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한용운의 승가교육 개혁론=Han Yongun’s Thought on Reforming of Monastic Education
著者 김종인 (著)=Kim, Jong-in (au.)
掲載誌 대각사상=Maha Bodhi Thought=大覺思想
巻号v.32 n.0 월산 대종사의 생애와 삶
出版年月日2019.12
ページ247 - 275
出版者대각사상연구원=Institute of Maha Bodhi Thought
出版サイト http://www.taeg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경희대 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수.
キーワード한용운=Han Yongun; 근대적 종교관; 승가교육=monastic education; 불교개혁론=reformation of Buddhism; 명진학교= Myeongjihakkgyo; 근대적 학문관; 사범학; 강원; modern sciences; monastic school; pedagogy
抄録한용운은 근대적인 종교관과 학문관을 가지고 승가교육의 개혁론을 펼친다. 그는 진리 자체보다도 어떻게 진리에 도달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하는데, 학문을 하는 방법 자체가 곧 가치이고 진리일 수 있다고 보는 이러한 사상은 객관적 진리를 추구하는 근대적 학문관조차도 넘어선다고 할 수 있을 만큼 시대를 앞서가는 사유라 할 수 있다. 그는 승가 교육에서 외도와 외전으로 규정되는 근대 학문에 대한 개방적인 자세를 주문하고 있다. 그래서 그는 전통강원의 이력 과정 외에 보통학, 사범학, 외국유학을 승려 교육에 추가는 것이 급하다고 말한다. 그의 보통학에 대한 강조는 불교 교리를 완전한 진리체계로 보지 않고, 문명의 일부분으로 보고 있는 그의 근대적 종교관의 연장선상에서 나온 것이다. 그는 불교를 문명의 중심이 아니라 일부로 보듯이, 승가공동체 역시 완전한 사회이거나 세계의 중심이 아니라 세속 사회의 일부로 보고 있다. 불교 승려에게서 불교는 학문 일반의 한 부분인 전문학이 아니라, 완전한 가르침 전체여야 하는데, 불교를 전문학으로 분류하는 한용운의 승려교육 방안은 불교를 자체 완결적인 삶의 진리체계로 간주하고 승려들에게 가르치려는 것이 아니라 불교를 일반의 학문체계 속에 위치 지워 놓고 가르치려는 것이다. 이러한 그의 승가교육 개혁론은 근대문명을 불교인들에게 빨리 흡수시켜야겠다는 의욕이 앞선 나머지, 불교 가르침의 본질과 승려교육의 특수성에 대한 고려 없이 기획된 것이라 할 수 있다.

Han Yongun's theory for the reforming of Korean Buddhist monastery education system is based on his modernized view on religion and sciences. His thought of sciences are radically progressive as he supposes that methodology of sciences itself is value and true. He advocates that Buddhist monks should study read the books from other traditions also. Thereupon, he insists that modern sciences and the teacher's college course must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for monk education. He also advocates monk's studying abroad. Hi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learning modern sciences for he understands Buddhism as a part of culture rather than the complete truth system. He does not regards Buddhist sangha as a perfect society. He regards it a part of secular society. Buddhist doctrines must be regarded as the complete truth system for Buddhist monks. However, Han Yongun regards Buddhist studies as one of the various studies in the world. His theory of reforming of monastery education was invented for the monks to absorb modern sciences, but the nature of Buddhist teaching and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monastery education was not considered.
目次I. 서론 249
II. 한국불교 승가교육의 전통과 한용운의 불교개혁론에 대한 접근 251
III. 한용운의 교육관과 근대적 종교관 253
IV. 한용운의 승가교육개혁론 258
V. 결론 272
ISSN12291080 (P)
ヒット数63
作成日2023.05.28
更新日期2023.05.28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71710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