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고구려 승랑의 융합적 사유 - 중가의(中假義)와 이교의(理敎義)=The Integrative Thoughts of Seungrang (僧朗) - Zhongjiayi (中假義) and Lijiaoyi (理敎義) -
著者 조윤경 (著)=Cho, Yoon-Kyung (au.)
掲載誌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巻号v.101 n.0
出版年月日2022.02.28
ページ9 - 42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サイト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국립안동대학교 동양철학과 조교수
キーワード승랑=Seungrang; 삼론종=Sanlun School; 중도=Middle Way; 가명=Provisional Names; 이제=Two Truths; 가르침=Teachings; 이치=Reason
抄録고구려 승랑(僧朗)은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사상가다. 고구려 출신으로 중국에 건너가 대부분 중국에서 활동했던 그의 사상을 중국불교이면서 동시에 한국불교로 규정할수 있는 까닭은 다른 중국 논사들과 구별되는 그의 독창적 사유에 기인한다. 그는 이방인의 비판적 시선으로 당시 중국불교가 당면한 문제를 거시적으로 바라보고 새로운해답을 제시했으며, 특정한 학파나 사상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사상들을 두루 흡수하고 융합시켜 삼론종이라는 독자적인 사상 체계를 창시했다. 본 논문에서는 삼론종의 핵심 사상인 중가의(中假義)와 이교의(理敎義)에 나타난 승랑의 독창적이고 융합적인 사유를 고찰해 보았다. 승랑은 ‘유도 아니고 무도 아니지만그럼에도 유고 그럼에도 무다[⾮有⾮無, ⽽有⽽無]’라는 구절로 자신의 중가의, 즉 중도와 가명의 밀접한 관계를 표현했다. 그는 중도와 가명은 걸림 없이 소통한다고 보았는데, 중도를 기반으로 일어난 가명은 대승경전의 자유자재한 가르침이기도 하다. 승랑의 또 다른 핵심 사상은 이치와 가르침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이교의다. ‘이제는 가르침이다.’라는 그의 주장은 당시 성실론사의 ‘약리이제설’(혹은 ‘약경이제설’)과승량의 ‘약교이제설’이 지닌 이원대립적 사유를 극복하고, 이제의 가르침이 이치와의필연적 관계 속에서 이해되어야 함을 역설했다. 뿐만 아니라, 그는 ‘어제(於諦)’와 ‘교제(敎諦)’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여 가르침을 깨달은 자와 교화대상의 역동적 소통으로 재해석했다.

Seungrang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thinkers of Korean Buddhism. Although he left Goguryeo and spent most of his life in China, his thoughts can be defined not only as Chinese Buddhism but also as Korean Buddhism because his creative ideas are distinguished from those of other Chinese thinkers. He looked at the problems facing Chinese Buddhism from the critical perspective of a stranger and was able to present a new answer based on the cultural back- ground of Goguryeo. Undoubtedly, he created the independent Sanlun thought by absorbing various theories of Chinese Buddhism at the time without being bound by a specific school of thought. This paper reviews a creative and integrative interpretation of Seungrang, focusing on Zhongjiayi (中假義) and Lijiaoyi (理敎義), the fundamental thoughts of the Sanlun school. Seungrang expressed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middle way and the provisional names, called Zhongjiayi, with the phrase “it is neither existence nor non-existence but there are, nevertheless, existence and non-existence (⾮有⾮無, ⽽有⽽無).” He thought the middle way and the provisional names interact without any obstacles. The provisional names that occurred based on the middle way also represent the free teachings of the Mahayana scriptures. Another core thought of Seungrang is Lijiaoyi, which represents the correlation between reason and teachings. He insisted that “two truths are the teachings,” and overcame the dual confrontational thinking of Chengshilunshi’s yueli-erdi theory (約理⼆諦說) and Sengliang’s yuejing-erdi theory (約境⼆諦說). He emphasized that the teachings are in an inevitable relationship with reason. In addition, he created the new concepts of yudi (於諦) and jiaodi (敎諦) and reinterpreted the teachings as dynamic communication between the enlightened and those who are preached to.
目次I. 들어가며 11

II. 중도와 가명의 상관성 12
III. 이치와 가르침의 상관성 21
IV. 나가며 37
ISSN12250945 (P)
DOI10.22255/JKABS.101.1
ヒット数84
作成日2023.08.29
更新日期2023.08.29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80899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