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중국 근대불교 연구와 민족불교의 발현 -- 최근(2005~2010)의 연구동향을 중심으로=A Research on Modern Chinese Buddhism and Manifestations of Chinese National Buddhism: Focused on the Current Research Results From 2005-2010 |
|
|
|
著者 |
정병준 (著)=Cheong, Byung-jun (au.)
;
김진무 (著)=Kim, Jin-moo (au.)
|
掲載誌 |
불교학보=佛教學報
|
巻号 | v.57 n.0 |
出版年月日 | 2011.04 |
ページ | 207 - 227 |
出版者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
出版サイト |
https://abc.dongguk.edu/kbri/
|
出版地 | Korea [韓國] |
資料の種類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言語 | 韓文=Korean |
ノート | 저자정보 정병준: 동국대학교 사학과 교수 김진무: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부교수 |
キーワード | 중국근대불교연구=research on modern Chinese Buddhism; 民族佛敎=national Buddhism; 佛敎護國論= discourse on national protection through Buddhism; 唯識學=doctrine of consciousness only; 大乘起信論=Treatise on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人間佛敎=Human Buddhism |
抄録 | 본 논문은 2005년부터 2009년까지의 우리학계에서 나타난 중국 근대불교의 연구동향을 통해 근대불교의 정체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최근 26편에 이르는 중국의 근대불교의 연구는 대체적으로 민족불교의 자각과 반성, 東西文化의 충돌과 흡수, 근대불교학의 연구와 교육 등의 세 가지 측면에서 엿볼 수 있다. 이는 당시의 시대사상적 상황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는 것으로, 지금까지의 연구성과 역시 이러한 방향과 대체로 일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중국의 근대불교를 부흥시켜 ``근대중국불교의 아버지``라는 칭호를 듣는 楊文會는 근대시기를 ``민족의 최대위기의 시기``로 규정하고,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자 한다면, 무엇보다도 불교의 연구와 교육을 통해야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楊文會의 사상은 당시 梁啓超, 譚嗣同, 章太炎등과 같은 지식인들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민족불교``의 모습을 지니게 하였고, 불교를 통해 민족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염원이 나타나게 되었고, 특히 蔡元培의 佛敎護國論과 같은 저술이 출현하였다. 근대에 출현한 또 하나의 경향은 불교를 통하여 西學을 흡수하거나 비판하는 다양한 사상적 융합을 시도했다는 점이다. 근대의 지식인들은 칸트와 베르그송과 같은 서구철학자들의 철학을 唯識學과 大乘起信論등을 다양하게 결합하여 새로운 사상을 도출하는가 하면, 평등과 시민혁명, 進化論등 당시 서구에 유행했던 여러 가지 사상들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중국의 근대불교에 있어서 불교학의 연구와 교육 역시 楊文會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가 세운 祇洹精舍와 그의 제자인 歐陽竟無의 支那內學院이 가장 대표적이다. 한편으로는 僧家의 재산을 이용해 학문을 일으키자는 廟産興學에 대한 반발로 오히려 僧家의 근대교육이 세워졌다는 점이다. 이러한 僧學堂과 佛學院은 중국의 근대불교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중요한 작용을 했으니, 그것은 바로 ``人間佛敎``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했다는 점이고, 이러한 人間佛敎의 경향은 현재 中華佛敎의 주류를 차지하고 있다고 하겠다.
This article aims at understanding the identity of modern Chinese Buddhism through examining its research trend from 2005 to 2009. The results of the current research on modern Chinese Buddhism, concerning which the academic articles number 26, can be characterized generally by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the awareness of and reflection on national Buddhism; second, conflict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and then absorption of them; third, the research and education of modern Buddhist studies. Thes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then times and thoughts, and the outcome of the researches to this day is also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aspects. Yang Wenhui 楊文會, who is called ‘father of modern Chinese Buddhism’, defined the modern times of China as the most critical period for the Chinese people, and emphasized the promotion of the Buddhist research and education to overcome this crisis. Yang's thought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intellectuals of those days like Liang Qichao 梁啟超, Tan Sitong 譚嗣同, Zhang Taiyan 章太炎 and so on by making their researches assume a ‘national Buddhism’. His thought also gave rise to an aspiration to resolve national conflicts through Buddhism, and especially led to the issuance of Cai Yuanpei's 蔡元培 Discourse on the National Protection through Buddhism 佛敎護國論. Another attempt to appear in the modern times was to reconciliate with Buddhism various thoughts, which used to take the forms of absorbing or criticizing the Western Learning 西學. Intellectuals of modern times on the one hand drew new thoughts by combining various theories of western philosophers like Kant, Bergson, etc. and the doctrine of consciousness only and the Treatise on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on the other hand, undertook discussions on various popular western thoughts popular in those days. The studies and education in modern Chinese Buddhism also have a close relationship to Yang. To mention a few, there were Jetavana Vihara 祇園精舍 of his own founding and the Chinese Inner Studies Institute 支那內學院 of his student Ouyang Jingwu's 歐陽竟無 establishing.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se institutes for sangha education resulted from none other than the resistance against the movement for ‘revival of learning through the property of the sangha community’ 廟産興學. Both the institut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modern Chinese Buddhism while presenting a new concept of ‘Human Buddhism’, currently the mainstream of Chinese Buddhism.
|
目次 | I. 緖言 209 II. 중국 근대불교 연구의 현황과 성과 210 III. 중국 근대불교의 정체성과 인간불교 221 IV. 結語 223 |
ISSN | 12261386 (P) |
ヒット数 | 89 |
作成日 | 2022.10.08 |
更新日期 | 2022.10.08 |
|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