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도생(道生)의 ‘리(理)’와 이학(理學)의 ‘이일분수(理一分殊)’=Daosheng(道生)'s ‘Li’ and Neo-Confucianism's ‘One Principle and Its Many Manifestations(理一分殊)’
著者 김진무 (著)=Kim, Jin-moo (au.) ; 류화송 (著)=Ryu, Hwa-song (au.)
掲載誌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巻号v.33 n.0
出版年月日2018.03
ページ221 - 249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サイト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김진무: 원광대 외래 교수
류화송: 충남대 외래 교수
キーワード리=理= Li; 이일분수=理一分殊=one principle and its many manifestations; 도생=道生= Dàoshēng; 돈오=頓悟=sudden enlightenment; 이학=理學=Neo-Confucianism; 징관=澄觀= Chéngguān; 유불통합=儒佛統合=integration with Confucianism and Buddhism
抄録본고는 위진(魏晋)·남북조(南北朝) 교체기에 활동한 도생(道生)의 ‘리(理)’와 송대(宋代) 이학(理學)의 핵심명제인 ‘이일분수(理一分殊)’를 고찰하여 그 영향관계를 밝힌 것이다. 중국사상사에서 ‘리’를 ‘본체(本體)’의 의미로서 이른바 ‘지존(至尊)’의 자리에 올린 이는 바로 도생이라고 볼 수 있다. 그에 따라 본고에서는 도생의 ‘리’의 탐구와 그로부터 출현한 ‘돈오론(頓悟論)’을 살펴보았다. 한편 도생과 송대 ‘이일분수’를 본격적으로 제창한 이정(二程; 程顥·程?)과는 약 6백여 년의 시차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수(隋)·당(唐)대 불교와 유학자들이 제시한 ‘유불통합(儒佛統合)’과 관련된 논의를 살펴보았으며, 또한 송대에 나타난 ‘유불합류’의 흐름을 고찰하였다. 나아가 장재(張載)의 『서명(西銘)』의 해석과 관련한 논의를 통하여 이정이 제창한 ‘이일분수’와 그와 관련된 주희(朱熹)의 논술을 고찰하여 이학에서 제창하는 ‘이일분수’의 대체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것과 도생과 당대(唐代) 징관(澄觀)의 ‘리’와 관련된 부분을 비교하여 그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로부터 이학의 ‘이일분수’에는 도생으로부터 제창된 ‘리’와 징관의 화엄학의 영향을 받아 나타난 것이 분명하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학이 송대 이후로 주류를 차지함에 따라 불교의 흐름에도 영향을 미쳐 불교의 유학화, 즉 ‘출세’지향의 불교가 점차로 ‘입세’를 강조하여 이른바 ‘윤리화’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I considered Daosheng's ‘Li(理)’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of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魏晋南北朝) and ‘one principle and its many manifestations(理 一分殊)’ as the core proposition of Neo-Confucianism in Song dynasty and then I determined their influencing relationship in this paper. We can say that Daosheng drew ‘Li’ to ‘the best’ as ‘the first principle’ in Chinese history of thought. Therefore I searched ‘Li(理)’ of Daosheng and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頓悟論)’ from it. Meanwhile, there was six hundred parallax between Daosheng and er Cheng(Chenghao(程顥)·Chengyi(程?)) advocating for ‘one principle and its many manifestations(理一分殊)’. Therefore I have searched some related discussion about ‘integration with Confucianism and Buddhism(儒佛統合)’ which were presented by Buddhists and Confucianists in Sui(隋) and Tang(唐) dynasties in this paper. I also examined ‘the joining with Confucianism and Buddhism(儒彿合流)’ in Song(宋) dynasty. In this paper, I considered ‘one principle and its many manifestations(理一分殊)’ advocated by er Cheng in Zhangzai(張載)'s 『Ximing(西銘)』 and Zhuxi(朱熹)'s essay related to the slogan. Then I checked the general contents of ‘one principle and its many manifestations(理一分殊)’ in Neo-Confucianism. Comparing with Daosheng and Chengguan(澄觀)'s ‘Li(理)’ in Tang(唐) dynasty, I also examined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Therefore I clearly reached a conclusion that ‘one principle and its many manifestations(理一分殊)’ in Neo-Confucianism was influenced by Daosheng's ‘Li(理)’ and the science of Huayan. But as Neo-Confucianism occupied mainstream after Song(宋) dynasty, it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stream of Buddhism. So we can see Confucianized Buddhism, so-called ethicalized Buddhism, not leaving home-oriented but entering world-oriented.
目次I. 서언(緖言) 222

II. 도생(道生)의 ‘리(理)’와 ‘돈오론(頓悟論)’ 224

III. ‘유불통합(儒佛統合)’의 출현과 전개 231
IV. 이학의 ‘이일분수(理一分殊)’와 불교의 영향관계 236

V. 결어(結語) 244
ISSN27140938 (P); 27140946 (E)
DOI10.21718/EABC.2018.33.09
ヒット数107
作成日2023.06.30
更新日期2023.06.30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74314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