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쿠마릴라의 일체지자(一切知者 sarvajña) 존재 부정=Kumārila’s Critique of Omniscience |
|
|
|
著者 |
성청환 (著)=Sung, Chung-whan (au.)
|
掲載誌 |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巻号 | n.48 |
出版年月日 | 2016 |
ページ | 75 - 102 |
出版者 | 印度哲學會 |
出版サイト |
http://krindology.com/
|
出版地 | Korea [韓國] |
資料の種類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言語 | 韓文=Korean |
ノート | 저자정보: 경북대학교 강사. |
キーワード | 일체지자=Omniscience(sarvajña); 미망사= Mīmāṃsā; 베다=Vedic injunction; 다르마= Dharma; 쿠마릴라= Kumārila |
抄録 | 인도철학에서 일체지자(一切知者, sarvajña)는 일상적 경험 세계에 관한 지식의 범위를 넘어 다르마, 천상, 해탈 등과 같은 진리를 소유한 자를 의미한다. 일체지자 개념은 브라만 전통의 철학뿐만 아니라 불교 자이나를 포괄하는 모든 종교 전통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고, 각 학파들은 자신들의 주장의 권위를 세우기 위해서 서로 다르게 이해하고 해석하였다. 미망사학파의 대표적인 논사인 쿠마릴라(Kumārila)는 베다의 권위를 옹호하기 위해서 일체지자의 존재 가능성을 어떠한 경우에라도 인정할 수 없다. 따라서 그는 일체지자의 존재를 다양한 각도에서 부정한다. 쿠마릴라에게서 ‘모든 것을 안다’라고 했을 때, 모든 것은 다르마를 제외한 모든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다르마를 포함한 것이 모든 것을 의미하는 경우라면 일체를 아는 존재는 부정되고 거부되어져야 하는 것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지각의 영역과 다르마의 영역은 서로 배타적으로 배제되며, 지각은 인식 가능한 경험의 세계를 다루고, 베다의 명령은 비지각내지 초지각의 영역인 다르마를 다루기 때문이다. 쿠마릴라에 의하면 각각의 인식수단은 그 고유한 영역이 있으며, 결코 서로 중첩될 수 없다. 그러므로 인간이 베다에 의존하지 않고 다르마를 아는 것은 불가능하다. BṬ에서는 일체를 아는 자를 다르마를 제외한 모든 것을 아는 사람으로 범위를 직접적으로 한정한다. 다르마를 아는 자와 일체를 아는 자를 엄격하게 구분하므로 모든 것에 다르마가 포함되지 않는다. 그러나 ŚV에서는 다르마를 아는 자라는 표현이나, 다르마를 아는 자와 일체지자에 대한 엄격한 구분이 없다. 만약 일체지자가 모든 것을 인식한다면 그래서 다르마의 영역도 인식할 수 있다고 인정한다면, 그의 존재는 미망사학파의 이론체계에서 결코 용납할 수 없다. 그러나 모든 것이 다르마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여기에는 문제가 없다.
The concept of omniscience(sarvajña) in Indian Philosophy means that being (human/God) possesses truth such as dharma, heaven(svarga), liberation(moksa) etc. beyond the scope of knowledge about empirical world. In other words, the term Omniscience is indicated a person/god knows reality (tattvajñatā). This term is used not only in the tradition of Brahmanical philosophy but also in all religious traditions, including Buddhism, Jainism. In addi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authority of their religious claims, each school differently understands, interprets, and comments on the term in accordance with its purpose. Kumārila Bhaṭṭa(fl. roughly 700) one of the most prominent philosopher in the history of Mīmāṃsā, cannot in any case admit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omniscience being in order to defend the authority of the Veda. Thus, he denies the existence of omniscience being from various perspectives.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omniscience being based on his texts, such as the Ślokavārttika, the Bṛhaṭṭīkā which is lost text but partially appeared in the Tattvasaṃgraha written by Buddhist philosopher Śāntarakṣita. I analyzes the logical structure how he argues the impossibility of existence of omniscience being and explore his foundational purpose. Whenever Kumārila says ‘to knows everything’, everything means everything except dharma. If it indicates everything including dharma it must be denied and rejected. For instance, the scope of perception and dharma is basically excluded each other. Perception deals with recognizable world of experience while Vedic injunction deals with domain beyond perception. It means that each cognition has its own region and can never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refore, it is impossible for human being to know dharma without relying on Vedic injunction. This logical structure is supported when Kumārila interprets the phrase ‘without vedic injunction’(ṛte vacanāt) of Śabara he exactly distinguishes the realm of each cognition. In the Bṛhaṭṭīkā, being who knows everything is directly limited and indicated knows everything but dharma. It strictly distinguishes between the person who knows dharma and the person who knows everything, so it does not include dharma in everything. However, in the Ślokavārttika, there is no strict distinction between the person who knows dharma and the person who knows dharma and the person who is dharma. If omniscient being recognizes everything including dharma such being cannot be acceptable in the Mīmāṃsāka theoretical system. In other words, if everything does not include dharma realm no matter how arguments there is no problem. Like the other schools of Indian philosophy, Kumārila supposed the theory of ‘intrinsic validity’(svataḥ prāmāṇya) as epistemological foundation for denying the existence of omniscience being. It is basis for assuring vedic authority and human beings can only know dharma and achieve final goal through vedic injunction. For Kumārila, dharma is ultimate happiness for human being and final goal that is only prescribed a |
目次 | I 서론. 76 II 쿠마릴라의 논쟁의 근본 토대. 78 III 쿠마릴라의 ŚBh의 해석과 의도. 82 IV 일체의 인식 불가능성. 87 V 일체지자 존재의 인식 불가능. 91 VI 결론. 95 |
ISSN | 12263230 (P) |
ヒット数 | 60 |
作成日 | 2023.10.22 |
更新日期 | 2023.10.22 |
|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