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백파긍선 『육조대사법보단경요해』의 구조와 그 특징=The Structure and Character of the Yukjodaesa-Beobbodankhyung-Yohae
著者 김제성 (著)=Kim, Jae-sung (au.)
掲載誌 대각사상=Maha Bodhi Thought=大覺思想
巻号v.20 n.0 해인사의 고승, 용성스님과 고암스님
出版年月日2013.12
ページ225 - 252
出版者대각사상연구원=Institute of Maha Bodhi Thought
出版サイト http://www.taeg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조계종 교수아사리.
キーワード육조혜능=Yukjohaeneung=六祖慧能; 돈황본=ㅌdunhwang edition; 덕이본=Duggi edition; 육조대사법보단경=Yukjodaesa-Beobbodankhyung-Yohae=六祖大師法寶壇經; Ven. Baekpa-Guengseon=白波亘璿=백파긍선; Dankhyung-Yohae=壇經要解=단경요해; 육조대사법보; Obubjeoni=五法傳衣=오법전의; Transience Song=無相頌=무상송; Gunhwamoon=建化門=indoctorination=건화문; 직지인심=Go Straight One’s Mind=直指人心; 견성성불
抄録백파긍선은 만년에 이르러 『단경』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고 해석을 가한 『육조대사법보단경요해』를 저술하였다. 『단경요해』는 덕이본 『단경』의 구성을 바탕으로 하였으나, 보다 세부적인 구조를 밝힘으로써 『단경요해』가 지니고 있는 선사상적인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긍선의 自序에서는 선의 종지의 우월성을 말하고, 말법시대 중생에게 선의 종지를 널리 보급하기 위하여 『법보단경』을 유통시켰음을 말한다. 그리고 몽산덕이의 서문에 대해서는 다섯 대목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단경』의 大旨는 직접 본심을 파악하고 자성을 깨쳐 성불한다는 直指人心 見性成佛로써 건화문(교화)에 나아간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어지는 [약서]에서는 혜능의 행적을 서술한 것이지 『단경』의 서문이 아님을 말한다. 백파긍선은 무상송에 대하여 몇 가지 특징을 드러낸다. 첫째, 15개의 게송 모두 견성하여 성불해가는 과정의 내용으로 변형시켰다는 점이다. 둘째, 육조의 설법은 그 언어는 淺近한 듯하지만, 그 意案은 대단히 심오하여 말씀마다 자성을 벗어나 있지 않다는 점이다. 셋째는 無相頌의 내용은 출가자뿐만 아니라 재가자들에게도 공통되는 인륜의 가르침을 앞세워 설명하고 있는 점이다. 본고에서는 정해진 분량의 한계와 내용적으로 혜능의 견성의 묘법에 초점을 맞추어 정리해보았다.

Ven. Baekpa-Guengseon(白波亘璿) wrotes the Yukjodaesa-Beobbodankhyung-Yohae(六祖大師法寶壇經要解) which analyzed the contents of Dankhyung(壇經) and threw a fresh light on it. Although Dankhyung-Yohae(壇經要解) was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Duggi edition which was a different edition of Dankhyung, it introduced a new features of Zen thought of the Duggi edition. On the author’s preface of Dankhyung-Yohae, Ven. Baekpa-Guengseonrecorded that he distributed the Beobbodankhyung(法寶壇經) for general practicers not only to realize the essentials of Zen thought but to reveal the superiority of it. He explained the preface of the Duggi edition, by dividing it into five passages. He said that the core thought of Dankhyung was to find and realize one’s nature of mind and to achieve the state of Enlightment, Buddha.(直指人心 見性成佛). When praticers finished their practices, as a result, they realize their true mind, they finally enlightened the world(建化門). Also, he said that the summarized preface(略序) was not the preface of Dankhyung, instead, it explained good deeds and achievements of Ven. haeneung(慧能). Ven. Baekpa-Guengseon showed several features of the Song which said the transience of the world(無相頌) in Dankhyung-Yohae. First, it transformed fifth-songs into the courses of enlightment. Second, although the expression of languages of Ven. Haeneung was conceived in plain terms, his teachings were profound and always said about the realizing of true nature mind. Third, the contents of Transience song were applicable teaching for both practicers and general peoples. This paper especially focused on the methods of realizing true nature of mind which Ven. Haenueng said on his text, Dankhyung(壇經).
目次I. 서론 227
II. 본론 227

1. 序文.大旨.略序에 대한 분과 및 그 내용 227
2. 第一 五法傳衣에 대한 분과 및 내용 232
1) 서분과 그 성격 232

2) 29단 설법의 구조 233

3) 29단 설법의 분류적 특징 240
3. 無相頌의 구조와 그 특징 241
1) 무상송의 내용 241

2) 무상송의 구조 244

3) 무상송의 구조에 보이는 특징 245
III. 결론 247
ISSN12291080 (P)
ヒット数136
作成日2023.04.30
更新日期2023.04.30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69930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