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생전예수재 의례집의 다라니(진언) 활용=Procedures of Dhārāṇī(Mantra) in the Ritual Texts of the Advance Funeral Ceremony
著者 성청환 (著)=Sung, Chung-whan (au.) ; 정승석 (著)=Jung, Seung-suk (au.)
掲載誌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巻号n.65
出版年月日2022
ページ293 - 354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サイト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성청환(주저자): 동국대학교 인도철학불교학연구소 연구교수. aruna415@hotmail.com
정승석(공동저자):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석좌교수. jungss@dongguk.edu
キーワード생전예수재; 진언(다라니); 계도도장진언; 시귀식진언; 소송진언; 제석천왕제구예진언; Advance Funeral Ceremony. Dhārāṇī(Mantra); Sila Paramita Mantra; Money; Seven Mantras; Mantra of Indra for Purification and Salvation to Indra; Mantra Sent by Fire; Mantra of Giving Food to Starving Ghosts
抄録본 논문은 생전예수재의 설행본에서 사용하는 총 58개의 진언을 고찰하여, 생전예수재의 고유한 특성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생전예수재와 수륙재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47종의 진언들은 대부분이 한국불교 전통의 진언집에서 유래한다. 생전예수재의 특수 진언으로 선별한 11종의 진언들 중에서 4종의 진언은 생전예수재의 『의찬요』와 『의찬문』에서만 사용되므로 특별히 주목할 만하다. 계도도장진언으로는 지계로써 정화를 기원하고, 시귀식진언으로는 풍족함과 청결로써 아귀들의 구제를 기원하고, 소송(燒送)진언으로는 비로자나불에게 청정을 기원하며, 제석천왕제구예진언으로는 제석천왕에게 정화와 구제를 기원한다. 그러므로 이 진언들의 취지는 청정심을 갖추어 구제받기를 기원한다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이는 청정심이 생전예수재의 기본 요건임을 시사한다. 다음으로 나머지 7종의 진언들, 즉 개전진언(開錢眞言), 괘전진언(掛錢眞言), 변성금은전진언(變成金銀錢眞言), 성전진언(成錢眞言), 소전진언(燒錢眞言), 조전진언(造錢眞言), 헌전진언(獻錢眞言)은 모두 저승돈을 함의하는 돈[錢]과 연관되어 있다. 이 진언들의 대부분은 한글 『진언집』과 『산보집』에도 수록되어 있지 않다. 다만 『산보집』에 제시된 소전진언은 한글 『진언집』에 화의재진언(化衣財眞言)으로 수록되어 있고, 『산보집』에서는 헌전진언을 사용하라고 지시한다. 그러므로 저승돈과 관련된 7종의 진언들은 모두 생전예수재 특유의 진언으로 간주해도 무방할 것이다. 모든 인간은 명부에 이르러서 갚아야 할 빚을 지고 현생에서 살고 있다는 것이 생전예수재의 밑바탕에 깔려 있는 기본 관념이다. 이에 따라 생전예수재는 이 빚을 미리 변제함으로써 현생에서 사후의 왕생을 준비하는 독특한 의례이다. 이 의례에서 빚을 변제하는 수단이 되는 돈은 현생과 내생을 이어주는 상징적인 매개체이다. 따라서 빚진 돈을 갚고 경전을 독송하는 것은 생전예수재의 본래 취지를 가장 잘 표현하는 상징적 의례의 절차라고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58 mantras used in the ritual texts of advance funeral ceremony. The perseveranc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through interpretations the meaning of the mantras used in advance funeral ceremony. In Buddhist rituals, dhārāṇī, mantra, and chanting are considered the same word and are often used in the sense of incantation. And the word that represents these three is Dharani. Most of the 47 types of mantras commonly used in advance funeral ceremony and the rite for saving all sentient beings of water and land are derived from the traditional Korean Buddhist mantras. Among the 11 types of mantras selected as special mantras of advance funeral ceremony, 4 mantras are particularly noteworthy because they are used only in the Yu xiū shi wang shēng qī zhāi yi zuǎn yao(預修十王生七齋儀纂要) and the Shēngqian yu xiū shi wang shēng qī zhāi yi zuǎn wen(生前預修十王生七齋儀纂文). Buddhist practitioners pray for purification as an earthly world by sila paramita mantra and for the salvation of starving ghosts with abundance and cleanliness by mantra of giving food to starving ghosts. In addition, through mantra sent by fire, they pray for purity to Vairocana and through mantra of Indra for purification and salvation to Indra.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the purpose of these mantras is to pray for salvation with a pure heart, which suggests that the purity of the heart is the basic requirement for advance funeral ceremony in life. Next, the remaining seven mantras, namely, mantra that allows to spend money from the next world(開錢眞言), mantra that allows to be enshrined money in the sanctuary(掛錢眞言), mantra that transforms gold and silver money (變成金銀錢眞言), mantra from which money in the next world is made(成錢眞言), mantra that burns money from the underworld (燒錢眞言), mantra of making money in the underworld (造錢眞言) and mantra of offering money for the next world (獻錢眞言) are all related to money [錢]. This money, of course, implies the afterlife. Most of these mantras are not included in the ritual texts in Korean. Therefore, it would be safe to regard all the seven mantras related to the afterlife as unique mantras of advance funeral ceremony. It is the basic idea that all human beings live in the present life with debts that must be repaid by reaching the next life. Accordingly, the advance funeral ceremony is a unique ritual to prepare for rebirth after death by repaying this debt in advance. In this ritual, money as a means of repaying debt is a symbolic medium that connects the present and the nex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repaying the debt and reciting the scriptures is a symbolic ritual that best expresses the original purpose of advance funeral ceremony.
目次I 머리말. 294
II 『의찬요』와 『의찬문』의 진언 일람. 296
III 특수 진언. 307
IV 공통 진언. 319
V 맺음말 348
ISSN12263230 (P)
ヒット数60
作成日2023.10.29
更新日期2023.10.29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85429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