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유식학적 기반으로 본 명상심리의 기초적 연구 - 융의 분석심리학과 관련하여 -=A study on Buddhist meditation psychology based on Yogācāra system : in relation to C. G. Jung’s analytical psychology
著者 김재권 (著)=Kim, Jae-gweon (au.)
掲載誌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巻号n.43
出版年月日2015
ページ5 - 33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サイト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능인불교대학원대학교
キーワード유식학; 유식사상; 분석심리학; 명상심리; 명상심리치료; 의식; 무의식; 상징; 삼성설; 알라야식; 허망분별; 전의; 개성화; 과학적 치료; 철학적 치료; Yogācāra's system; the thought of vijñaptimātra; analytical psychology; psychology of meditation; psychotherapy of meditation; consciousness; unconsciousness; symbols; Three Natures(trisvabhāva); ālayavijñāna; abhūtaparikalpa; āśrayaparāvṛtti; individuation; scientific psychotherapy; philosophical psychotherapy
抄録이 논문은 유식학의 사상구조와 분석심리학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통해 최근 우리사회에서 다양한 형태로 주목받고 있는 명상심리치료에 대한 유식학적 융합모델의 정립을 위한 하나의 시도이다. 이를 통해 필자는 불교학의 패러다임에 현대 심리학의 성과를 통합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단초를 어느 정도 마련해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먼저 불교명상에 대한 최근의 국내․외 연구경향을 간략하게 소개한 후, 유식학과 분석심리학의 기본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알라야식에 기반 한 8식의 구조와 융의 의식․무의식의 관계구조를 중심으로 비교․검토하였다. 또한 필자는 이러한 기본적 이해를 토대로 실존적인 고통발생의 기제와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측면에서 유식학의 교설 가운데 사상구조의 핵심을 이루는 삼성설과 轉依의 구조를 명상심리의 맥락에서 살펴본 것이다. 결론적으로 유식학의 가장 대표적인 삼성설은 융이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현상적 고통의 문제를 중심으로 접근하는 ‘변계소집성’ 중심의 명상심리는 ‘과학적 치료’의 일환으로 상정된다. 한편 의타기성을 근거로 한 노력, 즉 轉依를 향한 ‘원성실성’ 중심의 명상심리는 개성화를 통한 인간전체 즉 자기실현을 향한 수행의 과정과 그 치료적 맥락에서 ‘철학적 치료’의 일환으로 정립할 수 있다고 본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stablish a model to psychotherapy through meditation, which has attracted attention as various forms in contemporary society, in a way to understand syntagmatically the structure of Yogācāra system and Jungian analytical psychology. The purpose that the author tries the approach through the above methodology is to introduce the beginning to apply Buddhist paradigm to contemporary psychology as one of integration of academic disciplines. This paper introduces briefly the recent research on Buddhist Meditation, and then compares and reviews the structures between Eight Consciousnesses, based on ālayavijñāna which is called the eighth consciousness, and the relationship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in Jungian psychology. This study discusses the theoretical structures of Three Natures (trisvabhāva) and ‘Revolution’ or inner transformation of the Basis (āśrayaparāvṛtti) in Yogācāra’s doctrine in order to analyze the causes of existential painfulness and to suggest the possibilities leading to its therapy. From comparing Yogācāra doctrine and Jungian analytical psychology, the following two conclusive points can be made. First, Buddhist meditation through the nature of existence produced from attachment to illusory discrimination (parikalpita-svabhāva) in the doctrine of the three natures of cognition considers as one model for psychotherapy to cope with the problems caused from phenomenal painfulness. Second, Buddhist meditation using the nature of existence being perfectly accomplished (pariniṣpanna-svabhāva), that is to say, the effort based on the nature of existence arising from causes and conditions (paratantra-svabhāva) in the doctrine of the three natures of cognition provides a method for philosophical psychotherapy in terms of individualization and self-realization in the process of Buddhist practice.
目次I들어가는 말. 6
II 불교명상에 대한 국내ᆞ외의 연구경향 및 그 공과. 8
III 유식학과 분석심리학의 기본구조 분석.10
IV 유식학적 명상심리의 구조와 그 의의. 19
V 맺는 말. 25
ISSN12263230 (P)
ヒット数37
作成日2023.10.21
更新日期2023.10.21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84667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