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현재 심사정 필 <보납도(補衲圖)> 연구=Study on Bonap-do(The Painting of Mending Monk Clothes) by Sim Sa-jeong
著者 신광희 (著)=Shin, Kwang-hee (au.)
掲載誌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巻号v.55 n.0 근대 불교문화의 다양성
出版年月日2023.02
ページ241 - 266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サイト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중앙승가대학교
キーワード심사정=Sim Sa-jeong; 보납도=Bonap-do=Painting of Mending Monk Clothes; 선종화=Zen Painting; 나한도=Arhat Painting; 원숭이=Monkey; 고씨화보=Kushihuapu=顧氏畵譜; Iconography
抄録심사정(沈師正, 1707~1769)은 조선왕조시대 후기의 대표적인 사대부 화가이다. 그는 조선후기 회화사에 큰 발자취를 남긴 화가이며, 그가 그린 인물화 중 <보납도> 역시 화풍과 내용, 그리고 도상에서 다각도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본고는 심사정 필 <보납도>의 가치를 규명하기 위해 ‘보납’, 즉 ‘승려가 낡은 가사를 깁는 일’에 담긴 함의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보납’은 수행자의 일상이자, 다반사(茶飯事)와 평정심에 깨달음이 있음을 설파하는 선(禪)의 화두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승려들에게 ‘보납’은 천안(天眼)을 얻는 길이자 자신의 마음을 다스리는 수행이기도 함을 알았다. 다음으로 보납도상의 성립과 전개과정을 검토했다. 보납도상은 본래 나한도의 세부 주제 중 하나로 빈번히 그려지다가 선종의 흥기와 더불어 선문에서 선종화의 주요 화제 중 하나로 자리하게 된다. 그리고 때론 원숭이가 추가되기는 하였는데, 원숭이는, 바느질하는 승려와 대조적으로 하나를 놓으면 다른 것을 잡아버리는, 그래서 마음이 안정되지 못하는 범부(凡夫)를 상징하는 것이 아닐까 추측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심사정과 <보납도>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심사정이 그린 도석화의 양상을 살펴본 후, 이를 토대로 <보납도>의 현상과 제작 배경을 규명해 보고자 했다. 현재 심사정은 조선후기를 대표하는 사대부 화가 중 한 명이자 불운한 삶을 살아야만 했던 비운의 화가이다. 본고를 통해 보납의 의미와 도상을 검토한 결과, 그가 그린 <보납도>는 세파에서 초연한 마음으로 평정심을 유지하며 살고자 했던 그의 심상이 담겨있는 그림임을 알 수 있었다.

Shim Sa-jeong was a representative nobleman painter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left a great footprint in the painting hi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painting style, content, and iconography of , one of his figure paintings. First, 'bonap(補衲)s, a monk's mending up his clothes is a daily life, and at the same time, it is a topic of Buddhism's Zen sect that means that there is enlightenment in equanimity. Also, for monks, ‘bonap’ is the way to obtain the heavenly eye, and it is also an ascetic practice to control one’s min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image of ‘bonap’ was originally frequently drawn as one of the detailed subjects of Arhat paintings, but gradually became one of the main subjects of Zen paintings. And sometimes monkeys were drawn on Bonabdo. The monkey is a motif that contrasts with the sewing monk. It is presumed that the monkey symbolizes the common man whose mind is unstable. Lastly, I look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Simsaejeong and . Currently, Shim Sim-jeong is one of the noble painters representing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 painter of misfortune who had to live a miserable life. It can be seen that he painted is a painting that contains his image that he wanted to live while maintaining composure with a detached mind from the world.
目次Ⅰ. 서론 244

Ⅱ. ‘보납(補衲)’의 의미 245

Ⅲ. 보납도상의 성립과 전승 248

Ⅳ. 심사정과 <보납도> 256

Ⅴ. 결론 262
ISSN27140938 (P); 27140946 (E)
ヒット数48
作成日2023.05.29
更新日期2023.05.29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71888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