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명대 양명학 태주학파의 조사선 인식=Understanding patriarchal Chan by TaiZhou branch of Yangming school in Ming Dynasty
著者 김진무 (著)=Kim, Jin-moo (au.)
掲載誌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Journal of The Pure Land Buddhism Studies
巻号v.39 n.0
出版年月日2023.06
ページ107 - 136
出版者韓國淨土協會
出版サイト http://www.jungtoh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キーワード양명학=陽明學; 태주학파=泰州學派; 광선=狂禪; 탁오=卓吾; 이지=李贄; 왕간=王艮; 하심은=何心隐; Seongcheol; Dongsan; Dongsanmundo; Beomeosa Temple; Buddhist Purification; Haeinsa Temple
抄録명대(明代)는 국가권력에서 이학(理學)과 관련된 학문 이외에는 강의조 차도 할 수 없도록 철저하게 사상적으로 통제하는 정책을 펼쳤다. 그러나 명대 중기에 이르러서 ‘이학’의 맹점이 점차 드러나기 시작했다. 그에 따 라 지식인들은 점차 송대(宋代)에서 ‘이학’과 대립하였던 ‘심학(心學)’에 관심을 돌리게 되었고, 그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왕수인(王守仁)이며, 그의 호인 ‘양명(陽明)’을 따라 그가 제창한 사상을 ‘양명학(陽明學)’이라고 칭 한다.
왕수인의 사후에 양명학은 다양한 분파로 나눠진다. 그 가운데 태주학 파에서는 전적으로 조사선의 사상을 받아들였다. 이 태주학파는 특히 ‘좌 파(左派)’로 칭해졌는데, 그것은 조사선(祖師禪)의 사상을 전적으로 수용하 였기 때문이다. 당시 불교계가 쇠퇴함에 따라 조사선이 활발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들은 오히려 자신들이 조사선의 정통성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 였다. 이들은 실제 생활에서도 조사선의 가풍(家風)을 따르고자 하였는데, 그를 ‘광선(狂禪)’이라고 칭한다.
본 논문에서는 태주학파를 주도한 탁오 이지의 사상을 중심으로 조사선 에 대한 인식과 그로부터 유행하게 된 ‘광선’을 고찰하였다.

During the Ming dynasty, ideological control was thoroughly controlled so that even lectures could not be held except for LiXue. However, in the middle of the Ming Dynasty, the blind spots of 'LiXue' began to gradually emerge. As a result, many intellectuals gradually turned their attention to 'XinXue', which was opposed to 'LiXue'. is called 'Yangming Study'. The representative figure is Wang Shou-ren, and after his surname ‘Yangming’, the ideas he advocated are called ‘Yangming Study’.
After Wang Su-in's death, Yangming Study was divided into various sects. Among them, The Taizhou school totally accepted the ideas of Patriarch-chan thoughts. This Taizhou school was especially called the ‘leftist’ because it fully embraced the ideas of Patriarch-chan thoughts. At that time, as the Buddhist community declined, Patriarch-chan thoughts was not active, so they argued that they had the legitimacy of Patriarch-chan thoughts. They tried to follow the style of Joseon in real life, and they called ‘Crazy Chan’. In this paper, the perception of Patriarch-chan thoughts of the Taeju School was examined through the ‘Crazy Chan’.
目次I. 서언 109

II. 양명학의 흥기와 조사선 111
III. 태주학파의 조사선 인식 119
IV. 결어 131
ISSN12291846 (P)
ヒット数70
作成日2023.12.16
更新日期2023.12.16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89106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