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翻梵語의 원어 착란 사례=An Example of Misunderstanding Original Words in the Sanskrit-Chinese Translation
著者 정승석 (著)=Jung, Seung-suk (au.)
掲載誌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巻号n.29
出版年月日2010
ページ5 - 31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サイト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교수.
キーワード번범어; 일체경음의; 음역; 의역; 한역=漢譯; 음사어; 유시=有時; Chinese Buddhist Terms; having time; liberal translation; Sanskrit-Chinese Translation; transliteration
抄録번범어를 활용하는 데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많은 불전들의 음역어를 해결하는 데서도 그대로 적용해야 할 지침이 된다. 그 고려 사항을 다음과 같은 지침으로 변환할 수 있다. 첫째, 하나의 불전에서 구사된 음역어는 특히 이역본 또는 관련 기사가 있는 다른 불전의 용례와 대조하여 그 의미를 확정할 수 있다. 둘째, 특히 예외적인 음역어의 경우에는 필사 또는 판각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기의 가능성을 적용해 보아야 한다. 셋째, 동일한 원어의 음역 표기가 불전마다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상식으로 알고 적용해야 한다. 이는 역자와 시대에 따라 선호하는 음역 표기의 형태가 축역, 합역, 전역 등으로 다양하기 때문이다. 음역의 불일치는 동일 역자의 불전에서도 흔하게 발견된다. 넷째, 간혹 음역어에 역자가 병기한 의역을 전적으로 신뢰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특히 중국인 저작의 불전들 중에는 범어에 대한 부정확인 식견을 반영한 사례가 적지 않게 발견된다.

The Sanskrit-Chinese Translation named Fān-fàn-yǔ(翻梵語) is a kind of Sanskrit dictionary in which transliterated Sanskrit terms are translated into Chinese with the source. But this text has no little misunderstandings of author. Therefore we have to be careful with its explanation, when we refer to it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ansliterated Sanskrit terms of Chinese Buddhist texts. Nevertheless, matters to be attended to in that text can be a guiding principl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transliterated Sanskrit terms in the other texts. In this case, the matters to be attended to are convertible into the general guiding principles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words transliterated in one Chinese Buddhist text can be determined by comparing another version in special or the examples of other texts which describe related stories. Second, in the special exceptional case of transliterated words, we have to consider a probability of an error in transcribing or engraving on wood blocks. Third, we have to be aware the fact as common knowledge that the notational systems of the same original word are not necessarily coincide in every text, and have to apply this fact. Because the favorite type of notational systems had been diverse as brief, mixed or complete type according to translator and period. Frequently there is a disagreement among versions written even by the same translator. Fourth, sometimes there is such a case that we can't trust a liberal translation added to the issue by a translator. Particularly more than a few case are found to apply incorrect knowledge about Sanskrit to Buddhist texts of Chinese authorship.
目次I 머리말. 5
II 장애 및 착오의 일반 사례. 8
III 有時의 원어. 19
IV 맺음말. 27
ISSN12263230 (P)
DOIhttp://doi.org/10.32761/kjip.2010..29.001
ヒット数41
作成日2023.09.30
更新日期2023.09.30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83124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