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정토교의 임종론 고찰 -임종행의(臨終行儀)를 중심으로=A study on the theory of dying in the Pure Land Buddhism : focused on the Rites of dying
著者 원영상 (著)=Won, Yong-sang (au.)
掲載誌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Journal of The Pure Land Buddhism Studies
巻号v.18 n.0 관음사상과 신앙의 재조명
出版年月日2012.12
ページ265 - 314
出版者韓國淨土協會
出版サイト http://www.jungtoh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원광대 교수
キーワード정토교=the Pure Land Buddhism; 『불설무량수경』; 『불설관무량수경』; 『불설아미타경』=the Pure Land of Amitābha; 임종행의; 임종정념; 임종선지식; 내영; 대승불교=Mahāyāna Buddhism; 터미널 케어=terminal care; 불퇴전; 환상=還相; the Pure Land(Sukhāvatī) belief; the theory of dying; Sūtra on Amitāyus; the Sūtra of the meditation on Amitāyus; the Amitābha sūtra; the Rites of dying; Right remembrance in dying; Buddhist patron (kalyāṇa-mitra) for dying
抄録본 논문은 대승불교의 한 축을 이루는 정토교의 내세정토신앙에 나타난 임종론을 정리하는 한편, 이를 현대적인 입장에서 새로운 각도로 해석한 것이다. 특히 임종행의(臨終行儀)와 관련된 문헌에 기반하여 그 내용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동아시아 정토교의 생사관을 정토삼부경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첫째는 염리예토(厭離穢土)와 흔구정토(欣求淨土)에 나타난 것처럼 염불 신앙에 의지하여 사후 내세를 염원하는 계기와 그 지향점을 고찰하였다. 둘째는 임종염불과 극락왕생정토와의 관계를 통해 임종업의 중요함을 제시했다. 셋째는 극락정토에서 불퇴전 지위의 확립이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넷째는 중생구제를 위한 예토에서의 환생인 환상(還相)이야말로 대승불교의 가르침이 계승되는 것으로 정리했다. 이어서 임종행의의 과정에 나타난 임종론을 세 분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째는 임종행의와 임종정념이 가지는 의미, 둘째는 임종자와 임종선지식 관계, 셋째는 내영(來迎)과 정토왕생의 교리적인 고찰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이에 입각하여 정토교 임종론의 현대적 의의를 밝혔다. 먼저 임종정념은 임종자에게 안심과 평화를 부여하여 죽음을 수용하게 하는 것으로 이는 대다수의 임종자가 갖는 죽음의 불안으로부터 벗어나는 길임을 논하였다. 그리고 임종선지식은 임종자의 케어만이 아니라 영혼의 사후에 대한 안내자로서 추선(追善)까지 행하는 종교적 역할자임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임종자의 주관적 진실에 의해 일어나는 내영 즉, 임종시의 비전과 영상(映像)은 사후 희망을 부여하는 중요한 기제가 됨을 논하였다. 내세 왕생정토신앙은 생전을 비롯하여 임종에 이르기까지 대승불교의 중생구제의 정신을 착실히 구현함으로서 오늘날에도 여전히 민중 신앙으로써 각광받고 있다. 특히, 임종과 관련된 정토교의 이처럼 풍부한 전통은 죽음을 둘러싼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여러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새로운 관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본다.

This paper is written in order to arrange the theory of dying on the Pure Land(Sukhāvatī) belief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fields in Mahāyāna Buddhism, and make an new interpretation of that from modern viewpoint. Especially, this writer reviewed on the theory of dying based on various literatures. First of all for that, it is focused on three parts sūtra of the Pure Land. Firstly, this writer considered the cause to desire next life after death through chanting the Buddha’s name in reliance on the dislike of the mundane sphere and the wishfulness for the Pure Land. Secondly, this writer also did an analysis of importance on karma in dying through relation with chanting the Buddha’s name in dying and going to the Western Paradise(the Elysian fields). Thirdly, it was reviewed on meaning to have the establishment of determined position in the Pure Land of Happiness in the Western. Lastly, it was showed that the coming in the world, in other words, reincarnation in this mundane world to save for all people is to inherit the teaching of Mahāyāna Buddhism. Following this analysis, the theory of dying was analysed to three parts in the Rites of dying. First, the meaning of the Rites of dying and Right remembrance in dying. Second, the relationship of the dying and Buddhist patron(kalyāṇa-mitra) for dying, Third, doctrinal consideration on the advent of Buddha with Bodhisattvas and the going to the Western Paradise. And then the theory of dying in modern meaning became clear. First of all, it is important that Right remembrance in dying is to let the dying accept death after putting a person at his(her) ease and peace. This means that many people in dying have the way to escape from the anxiety of death. Buddhist patron for dying is the religious person to take a role not only to care the dying but also to guide after death of him(her) and to do a religious service for the repose of the soul of him(her) too. Lastly, It is declared that the advent of Buddha with Bodhisattvas appeared from subjective truth of the dying, that is, vision and image in dying breath became a significant means to give him(her) hope. The belief to go to the Western Paradise after death is in the limelight as religious one by many people nowadays for realizing properly the spirit of salvation of Mahāyāna Buddhism not only during one′s lifetime but also in last breath. In particular, various problems in modern society in which it is focusing on death, can be solved and another new perspective can be offered by the tradition of the Pure Land Buddhism related with dying.
目次I. 시작하는 말 268
II. 정토교 생사관의 구조 271
III. 임종행의에 나타난 정토교의 임종론 281
1. 임종행의와 임종정념(臨終正念) 281
2. 임종자와 임종선지식 287

3. 내영(來迎)과 정토왕생 293
IV. 정토교 임종론의 현대적 의의 298
V.맺는말 307
ISSN12291846 (P)
ヒット数112
作成日2023.04.26
更新日期2023.04.26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69672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