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가야의 인도불교설화 수용과 변용 사례 - 「어산불영(魚山佛影)」을 중심으로=Accepting and Modifying an Indian Narrative in the Gaya Kingdom: the Buddha Shadow on Mt. Maneo
著者 강형철 (著)=Kang, Hyog-chol (au.)
掲載誌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巻号v.49 n.0
出版年月日2022.02
ページ273 - 308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サイト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연구교수.
キーワード만어사= Maneosa; 불영; 북천축; 가야= the Gaya Kingdom; 삼국 유사=Sam Guk Yu Sa; 대당서역기=Da Tang Xi Yu Ji; 관불삼매해경=Kouan Fo San Mei Hai King; 구파라 용왕; Buddha shadow,; Nagarahāra; Gopāla
抄録본 논문은 『삼국유사』의 「탑상(塔像)」편, 「어산불영(魚山佛影)」조에 소개된 수로왕과 붓다의 영상(佛影) 및 독룡에 관한 설화의 원형을 추적하고 그 성립과 전래의 사정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첫째, 종래의 몇몇 연구에서 어산불영 설화가 가야와 불교의 관계를 선양하거나 붓다의 권위를 높이기 위한 목적에서 창작되었을 것으로 보는 견해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 설화의 창작에는 수로왕의 제사장으로서의 권위를 높이려는 목적이 있었음을 나타내는 근거들을 제시하여, 이를 바탕으로 이 설화가 가야 왕조기에 창작되었을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이를 통해서 가야불교의 초기 형태의 특징을 추론해보고자 한다. 둘째, 「어산불영」에서 소개하는 설화가 『관불삼매해경』의 내용으로부터 차용한 것을 당연시하는 기존 연구들의 견해에 원인을 제공한 일연의 서술에 대하여, 이를 편집자적 시점을 조망하는 것을 통해서 비판적으로 재검토 한다. 그 과정에서 『관불삼매해경』 설화의 형성과정을 밝히고, 「어산불영」 설화의 원형과 그것의 도입 사정에 관해 재고찰하고자 한다. 셋째, 만어사의 창건과 관련하여 「어산불영」 설화가 고려 시대에 확장되는 양상을 관찰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서 관련 인물들의 심리분석을 하나의 접근법으로 활용한다.

This paper will examine the original story of the legend of King Kim Suro called the Buddha Shadow on Mt. Maneo (魚山佛影) about the Buddha Shadow and an evil Nāga King introduced in the Sam Guk Yu Sa (三國遺事) which written by Il-yeon (一然, 1206-1289) who was a Buddhist monk and historian in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reveal circumstances of establishment and transmission of this story. In the first place, I will refute some of the views stated in some previous studies that this story was created to praise the relationship between Gaya Kingdom and Buddhism or to increase the authority of the Buddha, and argue that this story was intended to increase the authority of King Suro as the chief officiating priest. In view of this, I will prove that this tale was created during the Gaya dynasty, and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form of Gaya Buddhism. Secondly, I will critically review the description of Il-yeon, which is the source of the claim that the story of the Buddha Shadow on Mt. Maneo borrowed from the contents of the Kouan Fo San Mei Hai King (觀佛三昧海經) by considering the editor's point of view. In the process, I intend to examine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the story in the Kouan Fo San Mei Hai King, and reexamine the origin of the story of the Buddha Shadow on Mt. Maneo and the circumstances of its introduction from India. Finally, in relation to the construction of the Maneo Temple (萬魚寺), I would like to observe the expansion of the story of the Buddha Shadow on Mt. Maneo in the Sam Guk Yu Sa during the Goryeo Dynasty. As a methodology for this research, I will analyze the psychology of people involved.
目次Ⅰ. 서론 276

Ⅱ. 『관불삼매해경』 설화의 기원 278

Ⅲ. 「어산불영」의 성립과정 288

Ⅳ. 결론 303
ISSN27140938 (P); 27140946 (E)
DOI 10.21718/EABC.2022.49.09
ヒット数63
作成日2023.06.21
更新日期2023.06.21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73645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