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테라와다(Theravāda)의 관점에서 본 공업(共業): 니까야와 아비담마를 중심으로=Group Karma (sādhāraṇa-karma) in Theravāda Perspective: According to the Nikāyas and Abhidhmma
著者 김한상 (著)=Kim, Han-sang (au.)
掲載誌 보조사상=普照思想=Journal of Bojo Jinul's Thought
巻号v.42 n.0
出版年月日2014.08
ページ251 - 289
出版者普照思想研究院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강사
キーワード공업=共業=sādhāraṇa-karma=Group Karma; 불공업=不共業=āveṇika-karma=Individual Karma; 자업=自業=kammassakatā=One’s own karma; 결과(vipāka) 또는 업보(業報 , karma-vipāka)=Result (vipāka) or Kammic result (karma-vipāka); 인습적 진리=俗諦=sammuti-sacca=Conventional truth; 궁극적 진리=眞諦=paramatta-sacca=Ultimate truth; 기세간=器世間=bhājana-loka=Physical universe; 의도=思=cetanā=Volition
抄録본고의 목적은 테라와다(Theravāda)의 관점에서 공업(共業, sādhāraṇa-karma)을 조사하는 것이다. 주지하듯이, 불교의 핵심 사상들 가운데 하나는 업 이론(karma-vāda)이다. 비록 불교 사상에서 차지하는 업의 중요성이 꾸준히 인식되고는 있으나, 업 이론에 대한 모든 불교인들의 이해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불교 역사에서 발전과 변형의 과정을 겪어왔다. 그러한 예들 가운데 하나가 안다까(Andhakā)와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 Sarvāstivāda)와 같은 북방 부파들이 제창한 공업이다. 이러한 견해에 따르면, 업은 두 가지로 나누어질 수 있다고 한다. 하나는 어떤 집단이 공유하는 공업이고, 또 하나는 개별적으로 결과(vipāka)를 낳는 불공업(不共業, āveṇika-karma)이다. 북방 부파들은 이러한 집단이 축적한 공업에 의해서 기세간(器世間, bhājana-loka)이 형성된다고 주장한다. 오늘날 많은 현대 불교인들은 참여 불교(Engaged Buddhism)를 표방하면서, 업의 책임성이 사회 전체로 확장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이렇게 이들은 업이 본질적으로 공업임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공업은 초기 불전에서 찾아 볼 수 없는 새로운 개념이다. 초기 불전에서 업은 철저하게 개인적인 것이라고 반복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붓다는 업을 ‘의도(思, cetanā)’라고 정의하였을 뿐만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업을 개인적 책임 즉 ‘자업(自業, kammassakatā)’으로 다루었다. 이와 같이 초기 불전에서 업은 개인의 심리현상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었다. 마찬가지로 테라와다도 모든 행동의 결과가 전부 업보(業報, karma-vipāka)가 아니라는 근거에서 공업을 부정하고 있다. 『까타왓투(Kathāvatthu)』에 따르면, 한역으로 ‘과보(果報)’나 ‘이숙(異熟)’이라 하는 빨리어 위빠까(vipāka)는 즐거운 느낌이나 괴로운 느낌과 같은 주요한 심리 현상들처럼, 업이 만들어낸 정신적 결과만을 가리킨다. 이와 같이 업이숙이란 개인의 주관적 경험이기 때문에 기세간에 사는 수많은 다른 중생들과 공유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테라와다는 북전(北傳)의 공업이 원래 의도(思, cetanā)와 동일어인 업(業, karma)을 업보(業報, karma-vipāka)로 잘못 해석한 데서 비롯된 것이며, 각 개인들의 유사한 업들이 어떤 주어진 상황에 참여한 다른 사람들의 업들이 서로 모인 업을 혼동한 것으로 본다. 그래서 테라와다에게 공업은 각 개인들이 가지고 있는 유사한 업의 성향을 통칭하는 인습적 진리(俗諦, sammuti-sacca)일 뿐이지 궁극적 진리(眞諦, paramatta-sacca)가 아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theory of group karma (sādhāraṇa-karma) from a Theravāda perspective. One of the central concepts in Buddhism, as is well known, is the idea of karma (karma-vāda). Although the importance of karma in Buddhist thought is regularly recognized, the Buddhist understanding of the theory of karma has not been inalterably fixed, and it has undergone a process of development and modification during the course of Buddhist history. For example, a so-called ‘group karma’ was formulated by the Northern Buddhist schools such as Andhakā and Sarvāstivāda. According to this view, the theory of karma can be classified into two parts. One is group karma that is held in common by certain groups of people. The other is individual karma (āveṇika-karma) that gives rise to individual effects. The Northern Buddhist schools maintained that the physical universe (bhājana-loka) is formed by the group karma accumulated by groups of people. Nowadays, many modern Buddhists prefer to suggest the dispersion of karmic responsibility into the social system, such that moral responsibility is decentered from the solitary individual and spread throughout the entire social system, advocating Engaged Buddhism. In this way, they emphasize that karma is in essence collective. However, the concept of group karma is not traced to the Early discourses. Instead, the repeated emphasis in the canonical discussions of karma is on the individual as heir to his own deeds. The Buddha treated karma, everywhere and always, as a personal inheritance, kammassakatā. Likewise, Theravāda Buddhism denies the concept of group karma on the ground that all effects of actions are not karmic effects. According to the Kathāvatthu, the pāli term vipāka, which is generally translated by effect, or result, refers only to the karma-produced mental results, such as pleasurable and painful bodily feeling and all other primary mental phenomena. In this way, on the part of Theravāda, vipāka itself cannot be shared with other sentient beings in the physical universe (bhājana-loka) in that it is a mere personal experience. Theravādins insist that the assumption of a so-called group karma in the Northern Buddhist traditions is a wrong application of the cannonical term karma, which is identical with intention (cetanā), into karmic results (karma-vipāka), and it is a mistaken view as to what might be termed conjunctive karma, which is in any given situation the karma of each individual involved must be in confluence with that of every other participant in the situation. On the part of Theravāda, a so-called group karma is therefore not the ultimate tr
目次I. 들어가는 말 255

II. 붓다가 설한 업 이론 260

III. 북방 부파들의 공업(共業) 265
IV. 테라와다의 입장 270

V. 나오는 말 278
ISSN12297968 (P)
DOIhttp://doi.org/10.22859/bojoss.2014..42.007
ヒット数38
作成日2023.01.29
更新日期2023.01.29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63186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