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세친의 식전변설을 통해 본 식의 분화구조와 그 의의_‘허망분별’과 ‘자기인식’의 관계를 중심으로=The Structure of Evolvement of Consciousness and Its Significance as Seen from Vasubandhu’s Theory of Vijñāna-Pariṇāma with a Special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hūtaparikalpa and Svasaṃvedana
著者 김재권 (著)=Kim, Jae-gweon (au.)
掲載誌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巻号n.52
出版年月日2018
ページ49 - 74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サイト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인도철학불교학연구소 연구교수
キーワード허망분별; 이취; 식전변; 견분; 상분; 자기인식; 의타기성; abhūtaparikalpa; svasaṃvedana(self-awareness); The Twofold Grasping (grāhaka/grāhya); paratantra-svabhāva; Object-aspect; Subject-aspect; vijnānapariṇāma
抄録이 논문은 『중변분별론』에서 삼성설의 사상적 기반이 되고 있는 허망분별(abhūtaparikalpa)과 이취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유식사상사에서 삼성의 구조 가운데 의타기성과 관련한 식의 분화 과정에 보이는 그 사상적 변천과정을 조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중변분별론』의 게송 1.1과 1.3에 보이는 ‘허망분별’과 ‘이취’의 사상구조에 보이는 이해방식을 세친과 안혜의 견해를 통해서 검토한다. 이를 토대로 유식사상의 인식론적 구조에 보이는 허망분별과 자기인식의 문제를 검토한다. 한편 『중변분별론』의 ‘허망분별’과 세친의 ‘식전변설(識轉變說)’의 구조적 관계를 검토한다. 이를 토대로 안혜의 일분설(一分說)이나 호법의 사분설(四分說) 등과 관련하여 식이 구조적으로 분화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아울러 이와 관련한 우에다 요시후미(上田義文)와 나가오 가진(長尾雅人)의 삼성과 이취의 관계를 둘러싼 두 논쟁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유식사상사에서 허망분별과 이취, 그리고 식전변설의 구조적 관계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유식의 구조와 식의 분화 과정에 보이는 그 사상적 변천과정과 자기인식의 문제를 조명한 것이다.

This paper is based on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abhūtaparikalpa (imagination of the unreal) and the twofold grasping (grāhaka/grāhya), on which the Madhyānta-vibhāga-bhāṣya’s (Separation of the Middle from the Extremes; hereafter MVBh) theory of three natures is established. Such an analysis is adopted to show the philosophical changes in the history of Yogācāra thought regarding the evolvement of consciousnes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paratantra-svabhāva (other-dependent nature) of the three natures. In order to show such changes, the ways in which Vasubandhu and Sthiramarti understoo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hūtaparikalpa and the twofold grasping, as shown in the MVBh’s verses 1.1 and 1.3, are examined. On the basis of this preliminary overview, the issue of the abhūtaparikalpa and svasaṃvedana(self-awareness), as seen in the espistemological structure of Yogācāra thought, will also be explored. This paper will then investigate into the structural relations of the MVBh’s abhūtaparikalpa and Vasubandhu’s theory of vijñāna-pariṇāma (evolvement of consciousness). Furthermore, it will go over how differently the structural evolvement of consciousness is understood by Yogācāra scholars, as can be seen from Sthiramati’s theory of single consciousness and Dharmapāla’s theory of fourfold consciousness. The debates between Ueda Yoshifumi (上田義文) and Nagao Gajin (長尾雅人) regarding the three natures and the twofold grasping will then be examined critically. In conclusion, this paper analyzes the concepts of abhūtaparikalpa and twofold grasping, as well as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the theories of vijñāna-pariṇāma. Such analyses are then utilized to illumine both the philosophical changes and the issue of svasaṃvedana as seen in the Yogācāra’s strucutural understanding of consciusness and its evolvement.
目次I 들어가는 말. 50
II 허망분별과 자기인식의 관계. 52
III허망분별과 식전변의 구조와 그 의미. 58
IV맺는말. 69
ISSN12263230 (P)
ヒット数107
作成日2023.10.28
更新日期2023.10.28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85294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