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초기 인도불교에서의 제법무아와 열반=Sabbe Dhammā Anattā and Nirvāṇa in Early Indian Buddhism
著者 김한상 (著)=Kim, Han-sang (au.)
掲載誌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巻号n.56
出版年月日2019
ページ115 - 143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サイト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HK 연구교수
キーワード담마= Dhamma; 무아; 열반= Nirvāṇa; 닛삿따= Nissatta; 닛지와따= Nijjīvatā; 순냐따= Suññatā; 다뚜= Dhātu; Sabhāva; Anattā
抄録이 논문의 목적은 테라와다 불교의 렌즈를 통해서 제법무아(諸法無我, sabbe dhammā anattā)에서 Dhamma가 주어로 사용된 이유를 고찰하는 것이다. 초기 인도불교는 모든 현상과 사물들의 특성들을 제행무상(諸行無常), 일체개고(一切皆苦), 제법무아(諸法無我)의 세 가지로 묘사한다. 제행무상과 일체개고는 모든 상카라들이 무상하고 괴로움이라고 말한다. 반면에 제법무아는 모든 담마들이 무아라고 말한다. 하지만 붓다는 이에 대해 아무런 체계적인 설명도 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논란과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담마(dhamma), 아나따(anattā), 열반(nirvāṇa)의 세 가지 키워드에 대해 고찰해야만 한다. 붓다고사(Buddhaghosa)는 담마를 고유한 성질(sabhāva)을 지니거나 조건(paccaya)에 의해 생기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이러한 정의는 담마들의 배후에 영속적 실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상을 전달한다. 그래서 고유한 성질은 닛삿따(nissatta), 닛지와따(nijjīvatā), 순냐따(suññatā), 다뚜(dhātu)라는 용어들과 동의어이다. 이러한 무아설(anattā-vāda)은 무위법(無爲法, asaṅkhata-dhamma)인 열반에도 적용된다.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 테라와다의 아비담마 철학자들도 유위법과 무위법의 모든 담마들이 무아라고 주장한다. 제행무상과 일체개고에서 담마가 주어로 사용되지 않은 이유는 아마도 영원하고 최상의 행복인 열반을 제외시키기 위해서 일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붓다가 제법무아에서 담마를 주어로 사용한 이유가 열반이 긍정적인 출세간의 실재이자 무아임을 나타내고자 하였다고 추론할 수 있다.

The present paper discusses the meaning of Dhamma in the third formula of Ti-lakkhaṇa through the lens of the Theravāda Buddhism. Early Indian Buddhism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all things in three statements: Sabbe saṇkhārā aniccā, Sabbe saṅkhārā dukkhā, Sabbe dhammā anattā, meaning all conditioned things are impermanent, all conditioned things are unsatisfactory, all phenomena are non-selves. While the first and second of the threefold formula state that all conditioned things (sabbe saṅkhārā) are impermanent (anicca) and subject to suffering (dukkha), the third of the threefold formula states that all phenomena (sabbe dhammā) are non-self (anattā). This provokes much controversy and misunderstanding as the Buddha himself do not give any systematic explanation. To solve the problem, three keywords, Dhamma, Anattā and Nirvāṇa should be examined. Buddhaghosa defines dhammas as those states which bear their own intrinsic natures (sabhāva), or which are borne by their conditions (paccaya). This definition conveys the idea that there is no enduring agent behind them and therefore, the same as the meaning of such expressions as Nissatta, Nijjīvatā, Suññatā, and Dhātu. This doctrine of impersonality (anattā-vāda) also applies to the unconditioned (asaṅkhata-dhamma), Nirvāṇa. It is in this sense that the Theravāda Ābhidhammika, too, says that all dhammas, i.e., the basic factors into which the conditioned reality is resolved and also the unconditioned reality of Nirvāṇa, are non-self. The reason why dhamma is not used in the first two formulas seems to be to exclude Nirvāṇa which is permanent and blissful. Therefore we can surmise that the Buddha used the term dhamma in the third formula in order to show that Nirvāṇa is a positive supramundane state and is without a soul.
目次I 머리말. 116
II 담마의 속성과 유위법. 119
III 열반과 무위법. 125
IV 긍정적 실재로서의 열반. 131
V 맺음말. 136
ISSN12263230 (P)
ヒット数33
作成日2023.10.28
更新日期2023.10.28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85332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