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徐廷柱詩(서정주시)의 佛敎(불교) 薰習(훈습)=Buddhism Perfuming of Midang`s Poem
著者 고영섭 (著)=Ko, Young-seop (au.)
掲載誌 불교학보=佛教學報
巻号v.63 n.0
出版年月日2012.12
ページ339 - 371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サイト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キーワード훈습; 육체성=physical characteristic; 비실체성; 신라정신=풍류도; 삼세인연설=a theory of causes in the three periods; 윤회전생설; perfuming; immateriality; spirit of silla=the way of elegance; a theory of transfer of existence of transmigration
抄録이 논문은 한국의 국민시인으로 평가받고 있는 미당 서정주(未堂徐廷柱, 1915~2000)의 시에 훈습된 불교적 상상력과 불교적 미의식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미당의 시에는 삼세인연설과 윤회전생설에 기초한 불교적 세계관과 불교적 인간관이 깊이 훈습되어 있다. 여기서 ‘훈습’(薰習)이란 우리의 몸과 말로 표현하는 선악의 행위와 의식에 의해 일어나는 선악의 생각들이 없어지지 않고, 마치 향이 옷에 배어드는 것처럼 어떠한 인상이나 세력을 자기의 심체에 머물러 두는 작용을 가리킨다. 미당은 젊은 시절에 사회주의와 톨스토이주의 등을 비롯하여 니이체의 육체성, 즉 디오니소스나 아폴로적 육벽(肉壁)에 경도되었다. 그는 한동안 ‘육체의 벽’을 넘지 못하여 고뇌하다가 붓다를 만났다. 그 이후 불교의 연기설에 기초한 비실체성에 깊이 훈습되면서 ‘육체의 벽’을 넘을 수 있었다. 미당의 불교 훈습은 그가 예민한 촉수를 지니고 이 땅의 토양과 문화 및 기후와 언어 등에 깊이 천착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때문에 그의 시 작품 속에는 불교의 상상력이 가장 큰 저변을 이루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미당이 천착한 불교는 선(禪)적인 깨달음이나 해탈과 열반을 추구하는 불교 본연의 지향을 적극적으로 받아 들이지는 않았다. 그는 연기성과 무상성과 무아성에 기초한 불교철학의 본연보다는 그것이 드러내는 삼세인연설이나 윤회전생설에 집중하였다. 그러나 불교가 추구하는 궁극적 지향이 철학 본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지금 여기의 현실적 삶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에서 보면 미당은 불교의 본질을 깊이 이해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미당은 ‘꽃’의 이미지를 생명의 환희 또는 재생의 확산 이미지로 원용하고 있다. 이것은 불교의 삼세인연설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미당은 ‘꽃’을 통한 생명성 추구와 ‘사랑’을 통한 영원성 지향을 보여주면서도 불교적 상상력 아래서 불교적 미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그것은 삼세인연설과 윤회전생설에 기초한 미의식이자 상상력이라고 할 수 있다. 또 미당의 ‘사랑’의 지속성을 지향한 시들에서는 시간의 대비와 공간의 이동, 오브제와 오브제의 절묘한 대비를 통해 영원성의 추구를 배가시키고 있다. 특히 신라정신(풍류도)과 삼세인연설 및 윤회전생설에 대한 미당의 깊은 경도는 보편적 사랑을 담은 고전과 접목하면서 ‘사랑’을 통한 영원성 지향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불교적 상상력은 미당의 시간의식과 공간인식을 확장시켜 주었고, 불교적 미의식은 그의 극소세계와 극대경계의 인식을 열어 주었다. 그 결과 미당은 우리 “겨레의 언어를 가장 높은 경지로 노래한 부족 방언의 요술사이자 시인 부락의 족장”이 될 수 있었다. 그의 시가 우리 겨레의 정서를 가장 잘 담아낼 수 있었던 것은 한국인들이 오랫동안 가꾸어온 불교적 상상력의 적극적 원용과 불교적 미의식의 능동적 창안의 여정에 과감하게 나아갔기 때문이다. 바로 이 점에 미당시의 독자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Buddhist imagination and Buddhist aesthetics perfumed in the poet of Midang Seo Jeong-Ju(1915~2000), who has been evaluated as a national poet of Korea. The Buddhist view of world and Buddhist view of human are deeply perfumed in Midang's poem. Here, the perfuming means the action to contain an impression or power in own mind and body while good and evil behavior expressed by our body and words and good and evil thought generated by recognition are not removed as if perfume is absorbed in clothes. When Midang was young, he was fascinated by physical characteristic of Nietzsche, namely, physical wall of Dionysos and Apollo. After worrying about ‘physical wall’ for a while, he met Buddha. After being deeply perfumed by immateriality based on the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he could go beyond ‘physical wall’.
Midang's Buddhist perfuming was possible because he deeply excavated soil, culture, weather and language of Korea with sensitive tentacles. Because of this reason, his poems are based on the Buddhist imagination. However, the Buddhism excavated by Midang does not accept the essence of Buddhism, which searches for seon enlightenment, liberation and nirvana, actively. He did not concentrate on the origin of Buddhist philosophy based on the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impermanence and non-self but concentrated on the theory of karma and a theory of convert of existence of transmigration exposing it. When considering that the ultimate aim of Buddhism is not a philosophy but it is concentrated on real life, however, we can know that Midang understood the essence of Buddhism deeply.
Midang quoted the image of ‘flower’ to express the delight of life and expansion of recycling. Its ground is a theory of causes in the three periods of Buddhism.
While Midang showed the aim of eternity by searching for life and ‘love’ through flower, he showed the Buddhist aesthetics with the Buddhist imagination. It can be said that it is an aesthetics and imagination based on a theory of causes in the three periods and a theory of convert of existence of transmigration. In addition, in the poems searching for the continuity of ‘love’, the search for eternity is doubled through time contrast, spatial movement and superb contrast between objects. Especially, Midang's deep devotion to spirit of silla(the way of elegance), a theory of causes in the three periods and a theory of convert of existence of transmigration maximizes the aim of eternity through love by being connected
目次I. 문제와 구상 341
II. 미당의 불교적 상상력 343
III. 미당의 윤회전생설 훈습 347
IV. 미당의 삼세인과설 훈습 352
V. 미당의 불교적 미의식 361
VI. 정리와 맺음 366
ISSN12261386 (P)
ヒット数148
作成日2022.09.21
更新日期2022.09.21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9564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