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득의 관점에서 바라본 설일체유부의 아라한 퇴보설=On the Sarvastivadin Theory of the Arhat`s Regression: From the Perspective of Acquisition (prapti)
著者 김한상 (著)=Kim, Han-sang (au.)
掲載誌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巻号v.27 n.0
出版年月日2016.09
ページ175 - 196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サイト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외래강사.
キーワード퇴보=parihāṇi; 여섯 종류의 아라한; 시해탈=時解脫=samaya-vimukti; 비시해탈=非時解脫=samaya-vimukti; 득=得=prāpti; 번뇌의 상속;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Sarvāstivāda
抄録본 논문은 비바사(毘婆娑, Vaibhasika)라고도 불리는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 Sarvastivada)가 마하데와(Mahadeva)의 다섯 가지 사항들(五事, pancavastu)을 이단설로 배척하면서도 아라한이 정신적으로 퇴보(parihani)할 수 있음을 동시에 주장한 저의를 탐구한다. 설일체유부는 아라한도 퇴보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기 때문에 초기 불교의 시해탈(時解脫, samaya-vimukti)을 ‘아라한의 일시적 해탈’로 해석하였다. 그리고 법의 수준이나 종성(種姓, gotra)에 따라서 아라한을 여섯 종류로 세분하였다. 여섯 아라한들은 퇴법(退法, parihana-dharman)과 불퇴법(不退法, aparihana-dharman)의 두 범주로 크게 나뉜다. 이러한 해석은 득(得, prapti)의 관점에서 바라보아야만 한다. 득은 개별적인 법들을 개인의 삶의 연속(santana)에 부착하여 존재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 cittaviprayukta-samskara-dharma)의 하나이다. 그리고 그 자체로 개별적 실체(dravyantara)이자 고유의 법(dravyadharma)이다. 그러므로 설령 아라한에게 번뇌(煩惱, klesa)가 모두 제거되었더라도 그 실체는 없어지지 않는다. 어떠한 상황에서는 과거의 번뇌가 현재의 또 다른 번뇌가 일어나는 원인이 되며, 이 때문에 아라한이 퇴보한다. 이러한 생각은 설일체유부의 핵심 교의인 삼세실유(三世實有, sarvakalastita)와 법체항유(法體恒有, svabhavah sarvada casti)와 연결된다. 그래서 설일체유부의 아라한 퇴보설은 초기 불교에서 특권적 위치를 차지하던 아라한의 위상을 폄하하려는 목적과는 무관하며, 인간의 경험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들 간의 경험적 연결이나 통일성을 해명하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지극히 사변적이고 현학적인 이론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The present paper examines why the Sarvativains, otherwise called Vaibhasikas, asserte the possibility of spiritual retrogression even though they dispute Mahadeva`s five propositions (panca-vastu) as a heretical view. The Sarvastivadins interpretate the term samaya-vimukti as ‘arhats`s temporal deliverance’, for they think this term is evidence for their doctrine that even arhats have the possibility of retrogression. Accordingly, they distinguish the arhat into six varieties by their dharma level or linage (gotra). These six kinds of arhats could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ose susceptible to retrogression (parihana-dharman) and those not susceptible to retrogression (aparihana-dharman). This interpretation should be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acquisition (prapti). It is the conditioned force (cittaviprayukta-samskara-dharma) that attaches independent dharmas to the life continuum (santana) of the individual, thus helping to maintain the semblance of the continuity of the person. On the part of the Sarvastivadins, the acquisition itself is a particular entity (dravyantara) or substantial dharma (dravya-dharma). Therefore, even if the defilements (klesa) are destroyed from the arhat, the substantiality of the defilements or dharmas is never annihilated. Under certain conditions, that past defilement may serve as the cause for the arising of another present defilement, causing the arhat to retrogress. This thought is also related to their fundamental theory of all exist in three period of time (Sarvakalastita·Svabhavah sarvada casti). In this regards, we can safely conclude that the Sarvastivadin theory of the arhat`s regression is not aimed at dislodging the arhat from the privileged position which had been acknowledged from the beginning, but a scholastic and speculative conclusion responding to the problem of accounting for the experienced connection or coherence among all factors constituting the experience of one sentient being, or, in Buddhist terminology, within one life-stream (samtana).
目次I. 머리말 176

II. 시해탈과 비시해탈 179
III. 여섯종류의아라한 183
IV.득과 번뇌의 상속 186
V. 맺음말 190
ISSN27140938 (P); 27140946 (E)
ヒット数45
作成日2023.07.24
更新日期2023.07.24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77254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