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김해 초선대(招仙臺) 마애불과 불족적=Rock Cliff Buddha and Buddhapada at Chosundae at Gimhae
著者 황순일 (著)=Hwang, Soon-il (au.)
掲載誌 불교학보=佛教學報
巻号v.100 n.0
出版年月日2022.11
ページ125 - 147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サイト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キーワード김해=Gimhae; 초선대=Chosundae; 마애불; 불족적; 빠리보가까=pāribhogaka; 웃데사까=uddesaka; 샤리라까=śarīraka; Rock cliff Buddha; Buddhapada
抄録김해 초선대 불족적은 오랫동안 거인의 발자국으로 잊혀져 있다가 가야불교에 대한 관심과 함께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움푹 패인 발자국 모양의 음각이란 불족적의 특성상, 이 불족적의 시기와 전례 그리고 진위를 확인하기란 쉽지 않다. 물론 역사적으로 실존했던 붓다는 인도 동부지역에 수없이 많은 발자국들을 남겼지만, 지금은 그 어느 것도 남아있지 않다. 역설적으로 불교의 역사를 되돌아보면 수없이 많은 불족적들이 불교가 전파된 스리랑카와 동남아시아에서 새롭게 발견되어 왔고 새롭게 만들어져 왔다. 불족적의 진위 여부를 떠나서 불족적의 존재는 불교가 전파된 곳의 불자들과 붓다를 직접적으로 연결시켜 주었고, 붓다의 부재 속에서도 마치 붓다가 있는 듯이 불교에 귀의할 수 있는 불교적 봉헌의 대상이 됐다. 이 논문에서는 고려 후기로 판명된 김해 초선대 마애불을 전재로 다양한 불족들의 이동과 역사를 비교하면서 김해 초선대 불족적의 성격과 의미를 분석해본다.

There is a rare Buddhapada at Chosundae at Gimhae. It has long been forgotten as the footprint of a giant but is nowadays attracting new attention along with interests in Gaya Buddhism. It is not easy to ascertain the time, precedent, and authenticity of the engraving in the shape of a hollow footprint due to the nature of Buddhapada. Of course, the historical Buddha left countless footprints in eastern India, but none of them are left now. Instead, countless Buddha footprints have been newly discovered and created in Sri Lanka and Southeast Asia when Buddhism was transmitted there. Regardless of the authenticity of Buddha footprints quite apart from Eastern India, the existence of Buddha footprints can link local lay Buddhists directly to the historical Buddha himself. It means that even in the absence of Buddha local lay Buddhists can pay homage to the Buddha, as if they are in front of the Buddha in their homeland. Thus, it becomes one of the most important Buddhist objects of veneration in Southeast Asian Buddhism. In this paper, I am discussing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Gimhae Chosundea Buddhapada by comparing it with various Buddhapadas in India, Sri Lanka, and Southeast Asia in terms of their history and location.
目次한글요약 126
I. 들어가는 말 127
II. 김해 초선대 마애불 128
III. 불족적의 역사와 이동 131
IV. 김해 초선대 불족적 141
V. 맺음말 144
참고문헌 145
Abstract 147
ISSN12261386 (P)
DOI10.18587/bh.2022.11.100.125
ヒット数637
作成日2022.12.11
更新日期2022.12.11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58583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