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불교 효사상의 본질=The Essence of the Buddhist Filial Piety
著者 양은용 (著)=Yang, Eun-yong (au.)
掲載誌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Journal of The Pure Land Buddhism Studies
巻号v.22 n.0 조상신앙
出版年月日2014.12
ページ113 - 137
出版者韓國淨土協會
出版サイト http://www.jungtoh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원광대학교 명예교수, 한일문화연구원장.
キーワード불교의 효; 보은사상; 부모은중경; 우란분경=Uranbungyeong; 위경; 효경; 충효윤리; 목련구모; 유교; 도교; Filial Piety Sutra; Filial Piety Ethics; the Buddhist Filial Piety; Kindness Ideology; The Sutra manifesting parent's kindness; Apocryphal Sutra
抄録석존의 정각에 의한 불교의 세계종교화는 이문화(異문화)사회에의 토착을 의미한다. 그 대표적인 예의 하나가 효사상, 즉 부모은사상을 중심한 『부모은중경』의 성립이다. 이 경전은 불교의 동전과정에서 이루어진 위경(僞經)이지만, 현장성을 중심으로 보면 역동성을 상징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부모은중경』과 『우란분경』을 중심으로 불교 효사상, 즉 부보은사상의 본질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충효윤리를 중심한 중국사회에 출가윤리가 중심인 불교의 전래는 커다란 문화적 충격을 안겨주었다. 유교에서는 불교를 「무부무군(無父無君의 호교(胡敎)」로 핍칭 하게 되었고,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부모은사상이 발아되었고, 그 정점에 『부모은중경』의 성립을 보게 된다. 유교의 효는 부모의 봉양에서부터 임금을 섬기고 마침내 자신을 올바로 간수하며, 선인의 유지를 받드는 등의 단계가 있다. 그러나 그 가르침 자체가 현세 위주이다. 이에 대하여 불교의 효사상, 즉 부모은사상은 연기이법에 바탕하여, 한편에서는 삼세부모사상으로 전개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봉양은 물론 이고득락(離苦得樂)하는 천도(薦度)를 본질로 하고 있다. 따라서 불교의 효사상 전개는 동토에 있어서 효사상의 새로운 차원을 열고 있는 것이다. 현대사회에 있어서도 『부모은중경』을 성립시킨 역동성, 곧 현장성은 인류의 커다란 복전이 될 것으로 본다.

Buddhism to a global religion by Buddha's enlightenment means the naturalization in different culture societies.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establishment of the filial piety, that is, the sutra manifesting parent's kindness with the parent's kindness ideology. This sutra is an apocryphal sutra written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Buddhism to East though, it symbols dynamism from the outlook of present sense. In this dissertation, it is the purpose to reveal the essence of the buddhist filial piety, that is, the parent's kindness ideology, focusing on the sutra manifesting parent's kindness and Uranbungyeong. The import of Buddhism with Leaving home ethics gave a big cultural impact to Chinese society which considered Filial Piety Ethics as a significant factor. In Confucianism, Buddhism was called, 'barbaric religion without parents', in the process overcoming this negative flow, the parent's kindness ideology was germinated, and the sutra manifesting parent's kindness was established at the height of this phenomenon. The filial Piety of Confucianism has some steps of, serving from parents to King, in the end, taking care of oneself, and honoring ancestors' wishes etc. But its teaching itself is mainly with the present world. About this, the Buddhist Filial Piety, that is, the parent's kindness ideology is based on the law of cause and effect, on the one hand, it developed to parents' ideology of the three worlds, on the other hand, it considers Cheondo(薦度), the way to heaven, which leaves suffering and gains pleasure including serving parents, as the essence. Among them, there contains ethics of the mundane world. Therefore, it was the development of the Buddhist filial piety opening a new dimension of filial piety ideology in the eastern land. In a contemporary society, I think the dynamism which established the Sutra manifesting parent's kindness, that is, the present sense can be a big fortune farm of mankind.
目次I. 서언 115

II. 불교의 동전과 부모은중경의 성립 118
1. 부모은중경의 성립 118
2. 부모은중경의 피은과 보은 120
III. 우란분경류의 목련구모와 효사상 125
1. 우란분경과 목련구모 125
2. 불교 효사상의 핵심 129
IV. 결어 131
ISSN12291846 (P)
ヒット数52
作成日2023.03.31
更新日期2023.03.31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68136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