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베다의 언어와 저자 부재설 논쟁에 관한 연구=The Study of the Vedic Language and its Controversy surrounding the Absence of Authorship
著者 김유리 (著)=Kim, Yu-ri (au.)
掲載誌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巻号v.26 n.0
出版年月日2016.06
ページ117 - 141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サイト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인도철학과
キーワード성언량; 베다의 권위; 베다의 저자부재설; 인도 정통 학파; 인도 비정 통학파; Sabda; Authority of the Veda; The Veda Author Absence Theory; Indian Traditional School; Indian Non-traditional School
抄録이 논문은 유식학의 말나식과 라깡 정신분석학의 거울단계를 비교한 연구 이다. 불교의 무아론은 데카르트적 코기토와 심리학의 자아이론을 모두 부 정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아의식의 존재는 부정할 수 없는데, 이것은 유식학에서 자아의식이라고 일컬어지는 말나식이 어떻게 무아론에 근거할 수 있는가라는 의문을 제기한다. 이 논문은 라깡의 거울단계와 말나식을 비 교하면서, 말나식이 라깡의 자아와 마찬가지로 무의식적 주체와 관련되어 있 으며 의식활동의 중심이 아니라 자기 소외와 매혹, 그 결과 집착과 고통이 발 생하는 근원이라는 사실을 해명한다. 그 결과 자아에 대한 불교의 설명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객 관적 실체나 의식의 주체로서의 자아는 존재하지 않지만 ‘의식현상으로서의 자아’는 존재할 수 있다. 둘째, 자아는 가상적인 것이지만 어떤 심리적 기능 을 수행함으로써 현실성을 갖는다. 셋째, 자아는 상상적 동일시를 통해 자아 에 대한 매혹(집착)과 소외(번뇌)를 발생시키는 근원이다. 이 결론은 현재 심리학과 불교의 융합이란 명목으로 사용되는 ‘자아정체 성’, ‘자기 긍정’, ‘자아존중’ 따위의 개념들에 대한 재고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This paper examines the major topic of discussion in Indian Philosophy, which is the argument around if the Veda has an author or not. The absence of the Veda``s author has created a prolonged disagreement about the Veda``s final message or where it has originated. Not only between the traditional schools that acknowledges the Veda``s authority and non-traditional schools, but also even within the traditional schools, there are difference in opinion about this topic. First of all, among the members of the traditional schools that acknowledges the Veda``s authority, Mimamsa and Vedanta that base their argument within the text of the Veda, views the Veda-the target of their interpretation-as the existing element of truth that is not artificial writing of humans or gods. On the other hand, Nyaya-Vaisesika, Samkhya, and Yoga schools that are member of traditional school but base their argument on independent grounds, claim that there is no literature without an author. The early Nyaya School called the original author of the Veda as the ancient saint who possessed a special ability to directly perceive imperceptive reality. The later Nyaya and Vaisesika school regarded it as having originated from god(isvara). Since the non-traditional schools were in a position of denying the Veda``s authority, the issue of verifying the authority was not important from the beginning and the issue surrounding the principal agent of authority was regarded with different assumptions. The author introduces the difference in opinion among the schools that engaged in this discussion, describes especially the three different arguments in detail and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Veda and the Buddhist scriptures.
目次I. 서론 118

II. 베다의 성언량과 언어(śabda)와의 관계 120
III. 베다의 저자 부재설을 주장하는 정통 학파의 견해 125
IV. 베다의 저자 부재설에 반대하는 견해 131
V. 결론 135
ISSN27140938 (P); 27140946 (E)
ヒット数52
作成日2023.07.25
更新日期2023.07.25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77271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