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일본중세 신불교 조사들의 신행관 - 도겐(道元)·신란(親鸞)·니치렌(日蓮)을 중심으로=The Viewpoints on belief and practice asceticism by the founders of sects in Japanese Middle Age: Focused on Thoughts of Dogen(道元) · Shinran(親鸞) · Nichiren(日蓮)
著者 원영상 (著)=Won, Yong-sang (au.)
掲載誌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巻号v.34 n.0
出版年月日2018.06
ページ243 - 267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サイト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원광대학교
キーワード신행관=Belief and Practice; 도원=道元= Dogen; 신란=親鸞= Shinran; 니치렌=日蓮= Nichiren; 말법사상; 지관타좌; 교행신증; 법화경= Saddharma Puṇḍarīka Sūtra=法華經; 대승정신=Mahāyāna Buddhism; 참여불교=engaged Buddhism; New-Buddhism
抄録중세 일본불교의 조사들은 불교계가 유착했던 고대의 왕권국가의 몰락과 말법사상의 유포로 인해 쇠퇴해 가는 불법을 다시금 세우기 위해 각자의 신앙과 깨달음에 의거해 신불교를 세웠다. 이 가운데 도겐(道元)·신란(親鸞)·니치렌(日蓮)이야말로 신불교의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내는 조사들이다. 일불(一佛) 즉 일체불(一切佛)이며, 일법(一法) 즉 일체법(一切法)이고, 일승(一僧) 즉 일체승(一切僧)의 정신을 잘 나타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조사들의 신행관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이 조사들의 교상판석을 살펴보자면, 도겐의 경우, 지관타좌(只管打坐), 본증묘수(本證妙修), 수증일여(修證一如)를 기반으로 기본적인 가르침을 확립하고 있다. 신란의 경우, 칭명염불과 더불어 신심의 정토사상을 확립했다. 니치렌의 경우, 오중삼단(五重三段)과 오중상대(五重相對), 오의(五義)의 교판이 핵심이다. 신행관에 있어 먼저 일본선을 창안한 도겐은 그 이름이 보여주듯 신(信)을 도의 가장 근원에 두고 있으며, 천태본각사상의 영향으로 수행과 깨달음의 불이(不二)관계를 통해 철저한 행의 불교를 확립했다. 신란 또한 『교행신증』에서 보듯이 가르침, 실행, 믿음, 증명이 일관된 신앙관을 확립했으며, 악인정기사상(惡人正機思想)을 통해 누구든 구제의 가능성이 있음을 설파하여 말법시대에 불법의 진정한 의미를 구현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니치렌은 말법시대에 『법화경』에 의거, 정법의 근원인 석가모니불을 믿으며, 자행(自行)과 타화(他化)의 가르침을 자신의 수난을 통해 깊게 확립했다. 이러한 조사들의 신행은 먼저 대승정신의 구현을 보여준다. 또한 발심-출가-구도-깨달음-구제활동의 신행의 행로를 통해 구생(求生)과 구세(救世)를 구현하고자 했다는 점이다. 그리고 시기관(時機觀)의 재구성을 통해 불법에 대한 믿음과 실천의 문제를 시대적으로 구체화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은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참여불교(Engaged Buddhism)의 전형을 이미 구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Founders of sects in medieval times in Japan established New-Buddhism based on their belief and realization to restore teachings of Buddha that declined due to fall of the ancient royal nations allied with Buddhism in distribution of eschatology of Buddhism. Among them, Dogen·Shinran·Nichiren are founders that best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New-Buddhism. Because they well display the spirit such as Ilbul(一佛) is Ilchebul(一切佛), Ilbeob(一法) is Ilchebeob(一切法), and Ilseung(一僧) is Ilcheseung(一切僧).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viewpoints on belief and practice asceticism by the founders of sects. Firstly, when investigating the classification of Buddha's teaching by the founders of sects, Dogen established the basic teachings based on Jigwantaza(只管打坐), Bonjeungmyosu(本證妙修), and Sujeungilyeo(修證一如). Sinran established the Pure Land thought of belief along with chanting Amitabha. And the core of Nichiren thoughts is composed of the teachings of Ojungsamdan(五重三段), Ojungsangdae(五重相對), and Oui(五義). Dogen, who created Japanese zen(禪) firstly in the viewpoints on belief and practice asceticism, as his name, put belief on the fundament of Tao(道, truth), and established Buddhism of thorough act through Buli(不二) relation between cultivation and realization due to the influence of Cheontaebongak idea(天台本覺思想). Shinran, also, established a consistent faith view verified with teaching, act, and belief, as in Gyohaengsinjeung(敎行信證), and intended to realize the true meaning of teachings of Buddha during eschatological era of Buddhism by preaching the possibility of salvation in anyone through Aginjeonggi idea(惡人正機思想). Lastly, Nichiren believed in Sakyamuni, the essence of Jeongbeob(正法), based on Saddharma Pundarika Sutra(法 華經) during eschatological era of Buddhism, and deeply established teaching of Jahaeng(自行) and Tahwa(他化) through his hardship. The belief and practice asceticism of such founders firstly displays the realization of spirit of Mahayana Buddhism. Also, another point is realization of Gusaeng(求生) and Guse(救世) through the belief and practice asceticism through resolution(發心), becoming a Buddhist priest(出家), seeking the truth(求道), realization(깨달음), salvation(救濟) activity. Also, actualization of the matter of belief and practice to teachings of Buddha through reconstitution of Sigigwan(時機觀) during that period. Such point already showed a model of engaged Buddhism required by the modern society.
目次Ⅰ. 일본중세 신불교의 출현과 불교의 토착화 244
Ⅱ. 신불교 조사들의 교상판석 247

Ⅲ. 신불교 조사들의 신행의 여정 252

Ⅳ. 신불교 조사들의 신행관의 현대적 의미 261
ISSN27140938 (P); 27140946 (E)
DOI 10.21718/EABC.2018.34.09
ヒット数62
作成日2023.06.28
更新日期2023.06.28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74139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