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淸末 廟産興學과 근대불교학의 부흥=The Miao-chan-cheng-xue and Reconstruction of Modern Buddhism in the Late Dynasty of Qing
著者 金鎭戊 (著)=Kim, Jin-moo (au.)
掲載誌 불교학보=佛教學報
巻号v.45 n.0
出版年月日2006.08
ページ67 - 80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サイト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연구교수
キーワード廟産興學=the Miao-chan-cheng-xue; 張之洞=Zhang-zhi-tong; 康有爲=Kang-you-wei; 勸學篇
抄録근대에 들어서면서 중국은 이른바 ‘삼천년 이래 없었던 變局’을 맞이하게 된다. 아편전쟁(1840-1842) 이후 민족적 각성을 통하여 끊임없이 다양한 방법으로 ‘自强運動’을 펼치지만 청일전쟁(1894-1895)의 패배 이후, 西學을 배워 나라를 강하게 해야 한다는 ‘自强運動’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張之洞康有爲에 의하여 ‘興學’의 경제적 조건으로 寺廟의 재산을 이용하자는 ‘廟産興學’이 일어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廟産興學의 실시는 본래의 목적과는 달리 ‘土豪劣紳’과 軍閥 등에 의하여 寺院의 재산침탈에 이용되어 근대에 있어 역대의 ‘三武一宗’에 버금가는 法亂이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廟産興學’의 시련에 대한 극복의 과정에서 중국불교의 시대적 각성을 촉진시켰고, 불교도들의 전국적인 단결을 이끌어 ‘佛協進會’, ‘佛大同會’, ‘中華佛總會’등의 다양한 단체들을 출현하게 하여 중국불교의 근대화를 촉진시키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廟産興學’의 결과는 역설적으로 중국의 근대불교학의 부흥이라는 긍정적 효과를 발생시켰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바로 사원의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다양하고 수많은 僧學院을 설립하였기 때문이다. 비록 僧學院의 설립이 교육보다는 사원의 재산보호에 있다고 하지만, 형식[權]에는 언제나 最少限 이상의 내용[實]이 담보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에 따라 僧學院으로부터 다양한 근대불교학이 모색되었고, 그 결과 현재에도 대륙이나 臺灣, 香港 등의 근현대 불교의 지도자들이 대부분 僧學院 출신과 그 법맥으로 이루어져 있다.

Modern China had a radical revolution. Ever since the Opium War, through the awakening of nationalism, Chinese people had made 'the movement of strenuous efforts' in various ways. But, after defeated in the War of Qing-ri, they did make it more strongly to the effect that they learned the science of Western to strengthen their country. In the course of making the movement, the Miao-chan-cheng-xue appeared, which was induced from Zhang-zhi-tong and Kang-you-wei's advocation of utilizing the possessions of Buddhist temples' shrines for obtaining an economical circumstance of reconstructing the academy. But, unfortunately, the movement was wrongly put into practice for landowners and military cliques to plunder the possessions of Buddhist temples' shrines by, which was a Buddhist violence equivalent to the historical 'San-wu-yi-zong.' On the other hand, a process of overcoming the ordeal of the Miao-chan-cheng-xue, nevertheless, led to the periodical awakening of Chinese Buddhism. And it invited Buddhists to strengthen the several unities of association in the scale of the whole country. Finally,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 Miao-chan-cheng-xue resulted in accelerating the modernization of Buddhism in China.
目次I. 緒言 69
II. 長之洞의 『勸學篇』과 ‘廟產興學’의 제시 69
III. ‘廟產興學’의 전개과정 73
IV. 反‘廟產興學’과 僧學院의 설립 74
V. 結語 77

ISSN12261386 (P)
ヒット数62
作成日2022.10.23
更新日期2022.10.23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52684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