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澄観·宗密の一心解釈とその日本的受容=Chengguan and Zongmi"s Interpretation of One Minds and its Acceptance in Japanese Kegon
著者 高田悠 (著)=Takata, Shizuka (au.)
掲載誌 불교학보=佛教學報
巻号v.102 n.0
出版年月日2023.07
ページ77 - 105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サイト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日文=Japanese
ノート着者所属:前龍谷大学講師
キーワードMind Only Verse=여심게=如心偈; 동대사=東大寺=Todaiji Temple; 일심=一心=One Mind; 묘에=明恵= Myoe; 고산사=高山寺=Kozan-ji Temple; 구분유식=具分唯識=Gubun Yuishiki; 화엄칙제초=華嚴勅題抄=Kegon Chokudaisho
抄録본고에서는 오늘날 화엄종 동대사(東大寺)의 기일(忌日)법회에서도 독송될 정도로 중요한 여심게(如心偈)를 중심으로 중국 화엄의 해석을 거쳐 중세 일본 화엄이 일심을 어떻게 해석했는지 검토하였다. 헤이안시대에는 일심을 상세하게 논의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지만, 가마쿠라시대에 들어서면서 고산사(高⼭寺) 묘에(明惠) 주변에서 여심게 독송이 일상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서 일심 해석의 중요성이 높아졌다. 묘에는 재가 신자들의 청으로 『화엄유심관행식(華嚴唯心觀⾏式)』, 『화엄유심의(華嚴唯心義)』 등을 저술하게 되었다.
10~12세기에는 조사를 모시는 의례인 기일법회가 정비되기 시작하였고, 송대 화엄에서는 예참의궤(禮懺儀軌)의 저술과 실천이 이루어졌다. 일본 화엄에서도 향상공(香象供)나 정월 ‘두순어방(杜順御訪)’과 같은 중국 화엄조사와 관련된 행사가 정비되게 되었다. 이처럼 의례적인 면이 정비되는 가운데 동대사에서도 여심게 독송이 법회에 편입되기에 이르렀을 것으로 생각된다.
동대사의 논의에서는 동대사 도서관 소장 『구분유식(具分唯識)』(121/488)을 고찰하였다. 본서는 전반 부분에서 구분유식이란 어떤 것인가를 묻는다. 여기에서 묘에의 고제인 기카이(喜海)의 『화엄유심의단책(華嚴唯心義短冊)』 「구분유식(具分唯識)」을 발췌하고, 정회득업(定懷得業)에 의한 문답을 수록하고 있다. 후반 부분에서는 구분유식은 유위와 무위의 어느 쪽으로 분류되는가를 묻는다. 여기서는 겐겐(顯⽞)의 『화엄칙제초(華嚴勅題抄)』를 들어 동대사 존승원(尊勝院) 인사들의 해석을 담고 있다.
지금까지 고산사의 화엄은 일찍 사라진 것으로 평가되어 왔지만, 존승원, 계단원(戒壇院), 고산사의 상호관계가 점차 밝혀지고 있는 가운데 고산사와 존승원의 학승 간 교학적 교류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본 자료를 보면, 일심의 해석을 주축으로 하면서 중국 화엄조사인 법장과 징관의 상이한 해석을 회통하려는 태도가 엿보인다. 일본 화엄에서는 해석의 차이를 회통할 필요가 있었다. 법장은 ‘법계연기’라고 하는 진여의 작용에 중점을 두고 있었던 반면, 징관이나 종밀은 ‘해섭일심(該攝一心)’으로서 일심에 집약한다. ‘정회득업’은 이러한 태도의 차이를 해소하면서 일심을 중심으로 한 해석을 통해 중국 화엄을 정통으로 계승한다. 그리하여 일본 화엄논사들의 해석은 진여의 기능과 작용에 주목하는 시점과 본체와 성질에 중점을 두는 시점으로 전개되어 갔다.
마지막으로 단에이(湛睿)의 『원각경』과 관련된 창도(唱導) 자료를 개관하였다. 결과적으로 원각묘심을 깊이 믿을 것을 권하나, 이후 그다지 중시되지 않고 『화엄경』을 종취로 삼는 자세가 엿보인다.


In this report, I will focus on the Mind Only Verse (如心偈) in the Huáyán Sutra, which to this day is recited at memorial services of Todaiji Temple (東大寺) in Japan. I will examine how the “One Mind” (一心) was understood in medieval Japan, based on the interpretations of Chinese Huayan.
During the Heian period, there seems to have been no detailed discussion of “One Mind” (一心). However, in the Kamakura period, recitation of the Mind Only Verse(如心偈) became a daily occurrence around Myoe (明恵), and among monks belonging to the Kozanji Temple (高山寺) lineage. From there, the interpretation of “One Mind” (一心) increased in importance. At the request of lay believers, Myoe wrote “Kegon-Yuishin-Kangyo-Shiki” (華厳唯心観行式) and “Kegon Yuishin-gi” (華厳唯心義).
During the 10th to 12th centuries, with the organization of memorial services, the Huayan sect of the Song dynasty wrote several texts on ritual practice. Simultaneously in Japan, memorial services related to the founder of Chinese Huayan began to be organized. It is thought that the reciting of the Mind Only Verse (如心偈) came to be included in Buddhist rituals at Todaiji Temple with the development of such memorial services.
In examining the understanding of Todaiji Temple, I consider the “Gubun Yuishiki” (具分唯識) (121/488) text preserved in the Todaiji Temple library. In the first half of this text, the discussion focuses on “What is specific consciousness?” Here, Kikai, a senior disciple of Myoe, excerpted from “Kegon Yuishin-gi Tanzaku” (華厳唯心義短冊) and “Gubun Yuishiki” (具分唯識) to record the questions and answers by “Jokai Tokugo” (定懐得業). In the second half, the text focuses on whether concrete-only consciousness is conditioned. Here, the text cites “Kegon Chokudaisho” (華厳勅題抄) and contains the interpretation of a priest of Sonsho-in (尊勝院) Temple at Todaiji Temple.
Until recently, Kozanji Kegon has been evaluated as having declined in popularity rather quickly, but in clarifying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Sonsho-in, Kaidan-in (戒壇院) and Kozanji, the influence of that lineage and the remaining texts are important materials that show academic exchanges.
By focusing on the interpretation of “One Mind” (一心) we can see the attitude in Jaoan to try and unify the different interpretations in Chinese Huayan by Fazang (法蔵) and Chengguan (澄観). Japanese Kegon was driven by a need to reconcile the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s yet, in doing so, it gave birth to the development of a uniquely Japanese Kegon ideology.
目次I.はじめに 79

II.澄観 . 宗密の一心理解 79
III.日本華厳での一心 . 唯心の受容
IV.おわりに 83
ISSN12261386 (P)
ヒット数42
作成日2023.12.10
更新日期2023.12.10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88729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