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팔관회의 복원과 계승의 현대적 의의=The Modern meaning of the Restoration and Succession Palgwhanhoe
著者 김미숙 (著)=Gim, Mi-suk (au.)
掲載誌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巻号v.15 n.0
出版年月日2013.09
ページ55 - 79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サイト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원광대






キーワード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omprehensive cultural festival; cultural tradition; Palgwanhoe holding period; Palgwanhoe and Palgwanjaegye;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 전통문화와 종합문화축제; 팔관회 개최시기; 팔관재계; 팔관회
抄録대한민국 수립 이후 복원 또는 재현된 현대 팔관회에 대해 살펴보았다. 1994년 9월 30일 서울 한강시민공원에서 제1회 전통불교문화계승 10만 연등 팔관대재가 광복 후 처음 개최되었다. 이 행사가 해방 후 정립 수립 이래 최초의 팔관회 행사였다.1995년 10월 20일 서울 서대문구 봉원사에서 제2회 팔관회를 봉행하였고,1996년 11월 18일에 대전에서 제3회 전통불교문화계승 팔관대재를 거행하였다.1997년 9월 28일에는 제주도에서,부산에서는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총13회 팔관회를 개최 하였다.대구에서는 2011년 5월 초에 ‘2011대구 밀레니엄 팔관회’를 봉 행하였고,나주에서는 2011년 10월 26일에 거란 침입 시 고려 현종이 나 주로 피신한 역사적 사실을 재현하는 팔관회를 개최하였다. 현대 팔관회는 서울·대전·제주·부산·대구·나주 등지에서 복원 또는 재현되었으나 부산을 제외 하고는 대개 1회성 행사(서울은 2회)에 그쳤다. 이에 본고에서는 매년 거르지 않고 총 13회나 지속적으로 봉행 한 부산 팔관회에 주목하여 13회에 걸친 개최 현황과 목적, 의식과 내용 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팔관회의 설행 시기 문제를 살펴보고 역사 속 팔관회의 설행시기를 검토한 후 현재 6개 지역에서 총 19회에 걸쳐 봉행된 현대 팔관회의 개최 시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적합한 개최 시기는 10월과 11월 중 택일하는 것이 좋겠고, 개최 날짜도 3일간 할 경우, 최근 주 5일제 근무가 정착된 만큼, 첫째, 둘째, 셋째, 넷째 주 중 한주를 정하여, 금·토·일요일 등으로 달과 개최 주일 및 요 일을 고정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개진하였다. 현대 팔관회의 국민축제화 시안으로 첫째, 수행과 신행으로서의 전통을 계승하고 둘째 위령과 호국행사를 하며, 셋째, 종합문화축제의 장으로 승화시켜야 함을 논하였다. 본 논의는 팔관회가 가진 전통문화로서의 바탕 위에 그 현대적 계승 과 의의를 국민축제화 방안의 관점에서 살펴 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algwanhoe, the ancient religious festival of Korea, which was restored and reviv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Republic of Korea. On September 30, 1994, the first Palgwandaejae ritual with 0.1 million lotus candles, the first Palgwanhoe of its kind since the liberation of the country from Japanese occupation in 1945, was held at the Hangang Park in Seoul Korea in an effort to succeed its Buddhist culture tradition. The 2nd Palgwanhoe was held on October 20, 1995 at the Bongwon Temple in Seoul, and Daejoen hosted the 3rd festival on November 18, 1996. After that, a variety of cities joined the effort to keep the tradition. Jeju Island hosted the festival on September 28, 1997, and Busan held it as many as 13 times over two years from 2000 to 2012. The “2011 Daegu Millenium Palgwanhoe` opened in early May 2011 in Daegu and Naju hold the festival on October 26, 2011 to show the historical incident that ancient Korea`s King Hyeonjong escaped to the city from the intrusion of Khitan. Although a variety of cities including Seoul, Daejeon, Busan, Daegu and Naju revived and restored the ritual to protect cultural heritage of Palgwanhoe, they have been limited to host it as one time event except Busan (Seoul also had the festival only twice). For that reason, this study is focused on Palgwanhoe festivals of Busan which amount to 13 times over 3 years and their status, purposes, rituals and contents. The study compares the dates of 19 times of recent festivals and those in the ancient history to find out an optimized festival holding period. As a result, three days starting from Friday to Sunday in October or November are suppos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as 5-day workweek system was put in place in Korea. The study suggests that it is reasonable to fix a certain week of the two months for Palgwanhoe. In addition, it points out three conditions to develop Palgwanhoe into a national festival: first, it should revive ancient discipline and religious practice; second, it should fulfill the role of memorial ceremony; and third, it should provide an arena for a comprehensive cultural festival. The study seeks a measure to develop the value and purpose in restoring and reviving Palgwanhoe based on its tradition to make it a national festival.
目次I. 머리말 56
II. 팔관회의 복원과 재현 현황 58
III. 팔관회의 설행 시기에 대한 제안 63
IV. 현대 팔관회의 국민축제화 시안 67
V. 맺음말 71
ISSN27140938 (P); 27140946 (E)
ヒット数103
作成日2023.07.29
更新日期2023.07.29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77905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