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佛典속 魔羅의 수용을 통해서 본 중국불교 小考=A Study on Chinese Buddhism Reflected in its Reception of Mara in Buddhist Scriptures |
|
|
|
著者 |
최은영 =Choi, Eun-young
|
掲載誌 |
불교학보=佛教學報
|
巻号 | v.52 n.0 |
出版年月日 | 2009.08 |
ページ | 73 - 96 |
出版者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
出版サイト |
https://abc.dongguk.edu/kbri/
|
出版地 | Korea [韓國] |
資料の種類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言語 | 韓文=Korean |
ノート | 저자정보: 금강대 HK연구교수 |
キーワード | 魔羅=Mara; 유마경; 수능엄삼매경=Surangamasamadhi Sutra; 마계즉불계; 천태; 길장=Jizang; 십계호구설=ten worlds' mutual inclusion; 마음=mind; Vimalakirti Nirdesha Sutra; Zhiyi |
抄録 | 魔羅는 초기 불전 속에서는 분명하게 항복받아야 할 대상이었고, 이것은 점차 煩惱魔(欲魔), 陰魔(身魔), 死魔, 天魔로 구체화되었다. 『대반열반경』이 제작되면서 붓다의 4德이 전도된 상태를 다시 4魔로 하여 8魔를 언급하게 되었다. 화엄경에서는 보살에게만 부과되는 魔와 魔業을 여러 갈래의 10魔로 정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마라의 해설에는 ‘(자기)마음’이 중요하게 자리매김 되어 있었다. 중국불교사 속에서 마라와 관련된 중요한 경전은 『유마경』과 『수능엄삼매경』이다. 『유마경』 안에서는 반야의 空性에 기반하여 魔行과 菩薩行이 不二임을 드러내고 있다. 반야계통의 三昧經인 『수능엄삼매경』에는 직접적으로 마계의 진여가 불계의 진여(魔界如卽是佛界如)라는 파격적 선언이 있다. 이 두 문헌은 유관한 부분이 매우 많으며, 특히 『유마경』 마왕관련 부분이 독립적으로 확장되어 『수능엄삼매경』이 구성된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수능엄삼매경』의 마왕설법 부분은 천태의 十界互具說에 인신되어져 있고, 나아가 一念三千說 속에 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魔를 이해함에 있어서, 隋唐시대를 함께한 천태와 길장은 반야중관의 不二的 성향 이외에 ‘마음’에 灌注하였다. 인도에서 붓다의 가르침에 대해 연구하면서 魔(煩惱魔)를 아비달마적으로 세세히 분석했던 것과는 달리, 중국에서는 오히려 하나의 마음으로 집중해 들어간 모습이 매우 선명하게 드러난다.
Mara appears as an object to be subjugated definitely in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while it becomes articulated gradually into the skandha-mara (mara of body), the klesha-mara (mara of craving), the marana-mara (mara of death), and the devaputra-mara (mara of the sons of gods). With the production of the Mahaparinirvana sutra, the inversions of Buddha's four virtues are to be mentioned as additional four maras, increasing the number of total maras to eight. In the Avatamsaka sutra, maras are classified into ten maras according to the tasks of maras and maras' karma assigned to bodhisattvas. Explaining maras in such a way reflects the Buddhists' attention to "[one's] mind." In the history of Chinese Buddhism, the Vimalakirti Nirdesha Sutra and the Surangamasamadhi Sutra are closely related with maras. In the Vimalakirti Nirdesha Sutra, the behaviours of maras and bodhisattvas are clarified as non-dual on the basis of the emptiness of the prajnaparamita. In the Surangamasamadhi Sutra, which belongs to the prajnaparamita tradition, there is an unconventional and direct declaration that the truth of maras' world are equal to the truth of Buddhas' world [魔界如卽是佛界如]. These two texts are closely related in various aspects, especially suggesting the development of the part related with maras in the Vimalakirti Nirdesha Sutra into the independent and expanded construction of the Surangamasamadhi Sutra. The sermon of the king of maras in the Surangamasamadhi Sutra is developed into the Tientai school's theory of shijiehuju [十界互具, ten worlds' mutual inclusion], even suggesting the implication of the theory of yiniansanqian [一念三千, one mind's inclusion of three thousand worlds]. Zhiyi [智顗, 538∼597] and Jizang [吉藏, 549∼623], who lived together through the Sui and Tang periods, paid their attention to "mind" in addition to the non-dual trend of prajnaparamita and madhyamika schools. In contrast to the Indian Abhidharmic meticulous analysis of maras (kleshas) in investigating the teachings of the Buddha, Chinese attention to mind is verily conspicuous.
|
目次 | I. 들어가는 말 75 II. 초기 중국불교에서 유행한 佛典 속의 魔羅 76 III. 중국불교에 수용된 魔羅의 특성 84 IV. 나가는 말 92 |
ISSN | 12261386 (P) |
ヒット数 | 109 |
作成日 | 2022.10.16 |
更新日期 | 2022.10.16 |
|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