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명상과 사회의 관계성에 대한 선적(禪的) 고찰 -곽암선사의 『십우도』를 중심으로=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meditation and society through Seon(禪) Thought -Focusing on Kuoyan(廓庵) master`s Shiniutu(十牛圖)
著者 오용석 (著)=Oh, Yong-Suk (au.)
掲載誌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巻号v.23 n.0
出版年月日2015.09
ページ483 - 510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サイト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연세대 인문학연구원
キーワード명상= Meditation; 십우도=Shiniutu=十牛圖; 사회= Society; Meditation and society=명상과 사회; 보살행= The way of Boddhissatva
抄録본 논문은 명상의 개념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을 통하여 명상과 사회의 관계성에 대하여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 일반적인 명상에 대한이해는 ‘눈을 감고 고요히 생각하는 것’ 혹은 ‘몸과 마음을 닦는 것’이었으나 다양한 출가자, 명상가, 학자 등이 명상에 대하여 언급한 개념을 통하여 명상이라는 것은 몸과 마음을 닦는 소극적 의미뿐 아니라 지혜와 자비를 사회 속에서 실천하는 적극적인 의미도 포함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특히 곽암선사의 『십우도』에는 이러한 수행, 깨달음, 보살행등의 내용이 잘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사상은 논자가 정의한 ‘명상이란 몸과 마음을 닦는 행위뿐 아니라 세상을 껴안는 깨어있는 삶의 과정이다.’라는 말과 일치하였다. 또한 선이 가진 일반적인 입장과 개념에 의거하여 명상과 사회의 관계에 대하여 좀 더 심층적인 논의를 진행하였다. 선의 기본적인 입장은 연기에 입각한 ‘관계론’이다. 그리고 선에서 추구하는 무념의 실천이란 세계 속으로의 초월이지 도피와 단절을 의미하는 세계 밖으로의 초월이 아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명상을 한다는 것은 개인의 행복뿐 아니라 복수의 개인이 함께하는 사회 속에서 함께 참여하고 삶을 긍정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meditation and society through the Seon Thought. Generally we think of meditation as ‘closed eyes and think quietly of something’, but a lot of research has revealed that meditation involves various approaches and meanings. Literally, meditation means not only practice of mind and body but also involves the awakening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society. I also focused on Master Kuoyan’s (廓庵) Shiniutu(十牛圖) which discussed the practice, enlightenment, and the way of Bodhisattva. Through the thought of Shiniutu one can find corresponding points with meditation that I defined above. Finally, on the basis of common positions and concepts I engaged a more in-depth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tation and society. The primary thought of Seon lies in ‘Relations’ that is based on the concept of dependent arising. The practice of Seon is not to escape and break out of the world but to transcend into the world. In this context, practice of meditation involves not only pursue of individual happiness but also the participation in social relations.
目次I. 들어가는 말 484

II. 명상의 개념에 새롭게 눈뜨기 486
III. 곽암선사 『십우도』를 통해 본 명상 492
IV. 명상과 사회에 대한 禪的 담론 497
V. 맺는 말 504
ISSN27140938 (P); 27140946 (E)
ヒット数118
作成日2023.07.26
更新日期2023.07.26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77653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