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朝鮮佛敎通史』에 나타난 李能和의 諺文 認識 考察 - 「諺文字法 源出梵天」을 중심으로=A Study of the Hangul knowledge of Lee neung hwa(李能和) in the History of Cho sun period`s Buddhism(朝鮮佛敎通史)
著者 柳花松 (著)=Ryu, Hwa-song (au.)
掲載誌 불교학보=佛教學報
巻号v.40 n.0
出版年月日2003.12
ページ331 - 347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サイト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忠南大 漢文學科 講師
キーワード이능화=Lee neng hwa=李能和; 조선불교통사=Cho shen period`s Buddhism=朝鮮佛敎通史; 범어=梵語=Sanskrit; the rule of a Hangul alphabet begins to Sanskrit=諺文字法 源出梵天
抄録조선불교통사의 상편과 중편은 조선의 불교에 관한 사실을 편년체 형식으로 기록한 것이며, 하편의 이백품제는 삼국유사의 형식을 본받아 부류를 분별하여 제목을 세우고 그 사실을 계열별로 서술한 것이다. 이 가운데 「諺文字法 源出梵天」는 이능화가 아주 방대한 지면을 할애하며 언문에 관한 내용을 아주 상세하고도 총체적으로 서술한 品題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이능화는 불교로 인하여 이루어진 위대한 업적들에 관한 사실을 일반 대중들에게 일깨워주고, 이런 불교가 우리 일상생활에 얼마나 지대하고 긴밀한 영향이 있는가를 다시 대중들이 깨닫게 함으로써 대중들 스스로가 불교의 위대함에 귀의하도록 하고자하는 동기와 목적에서 본 품제를 찬술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이능화는 언문의 창제 역시 불교 영향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불교 업적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는 이러한 그의 인식을 바탕으로 방대한 자료 고증을 통해 일목요연하고 논리정연한 체재를 갖추며 본 품제를 서술해 갔다. 우리 고유 방언과 한자와의 이질성 극복 위한 노력의 결과인 한자가차가 언문 창제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런 언문의 기원에 대하여 단순한 글자의 모양에 대한 글자체의 기원과 자모와 운모에 대한 분류 기원으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이 고찰을 통하여 그는 글자체의 기원이 인도의 영향 즉 범자에서 출발하였음을 논증하였고, 언문 자모의 기원 역시 그 기원은 범어에서 기원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그의 견해와 인식은 인도로부터 발생하여 전래된 불교의 영향과 불가분의 긴밀한 관계가 있다고 보았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견해의 출발은 그가 불교에 대한 해박한 지식이 있었기 때문에 언문의 기원에 대해서도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그의 인식에서 대두하게 된 언문의 범자기원설은 많은 훈민정음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인식을 자극하게 되기에 충분하였다. 이에 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 있어서 한자차자와 언문의 상관성을 강조하는 것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면에서 본 품제의 찬술 의의와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Hangul knowledge of Lee neng hwa(李能和),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ule of a Hangul alphabet begins to Sanskrit(諺文字法 源出梵天)' in the history of Cho shen period`s Buddhism(朝鮮佛敎通史). In the textual divisions on 'the rule of a Hangul alphabet begins to Sanskrit(諺文字法 源出梵天)' in the history of Cho shen period`s Buddhism, we can find the representative analyses of his motivation and purpose of a writing, and his opinion of the rule of a Hangul alphabet is what it is. The analysis of divisions consider the following issues. First, In this text, he will show to us that is Buddhism made a lot of a stupendous achievement, and will be make realize the work of Buddhism. Because he thinks the creation of Hangul is also made by Buddhism. Second, on his thought of Buddhism, he contends the shape of a letter and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ul is originated to Sanskrit(梵語). It is based on his Buddhism's thought has the creation of Hangul to do with Buddhism. Last, the doctrine of Lee neng hwa(李能和)'s 'the rule of a Hangul alphabet begins to Sanskrit' is a stimulus to Hangul's investigators are make a fresh study. In this point, we can know the value of this text.
目次I 緒言 331
II 「諺文字法 源出梵天」의 찬술동기와 목적 332
III 「諺文字法 源出梵天」體裁적 특징 334
IV 李能和의 언문인식 337
V 結語 344
ISSN12261386 (P)
ヒット数74
作成日2022.10.27
更新日期2022.10.27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53603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