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유식학파의 실재ㆍ형상ㆍ존재에 관한 인식론적 논증=The Epistemological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Reality(vastu), Appearance(ākāra), and Being(bhāva) in Yogācāra school
著者 박기열 (著)=Park, Ki-Yeal (au.)
掲載誌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巻号n.57
出版年月日2019
ページ283 - 317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サイト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キーワード형상; 독자상; 대상형상성; 자기인식; 조명성; ākāra; svalakṣaṇa; arthābhāsatā; meyarūpatā; svasamvedana; prakāśika
抄録유식학파는 외계 존재의 실재성을 부정한다. 즉 유식학파는 모든 존재를 형상으로 규정한다. 그렇다면 형상을 일으키는 제1 원인은 무엇일까? 형상을 일으키는 조건들은 무엇일까? 형상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형상은 실재인가, 비실재인가? 등과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서 본고는 디그나가의 『관소연론ㆍ주』와 『집량론ㆍ주』에서의 인식대상을 규명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유식학파의 인식작용의 원리인 자기인식론은 형상을 이해하는 핵심이론이다. 본고는 다르마키르티의 『양평석』과 『양결택』에 서술된 두 종류의 자기인식을 제시한다. 하나는 디그나가의 전통을 잇는 자기인식이고, 다른 하나는 디그나가의 저술에서는 직접 보이지 않는 자기인식이다. 전자는 지식의 二相性─대상적 현현과 지식 그 자체의 현현─에 기초한 자기인식이고, 후자는 그것을 부정하는 자기인식이다. 본고는 독자상이 궁극적 실재이면서도 그것의 원인인 대상형상성이 잠재인상(=훈습)에 기인하는 것을 독자상의 딜레마로 본다. 즉 독자상은 승의적 실재임도 불구하고 오염된 잠재인상을 그 원인으로 가진다는 것은 모순이다. 따라서 본고는 이와 같은 독자상의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서 다르마키르티는 소취와 능취를 부정하고, 조명성을 본질로 하는 유식성(vijñaptimāt-ratā)을 자기인식의 새로운 정의로 내세웠다고 논증한다.

Yogācāra does not acknowledge external objects, but rather it recognizes them only as appearance (ākāra). In boarder terms, appearance is the dependent (paratantrasvabhāva) of the three-nature theory (Trisvabhāvavāda). If so, what causes primarily appearance to arise? What are the conditions for appearance to surface? What kinds of appearances are there? Is appearance real or not? The paper attempts to find the clues of the answers for such questions in Ālambanaparīkṣāvṛtti and the perception chapter of Pramāṇasamuccayavṛtti of Dignāga. The theory of self-awareness (svasamvedana) is core to figuring out the concept of appearance as the epistemological principle in Yogācāravāda. The paper, in addition, presents two kinds of self-awarenesses described in the perception chapter of both the first chapter of Pramāṇavārttika and Pramāṇaviniścaya of Dharmakīrti. Following the traditions of Dignāga, the first is the self-awareness that is based on the duality of knowledge, which appears as two kinds of aspects for both object and knowledge itself. The second is the self-awareness that throws away the duality of knowledge which cannot be found directly in Dignāga's works. The paper points out the dilemma of the particular (svalakṣaṇa) ― though being reality (vastu) in the ultimate aspect, the particular originates from the residual impressions (vāsanā) in the foundational consciousness (ālayavijñāna), by which the afflicted mind is stirred up. The paper maintains the argument that Dharmakīrti propounds the idea of self-awareness that relinquishes the duality of knowledge over the other and is defined as having illuminating (prakāśika) by itself to resolve the contradiction of the particular, which is the object of direct perception (pratyakṣa).
目次I 서론. 284
II 인식대상(=형상)의 실재와 존재. 286
III 결론. 310
ISSN12263230 (P)
ヒット数56
作成日2023.10.29
更新日期2023.10.29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85377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