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원홍은 신라승려인가? -『법화경론자주』의 인용문헌을 중심으로=Another Commentary on the Fahuajinglun composed by a Silla monk
著者 김천학 (著)=Kim, Cheon-hak (au.)
掲載誌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巻号v.17 n.0
出版年月日2014.03
ページ185 - 208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サイト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

キーワードSilla monks; Wonhongsa-jang; Beophwagyeongronjaju=법화경론자주; Fahuajinglun; Wonhong=원홍; 신라승려; 원홍사장; 법화경론
抄録본고는 세친의 저술이라고 일컬어지는 『법화경론』에 대한 저술 가운 데 『법화경론자주(法華經論子註)』 3권의 저자인 원홍(圓弘)이 신라인임 을 증명하기 위한 논문이다. 인도사상가인 세친에 의해 『법화경론』이 저술되었지만, 그것이 사상 적으로 중요한 근거로 활용된 것은 중국에서 번역된 이후이며, 나아가 동아시아에서는 『법화경』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해석 근거로 이용되 었다. 신라의 법화사상사도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전개되었던 것은 의적 석, 의일찬의 『법화경론술기』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에 원홍의 『법화경론자주』가 가나자와(金澤)문고와 쇼고 조(聖語藏)에 존재함이 밝혀지고, 이것을 입수하여 자세히 분석할 수 있 게 되었다. 원홍의 저술은 731년에 이미 『원홍사장』이, 748년에 『법화경 론자주』가 필사된다. 즉 원홍은 731년 이전에 저술활동을 하였다는 것 이다. 이와 같은 원홍의 활동연대를 염두에 두고 원홍이 신라인이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크게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는 원홍에 대 한 제 자료를 통해 원홍이 신라인이라는 가설을 증명하려고 하였다. 둘 째, 『자주』의 인용문헌을 통해 원홍이 신라인임을 증명하려고 하였다. 첫째 방법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법상유식의 기와 대 비되는 신라인의 그룹에 원홍이 속해있다는 사실이다. 다음으로 신라 표원의 『요결문답』과 설명방식이 일치한다는 점이다. 원홍의 『원홍사 장』을 주석한 이문(理門)은 태현의 저술에도 복주를 저술한다. 이렇게 신라 법상유식을 존중한다는 점에서, 원홍 역시 신라인의 가능성을 염 두에 둘 수 있다. 둘째 방법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자주』의 인용문헌을 통 해서는 의적, 원효, 의상과 일치하는 예를 각각 2회, 3회, 1회 정도를 찾 아내어 증명하였다. 그 가운데 의적의 1예는 문장이 정확히 일치하고, 원효 2회와 의상의 1예는 용어가 정확히 일치함을 확인하였는데, 앞에 서 언급한 신라 표원 저술과의 관련을 고려하면 원홍이 신라 승려의 저 술을 읽었다고 단정할 수 있다. 다만, 인용사실을 통해 원홍이 의적 등 보다 뒤의 인물이라는 증명은 될 수 없다. 동시대에 활동하였다고 볼 수 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대에 대해서는 문제가 남아 있지만, 신라 인의 저술을 보았다는 점에서 원홍이 신라인임을 증명하였다고 생각된 다. 한편, 사본을 좀 더 면밀하게 검토하면 신라승려의 문헌을 인용한 흔 적을 더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포함해서 향후 세밀한 주 석을 통해 또 하나의 신라인 주석서 원홍의 『법화경론자주』에 대해서 연구하고, 의적, 원효, 경흥 등 신라 승려와 비교하여 본 문헌을 신라인 의 법화사상사에 추가하고자 한다.

The Fahuajinglun (the Saddharma-pundarikopadesa (妙法蓮華經憂 波提舍)) written by Vasubandhu is a commentary on the Lotus Sutra and has the meaning of a guidebook the Lotus Sutra. The Fahuajinglun was translated into Chinese two times. One translation was made by Ratnamati (勒那摩提), and the other by Bodhiruchi (菩 提留支), both of them are extant and its Sanskrit version has not been identified. The Fahuajinglun annotates “Introduction,” “Chapter on Expedient Means” and “Chapter on Parables” of the Lotus Sutra. This paper corresponds to an introduction so as to make an earnest study henceforward on the Beophwagyeongronjaju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the Jaju”) as a writing of a Silla monk, on the premise that Wonhong, who wrote the Jaju, is definitely a man of Silla. the Jaju among Wonhong`s works were already transcribed in 748. This means that he wrote them earlier than 731. Two primary methods were used in order to prove that Wonhong is a man of Silla with his activity period in mind. The first method is to prove the fact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ed on him, and the second method through a literature cited in the Jaju. As for the first method, in the first place, Annen`s Kyojisoron describes that Wonhong belongs to a group of Silla monks who were contrasted with Kuiji who belongs to Chinese consciousness-only school transmitted from dharma characteristics school. Although the Old Consciousness-only teachings in the lineage of Paramartha stood on the center of opposing to Xuanzang`s theory of five natures distinction, most of Silla monks, whether he is Uijeok studying under Xuanzang or studying in Silla without going abroad, expressed their views opposite to Kuiji`s views. Such attitudes were not found at least in Chinese monks of Xuanzang tradition which was succeeded down from Xuanzang-Kuiji-Huizhao-Zhizhou. Further, seeing through Japanese scripts, Annen`s argument was confirmed to have some validity, and the fact that Wonhong`s expression method coincides with that of Pyowon from Silla in his yogyeol mundap was proved. And the fact that Gomyo, who had intimate relations with Silla recites the Wonhongsa-jang in his mind, is also important. Rimun (理門) annotated Wonhong`s Wonhongsa-jang and his re-annotation was found on catalogs. He also re-annotated Taehyeon`s works. Like Gomyo, Rimun though highly of works composed by Silla consciousness-only monks. Second, through Wonhong`s literature cited in the Jaju, we have found out examples of coincidence with the works of Uijeok, Wonhyo and Uisang, respectively two times, three times and one time, and examined their nature of conformity. Among the examples, we confirmed that
目次Ⅰ. 머리말 187

Ⅱ. 원홍에 대해서 189

Ⅲ. 원홍의 『법화경론자주』에 대해서 194

Ⅳ. 결론 202
ISSN27140938 (P); 27140946 (E)
ヒット数154
作成日2023.07.29
更新日期2023.07.29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77894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