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신라 중대의 정불국토(淨佛國土) 인식과 의미=An Understanding of the ‘Purify the Buddha-land (淨佛國土)’ of the Middle Silla Period and its Significance
著者 박광연 (著)=Park, Kwang-yeon (au.)
掲載誌 불교학보=佛教學報
巻号v.68 n.0
出版年月日2014.07
ページ113 - 133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サイト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
キーワード정불국토=Purify the Buddha-land; 불국토; 정토; 신라 불교=Silla Buddhism; 유식학(唯識學)적 정토관; 법위=法位=Beobwi; 현일=玄一=Hyeon-il; 경흥=憬興=Gyeongheung; the Sukhāvatī-vyūha; Pureland Buddhism; Yogācāra Buddhism
抄録이 글은 신라 중대 승려들의 논서에서 ‘정불국토(淨佛國土)’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신라 불국토사상의 맥락 속에서 그 의미를 해석해본 것이다. 유식학적 정토 관을 지닌 법위(法位), 의적(義寂), 현일(玄一), 경흥(憬興)의 󰡔무량수경󰡕 및 󰡔미륵경󰡕 주석서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법위는 여래는 무분별지(無分別智).후득지(後得智)의 무루종자(無漏種子)를 정토 의 인(因)으로 삼고, 보살은 문혜(聞惠).사혜(思惠).수혜(修惠)를 일으켜야 정토에 들어갈 수 있다고 하였다. 현일은 법장이 5겁 동안 수행하여 초지(初地)에 올라 마음 이 깨끗해지면 불토(佛土)도 저절로 깨끗해진다고 하였다. 마음이 깨끗해지고 평등 해진다는 것은 바로 분별심이 없는 상태를 가리킨다고 한다. 경흥은 선정(定)을 근본으로 삼고 지혜(慧)가 선정을 이끄는 심관(心觀)이 정토의 업이라고 하여, 이를 통한 청정국토의 성취를 강조하였다. 수행을 통해 국토를 청정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삼국 통일을 이룩하고 새로운 사회를 만들어나가던 시기에 법위, 현일, 경흥 등의 신라승려들은 모두 수행을 통해 마음을 청정하게 하는 것이 불국토, 정토를 이루는길 임을 말하였다.
신라의 불국토 인식은 중고기로 끝난 것이 아니고 통일 이후 불교 교학에 대한 이해가 진전하면서 더 강화되어 나갔다고 볼 수 있다. 과거 부처와 인연이 있는 나라라는 의미에서의 불국토가 아니라 수행에 의해 청정해진 불국토를 꿈꾸었을 것이다. 현재의 신라 땅에 아미타불 및 여러 불보살(佛菩薩)이 상주한다는 이야기나 현신성불(現身成佛)의 사례들, 불국토의 구현이라 평가받는 경주 남산의 모습은 중대초 정 불국토(淨佛國土)를 강조하던 여러 승려들의 가르침에 힘입은 바가 크다고 생각한다.

This paper reviewed the middle Silla period monks' understanding of ‘Purify the Buddha-land (淨佛國土)’ based on Buddhist texts of the period and interpreted its significance from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Silla Pureland Buddhism. The targets of the review are the commentaries of the Sukhāvatī-vyūha (無量壽 經) written by Beobwi (法位), Hyeon-il (玄一). and Gyeongheung (憬興) who emphasized the Pureland Buddhism based on Yogācāra Buddhism.
Beobwi (法位) insisted that the untainted seeds of the non-discriminating wisdom and subsequently attained wisdom are the cause of pure-land to tathāgata (如來). On the other hand, Bodhisattva can enter the pure-land after cultivating the three kind of wisdom i.e. the wisdom gained by listening to expositions of the Dharma (聞慧), the wisdom gained by contemplating the truth (思慧). and the wisdom gained by the cultivation of meditation (修慧). Hyeon-il explained that, if Dharmâkara Bodhisattva arrives the first of the ten bodhisattva bhūmis (stage or ground) after practicing meditation for five eons, the Buddha-land will become automatically pure. This state of equal and pure mind points to the mind of non-discrimination. Gyeongheung emphasiz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禪定 dhyāna) as fundamental basis that achieve the pure land and he defined the contemplation of the mind which leads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is the karma of pure-land. He explained that only though this practice, we can purify our land.
All three Silla monks, Beobwi, Hyeon-il. and Gyeongheung insist that purifying the mind through practice is the only way to achieve Buddha-land when the new society was being made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The Silla's understanding of the Pure Buddha-land did not finished after the middle-ancient period (中古期) but continued, rather strengthened it depth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as the understanding of Buddhist studies progressed. To Silla people, Buddha-land was not understood in terms of the past Buddha or the causal relationship but Silla people dreamed the Buddha-land that is cleaned and purified through practices. The idea and stories of presence of Amitâbha Buddha and many buddhas and bodhisattvas along with Mt. Nam-san being considered as the realization of Buddha-land were deeply inspired by the teaching of many scholar monks who emphasized ‘Purify the Buddha-land’ from around the later 7th century to the first 8th century in Silla land.
目次I. 머리말 115
II. 정불국토의 개념과 신라 불교 117
III. 신라 유식 승려의 정불국토 논의 121
IV. 정불국토 인식의 역사적 의미 126
V. 맺음말 129
ISSN12261386 (P)
ヒット数205
作成日2022.09.19
更新日期2022.09.19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9114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