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불교 문헌에 나타난 오신채(五辛菜) 항목의 혼란과 정립에 관한 고찰=A Study of Confusion and Establishment of the Five Pungent Vegetables in the Buddhist Literature
著者 공만식 (著)=Kong, Man-Shik (au.)
掲載誌 불교문예연구=The Journal of Buddhist Culture and Art
巻号n.21
出版年月日2023.06
ページ223 - 248
出版者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Buddhist Culture and Art Laboratory
出版サイト http://dongbang.ac.kr/html/laboratory03/sub01.php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ㅍ저자정보: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대우교수
キーワード중국 농업사=History of Chinese agriculture; 고수풀; 흥거= Hiṅgu; 마늘= Garlic; 중국불교문헌=Chinese Buddhist Canon; 오신채=The Five Pungent Vegetables; Coriander; Asafoetida
抄録본 논문은 중국 불교 오신채 규정 성립의 혼란과 정립과정을, 마늘, 파, 부추, 염교 등 4가지 백합과 훈채와 중국에 존재하지 않았던 훈채인 흥거를 통해 고찰하려는 작업이다. 인도 오신채와 중국 오신채 항목은 마늘과 파를 제외한 훈채명이 일치하지 않으며 불일치하는 훈채명의 정립 은 중국 농업사에서 4가지 백합과 훈채의 성립과 관계되어 있다. 중국에 서 번역되거나 중국에서 찬술된 훈채 관련 경전인 『능가경』과 『범망경』 은 5세기경에 중국에서 번역되거나 찬술되는데 이 시기에 중국 농업사에 서는 마늘, 파, 부추, 염교의 4가지 백합과 훈채가 농업상 정착되어 있었다. 중국 훈채 관련 경전에서 가장 먼저 언급되는 마늘[大蒜]은 전한시기 장건의 서역 사행을 통해 중국에 전래되면서 중국 토종인 소산(小蒜)을 누르고 마늘을 대표하는 훈채로 정립된다. 또한 염교[薤]는 중국 자생종 식물로서 인도에는 없는 훈채이나 중국 불교문헌의 백합과 4가지 훈채로 자리잡는다. 오신채 중 주로 마지막에 언급되는 흥거(興渠)는 중국에 없었던 식물 인 관계로, 중국불교문헌에서 많은 혼란과정을 보여주는데 흥거는 유채를 의미하는 운대(芸薹, 蕓薹)나 고수풀을 의미하는 호유(胡荽)로 착락되거나 식질(蒠蒺, 무)로 오해되기도 하였다. 흥거가 유채나 고수풀로 착란된 이 유로는 『형초세시기』에 보이듯 중국 전통의 훈채로 존재했다는 이유와 도교의 오신채 중 두 가지 항목으로 기능하고 있었다는 사실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혼란을 거쳐 중국불교는 당나라 시기에 인도와 서역사정에 밝은 범어 전문가인 현응이나 혜일과 같은 승려들에 의해 흥 거의 정체가 파악되고 중국에서는 아위(阿魏)라는 명칭으로 오신채 항목 으로 정립되게 되었다. 그러나 교통, 통신의 미발달은 당나라 시기 그 실 체가 파악된 흥거는 그 이후 시기에 있어서도, 심지어 청나라 시기까지 이전의 혼란상이 문헌에서 교정되지 않는 채 여전히 잘못된 훈채명이 사 용되는 문헌이 존재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The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confusion and establishment of the Five Pungent Vegetables in the translated Chinese Buddhist canon and Chinese Buddhist literature which were written in China. The thought of the Five Pungent Vegetables in China was introduced from Indian Buddhist canon such as the Lankavatara sutra, but the name of items of the Five Pungent Vegetables in Chinese Buddhist literature is not identical with the Indian one. The naming of items of the Chinese Five Pungent Vegetables was influenced by traditional Chinese Four Pungent Vetables and the two items of them do not exist in Indian canon. The history of agriculture in China shows that four pungent vegetables in China are established before Indian Buddhist canon arrive to China. The last item of the Five Pungent Vegetables in Indian Buddhist canon is “hiṅgu” in Sanskrit and the vegetable did not exist in China, that is why the “hiṅgu” was extremely confused by Chinese Buddhist authors and other vegetables in China are misunderstood as the “hiṅgu”. However, the two Buddhist monks such as Sanskrit experts, Xuanying and Huiri in Tang dynasty who studied in India and travelled the Central Asian countries corrected the mistake of the naming of “hiṅgu” which is the last item of the Five Pungent Vegetables in Chinese Buddhist literature. Even after the correcting of the wrong naming of the “hiṅgu”, the misunderstanding of the name of hiṅgu contined till the Qing dynasty.
目次I. 서론 225
II. 백합과 훈채 항목 고찰 226
III. 흥거에 대한 착란과 정립 235
IV. 결론 244
참고문헌 246
ISSN22889191 (P)
ヒット数92
作成日2023.11.28
更新日期2023.11.28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87977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