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Xuanzang’s Text of Bodhisattva Precepts =현장(玄)의『보살계본(菩薩戒本)』 |
|
|
|
著者 |
Green, Ronald S. (著)
;
문찬주 (著)=Mun, Chan-ju (au.)
|
掲載誌 |
불교문예연구=The Journal of Buddhist Culture and Art
|
巻号 | n.4 |
出版年月日 | 2015.02 |
ページ | 241 - 294 |
出版者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Buddhist Culture and Art Laboratory |
出版サイト |
http://dongbang.ac.kr/html/laboratory03/sub01.php
|
出版地 | Seoul, Korea [首爾, 韓國] |
資料の種類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言語 | 英文=English |
ノート | 저자정보: 코스탈캐롤라이나 대학 연구교수 |
抄録 | 본 역자들은 현장(602~664)의『보살계본』(T.24.1501.1110b2~ 1115c22)을 최초로 영역하였다. 현장의『보살계본』은 담무참(385~443)의『보살계본』(T.24.1500. 1107a2~1110a24)과 더불어 유식계 보살계본들을 대표한다. 현장의『보살계본』과 다르게 담무참의『보살계본』은 몇 차례 온라 인의 형태로, 그리고 한 차례 출판본 형태로 영역되었다.1) 담무참은 본인이 한역한『보살지지경』10권을 저본으로 하여 본인의 보살계본 을, 그리고 현장은 본인이 한역한『유가사지론』100권을 토대로 하여 본인의 보살계본을 직접 만들었다. 비록 그 두 보살계본의 내용은 대동소이할지라도, 담무참의『보살 계본』은 4중계와 41경계로, 그리고 현장의『보살계본』은 4중계와 45 경계로 구성되어 있다. 그 두 종류의 보살계본은 출가의 포살과 수계 의식에 사용된 구족계 바라제목차를 모방하여 만들어졌고 출가와 재 가의 포살과 수계의식에 사용되었다. 비록 현장의『보살계』본문은 목차와 계목을 포함하고 있지 않지만 본 역자들은 독자들의 편의를 위해 목차와 계목을 본 영역에서 괄호 속에 삽입하였다.
|
ISSN | 22889191 (P) |
ヒット数 | 121 |
作成日 | 2023.11.12 |
更新日期 | 2023.11.12 |
|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