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니야야ㆍ상키야의 감관도달설에 관한 몇 가지 논의들=Several Cases of Doctrinal Arguments for the Prāpyakārin in Nyāya and Sāṃkhya
著者 강형철 (著)=Kang, Hyog-chol (au.)
掲載誌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巻号n.38
出版年月日2013
ページ151 - 190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サイト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부 외래강사
キーワード감관도달설; 감관물질설; 감관접촉; 감각기관; 안광선=眼光線=eye-beam; 니야야= nyAya; 상키야; 디그나가= dignAga; sAMkhya; sense organ; sannikarSa; indriya; prApyakArin
抄録본 논문은 니야야 학파와 상키야 학파에서 지지되던 감관도달설을 둘러싼 일련의 논쟁들을 다룬다. 니야야 학파는 눈으로부터 빛이 뻗어나가서 사물에 접촉할 때, 대상에 대한 인식이 발생한다고 생각했다. 이에 대하여 다양한 학파에서 찬반 논란이 이어졌다. 감관도달설에 관한 논의는 다양한 문헌에서 다루고 있지만, 모든 논쟁들은 학파를 불문하고 다음의 두 가지를 전제로 한다. (1) 눈이 대상을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도구다, (2) 눈이 밖으로 뻗어나가는 것이 일상적으로는 지각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한된 범위에서 논쟁이 진행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논사들에 의해 논의의 다양한 변주가 이루어졌다. 논의들은 크게 두 가지 패턴으로 분류된다. 첫 번째는 일상적으로 대상을 인식의 상황에 어떤 조작을 가하고, 그것이 일반적 인식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ㆍ검토하는 패턴이다. 두 번째는 내성(內省)을 통해서 관찰ㆍ발견된 내용을 토대로 신체 밖에서 일어나는 사정을 추측하는 패턴이다. 감관도달설에 관한 여러가지 논의들은 인도인들이 관찰의 결과로 획득되는 일상적 현상들에 대한 발견이 이론적 입장에 따라서 해석의 차이를 생성하고, 그 해석을 어떤 방식으로 논쟁에 적용시키는지에 관한 사례들을 제공한다.

This paper is intended as an investigation of eye-beam(raśmi) theory in early Nyāya and Sāṃkhya. A considerable number of studies have been made on Nyāya theory of perception. However, the study of eye-beam has been strangely neglected by Indologists. Surprisingly few studies have so far been made at the prāpyakārin (attainment of sense organs) that form the basis of eye-beam.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rāpyakārin and arguments for it. Chapter I attempts to illustrate a gap between ancient and contemporary concept of mind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difference between located inside and outside human body in the perception process. Chapter II and III analyze several cases of doctrinal arguments for the prāpyakārin. The arguments fall into two patterns. Chapter IV consider philosophical meaning of prāpyakāin presented in the chapter II and III.
目次I ‘안에서’와 ‘밖에서’, 그리고 감관도달설. 152
II 논의 패턴 1: 빛ᆞ수정ᆞ벽ᆞ자석ᆞ막대. 158
III 논의 패턴 2: 눈보다 큰 것과 작은 것. 169
IV 결론. 183
ISSN12263230 (P)
ヒット数38
作成日2023.10.17
更新日期2023.10.17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84224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