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탁오(卓吾) 이지(李贄)의 불교사상과 그 의의(意義)=The Buddhist Thought and Its Significance of Li Zhuowu
著者 김진무 (著)=Kim, Jin-moo (au.)
掲載誌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巻号v.40 n.0
出版年月日2019.12
ページ361 - 386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サイト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원광대학교 강사
キーワード탁오=卓吾=Zhuowu Lizhi; 이지=李贄; 동심설=童心說; 화엄경합론간요=華嚴經合論簡要= HuayanjingJianyao; 분서=焚書; 정토결=淨土決; The Taizhou school; The Ming Dynasty Buddhism; Jingtujue
抄録이탁오는 만명(晩明)시기에 활동했던 인물이다. 이 시기는 송대로부터 건립된 ‘이학’이 점차 그 맹점을 노정하고 있었고, 그에 대한 반성으로 심학(心學)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심학을 계승한 왕양명의 ‘양명학’이 유행하였다. 양명학은 조사선의 종전(宗典)인 『육조단경』에 깊은 영향을 받았고, 그에 따라 많은 유학자들과 관료사대부들이 불교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양명학의 유행은 송대 이후로 쇠락해 가던 불교를 부흥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으며, 결과적으로 운서주굉(雲棲袾宏), 자백진가(紫柏眞可), 감산덕청(憨山德淸), 우익지욱(蕅益智旭) 등 이른바 명대 ‘사대고승’을 출현하여 한때 중흥기를 맞이하게 되었는데, 그 중간에 매개적 역할을 했던 이가 바로 이탁오라고 하겠다. 이탁오 역시 초기에는 ‘이학’을 공부해 관료생활을 하다가 양명학에 매료되었고, 관직을 그만 둔 이후에는 전적으로 불교공부를 하였으며, 만년에는 스스로 삭발하여 승려의 모습으로 활동하다가 결국 감옥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음으로 생을 마쳤다. 이탁오의 불교사상은 양명학의 영향으로 삼교합일의 특색을 보이고 있으며, 또한 『육조단경』으로부터 비롯된 조사선의 사상적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점은 이탁오가 독창적으로 제시한 ‘동심설(童心說)’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탁오의 불교저술인 『화엄경합론간요』, 『반야심경제강』, 『정토결』에서도 조사선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있음을 볼 수 있는데, 특히 『정토결』은 조사선의 ‘유심정토(唯心淨土)’의 사상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고에서는 이탁오를 숭상하고, 청대 불교의 혜명이 끊어질 위기에 불법을 되살린 팽제청과의 영향관계를 논했다. 팽제청은 ‘정토’와 이통현의 화엄을 결합하여 ‘화엄정토’를 제시하고, 또한 ‘거사불교’를 제창하였는데, 이는 이탁오의 영향이 절대적이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사상사적인 입장에서 보자면 청대 팽제청은 근대와 현대의 중국불교에 절대적인 가교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팽제청으로부터 공양학파(公羊學派)의 공자진(龔自珍), 위원(魏源)으로 계승되고, 이들의 사상은 근대의 양문회(楊文會)로 계승되어 민족불교로서 정립되어 송대 이후로 쇠락한 불교가 다시 사상적 주류로 자리매김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팽제청과 공자진, 위원도 중요하지만, 이탁오의 역할도 결코 무시할 수 없음을 본 논문에서 밝혔다.

Li Zhuowu(李卓吾) was a figure who was active during the late Ming Dynasty. In the period, the "Neo-Confucianism" constructed from Song Dynasty gradually revealed its blind spot. As a result, Wang Yang Ming's 'Yang Mingxue(陽明學)' became popular. Yang Mingxue was deeply influenced by “the Platform Sutra of the Sixth Patriarch”, which led many scholars and bureaucrats to become interested in Buddhism. This trend of Yang Mingxue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vive Buddhism, which has been declining since Song Dynasty. As a result, the emergence of so-called 'Four Eminent Monks in Ming Dynasty', such as Yunxi Zhuhong(雲棲袾宏), Zibo Zhenke (紫柏眞可), Hanshan Deqing(憨山德淸), OuYi ZhiXu(蕅益智旭) led to a period of revival. It was Li Zhuowu who played a mediator in the middle. Li Zhuowu was also fascinated by Yang Mingxue while living as bureaucracy after studying Neo-Confucianism in his early life. After he left office, he studied entirely Buddhism. In his later years, he shaved hair and acted as a monk, ending up in prison by killing himself. His works and writings still attract the attention of many people and are being studied in various fields. It is not only a theoretical writing but also a reflection of his ideas in his life itself. In this paper, we discussed influence of Pengjiqing(彭際淸), who revered Li Zhuowu and revived Buddhism in the midst of the disappearance of Buddhism in Qing Dynasty. Pengjiqing combined 'Jingtu(淨土)' and Litongxuan(李通玄)'s 'Huayan(華嚴)' to present 'HuayanJingtu', and also proposed 'layman Buddhism'. In many respects, it can be found that the influence of Li Zhuowu was absolute. From the point of view of history of thought, Pengjìqing in Qing Dynasty is an important bridge between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Buddhism. In particular, he was succeeded by ‘Gongyáng school(公羊學派)’ such as Gongzizhen(龔自珍), Weiyuan(魏源) in Qing Dynasty to Yangwenhui(楊文會) in the modern society. Their ideas were established as national Buddhism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ringing Buddhism, which had declined from since Song Dynasty, to become an ideological mainstream. This paper revealed that Li Zhuowu role was very important in this process.
目次Ⅰ. 서언(緖言) 362

Ⅱ. 시대상황과 이지의 생애 364

Ⅲ. 저술에 나타난 불교사상 372

Ⅳ. 결어(結語) 381
ISSN27140938 (P); 27140946 (E)
DOI 10.21718/EABC.2019.40.13
ヒット数66
作成日2023.06.24
更新日期2023.06.24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73789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