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Bak Hanyeong (1870-1948) and Anti-Chan Sectarianism=박한영(1870-1948)의 선 종파주의 비판: 신회, 종밀과 지눌의 선교 통합주의 전통 계승
著者 문찬주 (著)=성원 (au.)
掲載誌 보조사상=普照思想=Journal of Bojo Jinul's Thought
巻号v.35 n.0
出版年月日2011
ページ59 - 111
出版者普照思想研究院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Department of Philosophy, University of Hawaii–Manoa
キーワードBak Hanyeong=박한영; ecumenism; sectarianism; Shenhui=신회; Zongmi= 종밀; Jinul=지눌; enlightenment=깨침; 종파주의; 통합주의
抄録Inheriting Sino-Korean representative ecumenists Shenhui (670-762), Zongmi (780-841), and Jinul (1158-1210), Bak Hanyeong (1870-1948) sincerely advocated ecumenism between Chan and doctrinal Buddhism and strongly criticized Chan sectarianism. Unlike Korean major Huayan sectarians Uisang (625-702) and Gyunyeo (923-973) who utilized Huayan philosophy to back up their sectarian doctrinal classifications, he used Huayan philosophy to theoretically and doctrinally establish his ecumenism. His contemporary Chan master Baek Yongseong (1864-1940) asserted the superiority of Chan Buddhism to doctrinal Buddhism and of Linji Chan tradition to other Chan traditions. Unlike him, Bak Hanyeong succeeded ecumenism from Korean Buddhism’s major ecumenists such as Wonhyo (617-686), Uicheon (1055-1101), Jinul, Gihwa (1376-1433), and Hyujeong (1520-1604), and advocated ecumenism between Chan and doctrinal Buddhism. Bak Hanyeong also vehemently criticized Chan sectarianism, antinomianism, anti-intellectualism, anti-Chan absolutism, and radical subitism of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practice, and argued for ecumenism between Chan and doctrinal Buddhism and moderate soteriology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 So, he non-dualistically balanced the two contradictory immanent and transcendental aspects in ethics and enlightenment and the two different traditions of Chan and doctrinal Buddhism.

박한영(1870-1948)은 중국과 한국불교의 대표적인 통합주의자들인 신회(670-762), 종밀(780-841), 그리고 지눌(1158-1210)을 계승하여 선교 통합주의를 주장하였고, 선 종파주의를 비판하였다. 의상(625-702)과 균여(923-973)로 대표되는 한국 화엄 종파주의자들이 화엄을 그들의 화엄 종파주의 교판체계를 세우기 위한 이론적 근거로 사용한 것과 다르게, 그는 선교 통합주의의 이론적 토대로 화엄철학을 원용하였다. 동시대를 살아간 백용성(1864-1940)은 여타의 불교 전통보다는 선불교의 우월성을 주장하였고, 그리고 여러 선불교의 전통 가운데 임제선의 우월성을 특별히 강조하였다. 그와 다르게, 박한영은 원효(617-686), 의천(1055-1101), 지눌, 기화(1376-1433), 그리고 휴정(1520-1604)으로 이어지는 한국불교의 정통 통합주의 전통을 충실히 계승하였다. 박한영은 또한 선 종파주의, 윤리 도덕 부정론, 반지성주의, 반문자주의, 깨침 지상주의, 등을 비판하였고, 선교 통합주의와 온건 선 수증론인 돈오점수론을 주장하였다. 선 지상주의자들이 윤리와 깨침의 당위성보다 윤리와 깨침의 내재성을, 그리고 교학 전통보다 선수행의 우월성을 극단적으로 강조한 반면, 박한영은 깨침의 당위성과 내재성의, 그리고 선과 교학 전통의 비이원론적 통일을 강력히 주장하였다.
目次1. Introduction 62

2. Huayan Philosophy: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Bak Hanyeong’s Ecumenism 71

3. Zongmi (780-841) and Jinul (1158-1210): Ecumenists between Chan and Huayan Traditions 73

4. Bak Hanyeong’s Anti-Chan Sectarianism 79
5. Conclusions: Bak Hanyeong’s Relocation of Shenhui,
Zongmi and Jinul 103
ISSN12297968 (P)
DOIhttp://doi.org/10.22859/bojoss.2011..35.002
ヒット数171
作成日2023.01.31
更新日期2023.01.31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63770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