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식민지 조선과 불교=The Colonial Joseon and Buddhism - Trends among Korean and Japanese Buddhists around the Issue of Married Monk in Modern Era
著者 제점숙 (著)=Je, Jeom-suk (au.)
掲載誌 대각사상=Maha Bodhi Thought=大覺思想
巻号v.22 n.0 백용성스님 전법의 재발굴
出版年月日2014.12
ページ241 - 278
出版者대각사상연구원=Institute of Maha Bodhi Thought
出版サイト http://www.taeg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서대학교 일본어학과 조교수.
キーワード식민지 조선=Colonial Joseon; 조선불교=Joseon Buddhism; 일본불교=Japanese Buddhism; 친일=Pro-Japan; 항일=Anti-Japan; 대처승; 근대불교=Modern Buddhism; 백용성=Baek Yong-seong; 한용운=Han Yong-un; 대처옹호론=Defence for marriage of monks; Married monk
抄録한국불교의 근대화는 언제부터이고 한국불교 근대화의 지표는 무엇으로 삼을 것인가? 오늘날 이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역사학계 및 불교계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한국불교의 다양한 근대화 지표 중 ‘대처(帶妻)’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둘러싼 일본에서의 일본불교계의 동향과 함께 식민지기 조선에서의 대처승 수용과정을 검토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기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일본 불교의 대처 시작의 배경과, 그것이 식민지 조선에 건너와 노출되어가는 노정을 백용성과 한용운의 언설을 중심으로 고찰했다. 이 글에서 고찰한 바는, 대처승을 둘러싸고 백용성과 한용운은 서로 다른 대처의 모습을 상정하고 있었다. 한용운은 일본의 대처를 모델로 하여 조선불교 부활을 꿈꾸었고, 백용성은 대처 자체를 파계의 이미지로 조선 불교에 혼재되어서는 안 되는 ‘악(惡)’으로 보고 쫓아내기를 갈망했다. 일본불교의 근대적 측면을 경험한 한용운은 대처를 오히려 한국불교의 나아갈 방향으로 제시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처럼 한국 불교의 대처승 문제는 우리(조선) 안에서의 이해가 아닌 외부(일본)를 동시에 살펴볼 수 있는 시각이 제공되었을 때, 오늘날 한국불교의 대처상(像)은 물론, 한국 내의 대처상(像)을 보다 구체적으로 고찰할 수 있을 것이다.

Today, various discussions are actively in progress in History Academia and among Buddhists regarding when the modernization of Korean Buddhism began and what the indicators of the modernization of Buddhism was. This study focused on ‘the marriage of monks’ among various indicators of the modernization of Korean Buddhism and attempted to look into its trend among Japanese Buddhists in Japan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marriage of monks and in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r this purpose, it considered the background of the start of the marriage of monks in Japanese Buddhism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and the journey in which it came to and was exposed to the colonial Joseon, centering around the comments of Baek Yong-seong and Han Yong-un. What this study considered was that Baek Yong-seong and Han Yong-un presumed each different look of the marriage of monks. Han Yong-un modelled the marriage of monks in Japan and dreamed the resurrection of Joseon Buddhism while Baek Yong-seong longed for expelling it, regarding it as an image of apostasy, which is an ‘evil’ that must not be mixed in Joseon Buddhism. Han Yong-un who experienced modern aspects of Japanese Buddhism attempted to suggest the marriage of monks as a direction in which Korean Buddhism should proceed. Like this, regarding the issue of the marriage of monks in Korean Buddhism, the image of the marriage of monks in South Korea as well as the image of the marriage of monks in Korean Buddhism would possibly be considered more specifically when a perspective that could look at an external space (Japan) simultaneously instead of the understanding in us (Joseon) is provided.
目次I. 서언 243
II. 선행연구를 통해서 본 한국과 일본불교의 대처승 244
1. 한국의 대처승 논쟁 244

2. 일본의 대처승(帶妻僧侶) 논쟁 249
III. 일본의 대처 개념의 등장과 수용 254

1. 에도시대 일본불교의 대처 254

2. 일본 불교 대처승의 메이지 시대로의 이행 259
IV. 한국불교 대처승 수용 과정을 둘러싼 언설 264
V. 결어 272
ISSN12291080 (P)
ヒット数147
作成日2023.05.14
更新日期2023.05.14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70697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