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조계진각국사어록(曹溪眞覺國師語錄)』에 나타난 삼학(三學)=Samhak (三學) Appearing in “Jogye Jingak Guksa Analects (曹溪眞覺國師語錄)”
著者 하영수 (著)=Ha, Young-Su (au.)
掲載誌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巻号v.36 n.0
出版年月日2018.12
ページ247 - 269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サイト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선학과 박사과정

キーワード無事人=Mushiren; 三學=Samhak; 信= belief; 六祖壇經=Yukjodangyeong; 南宗禪=Namjong Seon; 禪佛敎=Seon Buddhism
抄録계·정·혜(戒定慧) 삼학(三學)은 초기불교이래 현재까지 불교 수행의 핵심이다. 그렇지만, 초기불교와 남종선 계통의 선불교 인식 차이로 인해 달리 생각하였다. 깨달음을 돈오(頓悟)와 점수(漸修)로 인식하여 서로 다른 것으로 여기게 된 것이다. 眞覺國師 慧諶(1178-1234)은 남종선을 전승하고 있었으므로 『조계진각국사어록』에서도 돈오 개념인 삼학이 보인다. 이 어록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그동안 어록과 관련된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지만, 삼학이라는 주제로 연구한 것은 없다. 그 이유는 어록은 최상근자(最上根者)를 위한 것으로 그 법문의 내용이 돈오라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록 또한 깨달음을 목적으로 설한 것이기에 여기에서도 불교 핵심인 삼학이 내제되어 있다. 『조계진각국사어록』에 나타난 삼학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점진적인 것이 아니라 돈오의 원리에 이루어진 삼학이다. 이러한 사상의 근거가 되는 것은 혜능선사가 지은 『육조단경』인데, 이것에서 연원을 찾을 수 있다. 혜심은 삼학 이전에 가져야 할 것은 믿음으로 信을 바탕으로 하여 계정혜가 이루어 진다고 했다. 그는 어록에서 삼학을 계율, 선정, 지혜 등의 것들은 善한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善하다는 것이 삼학으로 선한 생각조차 없는 상태를 화두일념에 든 것이고, 이 상태가 되면 그 안에 信과 삼학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이렇게 수행한 자의 삶을 어록에서는 ‘무사인(無事人)’으로 표현을 하였다. 삼학을 인식하는 것에서는 초기불교와 남종선 계통의 선불교에서의 차이는 분명하게 존재한다. 그러나 본질적인 측면에서 생각해보면 삼학은 모두 깨달음과 관련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그러므로 깨닫기 위해 가는 방법이 다를뿐, 이것의 지향점은 같기 때문에 절대 다르지 않다.

Gyejeonghye Samhak is the core of Buddhist practice to date since the early Buddhism. However, it is thought differently because of the recognition difference between the early Buddhism and the Seon Buddhism of Namjong Seon system. It is regarded as different because the enlightenment is recognized as gradual or sudden enlightenment. As Jingak Guksa Hyeshim (1178-1234) was handing down the Namjong seon idea, "Jogye Jingak Guksa Analects" also shows Samhak, a concept of Sudden Enlightenment. These analects are the oldest in Korea and many studies related to analects have been conducted in the past, but there has been no study with the subject of Samhak. The reason is that the analects are for the best because the contents of Buddhist writings were Sudden Enlightenment. However, since the analects are also addressed for the purpose of enlightenment, Samhak, the Buddhist core, is also inherent here. Samhak in "Jogye Jingak Guksa Analects" is not a gradual one that is generally known, but Samhak in the Sudden Enlightenment principle. The basis of this idea is "Yukjodangyeong", which can be found in this. Hyeshim believes that there is a thing which should be belief before Samhak, and Gyejeonghye is said to be based on belief. He defines Samhak as "goodness" in the analects, such as ruling, selection, and wisdom. As something goodness is Samhak, the status of some thought like goodness means getting into one mind of Hwadu, and in this state, belief and Samhak exist in it. The life of the person who performed this was expressed as 'Mushiren' in the analec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arly Buddhism and the Seon Buddhism in the Namjong seon system is evident from recognizing Samhak. But from an essential point of view, everyone talks about Samhak related with the Enlightenment. Therefore, the way to go to realize it is different, and the aim of this is the same, and not to be any different.
目次Ⅰ. 서론 248

Ⅱ. 三學 250

Ⅲ. 三學修行者의 삶 264

Ⅳ. 결론 266
ISSN27140938 (P); 27140946 (E)
DOI 10.21718/EABC.2018.36.09
ヒット数64
作成日2023.06.25
更新日期2023.06.25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73866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