가지 방법을 모색할 수 있다. 첫째, 지관명상 수행체계는 지관법문에 있는 방편장과 정수장을 단일의 수행문으로 통괄하여 식문(息門) · 색문(色門) · 심문(心門)의 3문으로 구성하는 것이 유용하다는 것이다. 둘째, 차제지관 방법은 식문 색문의 순서로 단계적 수행체계를 구성하며, 원돈지관은 색문과 심문을 십승관법으로 수행하게 하고, 부정지관에서는 육묘문을 심신의 상태에 따라 10문을 취사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Tiāntái (天台) opened Jigwan Sutra (止觀法門) by comprehensively organizing practice methods ranging from Original Buddhism to Mahayana Buddhism and including Samatha, Vipassana, and Samgwan (三觀). His Jigwan Sutra aims to collect minds in one place, thereby pursuing the stability of the mind and the body and enabling the development proper wisdom to obtain enlightenment: this can be said to be a sort of meditation performances. In Maha Jigwan, he stated “Jigwan is illuminating and stabilizing (止觀明 靜),” presenting Jigwan as a sort of meditations that enables the mind stop responding to objects and illuminates the nature of tranquil mind through observation.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discover a Jigwan system of practice that must be established in order to achieve mind and body healing through Jigwan meditation (止觀冥想), as set forth in the Tiāntái Jigwan Sutra.
Tiāntái's Jigwan Sutra organized all of the performances in the Pali Canon of Buddhism according to the performers' abilities and situations and is commonly called “three kinds of Jigwan” (三種止觀). The three kinds of Jigwan refer to Jeomchajigwan (󰡔釋禪波羅蜜次第 法門󰡕), Bujeongjigwan (󰡔六妙法門󰡕), and Wondonjigwan (󰡔摩訶止觀󰡕). The Jeomcha- jigwan is a performance writing organized so that the performer can begin with low level performances and progress to higher-level performances in order to reach the state of enlightenment. The indefinite Jigwan includes performances that do not follow the systems or writing styles of the order two Jigwan forms, but utilize a single performance system in order to match abilities and situations. These writings, plus the Sojigwan(小止觀) which summarized important performances in these writings in order to help the enlightenment of beginners are called four kinds of Jigwan (四種止觀).
Recently, meditation methods from Buddhism have been widely used in psychotherapy. The performances mainly include Anapana which is implemented through breathing and vipassana that is implemented by observing objects. Tiāntái accommodated both of these meditation methods in the Jeomchajigwan, Wondonjigwan, and Bujeongjigwan. In addition, he already used these two methods of meditation to heal performers' minds and bodies in the Bangpyeonjang (方便章) and Jeongsujang (正修章) of the Jigwan Sutra.
The following two methods may be presented as Jigwan meditation performance systems for mind and body healing. First, as one Jigwan meditation performance system, it is useful to integrate the Bangpyeonjang and Jeongsujang in the Jigwan Sutra into one performance writing and composing it into three gates: the breathing gate (息門), the observation gate (色 門), and the mind gate (心門). Second, as for a method for the gradual vipassana, a stepwise performance system can be constructed in the order of precedence of the breathing gate and the observation gate. In the case of Wondonj
目次〈한글요약〉258
Ⅰ. 서언 259
Ⅱ. 천태 지관명상과 그 수행체계 259
Ⅲ. 천태 지관법문의 침신치유 프로그램 모색 271
Ⅳ. 결어 276
〈참고문헌〉278
〈Abstract〉280
ISSN12261386 (P)
ヒット数97
作成日2022.09.19
更新日期2022.09.19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9106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