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불교교단의 민간사회안전망 구축 방안=The Construction of Nongovernmental Social Safety Net in Buddhist Order
著者 조기룡 =Cho, Ki-ryong
掲載誌 불교학보=佛教學報
巻号v.59 n.0
出版年月日2011.09
ページ275 - 304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サイト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장보: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조교수
キーワード사회안전망=Social Safety Net; 민간사회안전망=Nongovernmental Social Safety Net; 불교사회복지=Buddhist Social Welfare; 연기=緣起=Dependent Origination; 사회복지 서비스=Social Welfare Service
抄録우리 주변에는 실직·건강악화·가족해체·빈곤 등의 이유로 갑작스럽게 위기에 처하는 사람들이 상존하고 있으나, 한정된 정부의 공공재원만으로는 효과적인 대처가 불가능하다. 그래서 민간자원을 동원한 민간사회안전망의 구축이 필요한데, 특히 자비와 사랑을 실천하는 종교계의 참여가 필요하다. 불교는 사상적으로는 연기(緣起·불이(不二)·공업(共業)·보은(報恩) 사상 등 민간사회안전망을 직접 설명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고 있으며, 역사적으로는 고려시대부터 오늘날까지 기근이나 재해가 닥치면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구휼하는데 앞장 서 왔다. 하지만 이와 같은 사상과 활동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불교교단은 민간사회안전망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이는 종단 부설 사회복지법인의 인력 부족과 중앙·본사·말사 간 사회복지 전달체계 미비에 기인하는 것으로 중앙과 교구 간 기능 배분, 중앙·교구본사·말사의 사회복지시설 간 연계 강화, 그리고 교구 단위의 불교사회복지협의체 구성을 통하여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Always there are people who come to a crisis suddenly because of unemployment, ingravescence, dissolution of family, and poverty. But the Government doesn't cope with these difficulties because public property is limited. Therefore the construction of nongovernmental social safety net is needed, especially the participation of religious world which practices mercy and love is needed.
In the side of thought, Buddhism has the thought of dependent origination(緣 起), gratitude(報恩), etc., and they explain nongovernmental social safety net directly. In the side of history, Buddhist order gives relief to the poor who was faced with famine and disaster from Goryeo Dynasty to the present.
Despite of suchlike thought and history, the present Buddhist order doesn't fulfill nongovernmental social safety. This result from a shortage of labor force in Buddhist social welfare foundation and a unpreparedness of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between the headquarters of Korean Buddhism and branch temples. But these problems can be overcomed by the distribution of role between district head temple and branch temples and the construction of consultative group of Buddhist social welfare.
目次I. 들어가는 글 277
II. 사회안전망과 민간사회안전망 277
III. 불교의 민간사회안전망 사상과 활동 283
IV. 불교교단의 민간사회안전망 구축 292
V. 나가는 글 299
ISSN12261386 (P)
ヒット数68
作成日2022.09.24
更新日期2022.09.24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9756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