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분황(芬皇) 원효(元曉)와 현수(賢首) 법장(法藏)의 기신학(起信學) 이해 ― 심식설(心識說) 인식과 삼세(三細) 육추(六麤) 배대(配對)를 중심으로=Bunhwang Wonhyo and Hyunsoo Bupjang’s Understanding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 - Focusing on the understanding of the theory of mind, thought, and cognition and the arrangement of the three subtle and six coarse aspects of manifest nescienc
著者 고영섭 (著)=Ko, Young-seop (au.)
掲載誌 불교철학=Journal for the Study Buddhist Philosophy=佛教哲學
巻号v.1 n.0
出版年月日2017.10
ページ141 - 187
出版者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Institution for World Buddhist Studies
出版サイト http://www.duwbsi.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
キーワード적멸으로서 일심=寂滅으로서 일심=one mind as Nirvana; 여래장으로서 일심=如來藏으로서 일심=one mind as an embryo of Buddha=; 본법으로서 일심 심식설=enlightened aspect of one mind=本法으로서 일심; 삼세 육추상; 기신학; theory of mind thought and cognition=心識說; the arrangement of the three subtle and six
抄録이 논문은 분황 원효(芬皇元曉, 617~686)와 현수 법장(賢首法藏, 643~712)의 기신학 이해를 심식설 인식과 삼세 육추 배대를 통해 두 사람의 인간 이해와 세계 인식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원효는 적멸으로서 일심을 지닌 이상적 인간(부처)과 여래장으로서 일심(중생)을 지닌 현실적 인간의 동거 속에서 인간을 보려고 했다. 반면 법장은 적멸으로서 일심을 지닌 이상적 인간(여래)과 여래장으로서 일심을 지닌 현실적 인간(범부)을 하나로 통합해 망식으로서 아뢰야식을 지닌 유식적 인간상을 넘어서려고 하였다. 그리하여 법장은 여래장연기종을 시설하여 진망화합식으로서 여래장을 지닌 인간상과 화엄 일심을 지닌 인간상을 접목하려고 하였다. 『대승기신론』의 심식설 인식과 삼세 육추상에 대한 이해를 통해 진망화합식으로서 여래장을 지닌 일심의 인간상을 제시하려는 원효와 진식으로서 화엄 일심의 인간상을 제시하려는 법장의 인간관은 서로 대비되고 있다. 원효가 기신학의 본의에 충실한 인간 이해와 세계 인식을 보여주었다면, 법장은 화엄학의 지향에 근거하여 기신학의 본의를 자의적으로 해석한 인간 이해와 세계 인식을 보여주었다. 원효의 시각 사위의 사상 배대와 삼세 육추상의 배대에는 그의 인간관이 잘 투영되어 있다. 그는 망식으로서 아뢰야식을 지닌 인간상은 아직 불완전한 인간상이며, 진심으로서의 화엄 일심을 지닌 인간상은 이미 완성된 인간상으로서 더 이상 수행이 필요 없는 존재로 보았다. 그리하여 원효는 ‘적멸으로서 일심을 지닌 인간’(심진여문)이자 ‘진망화합식으로서 여래장을 지닌 인간’(심생멸문)이어야 수행을 완성한 존재로서의 이상적 인간과 수행할 것이 남아있는 존재로서의 현실적 인간을 아우른 ‘일심을 지닌 인간상’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그는 ‘본법으로서 일심’을 시설함으로써 완성된 인간상인 붓다상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이미 수행이 완성된 이상적 인간상과 점차 수행을 해나가는 현실적 인간상을 함께 제시하는 기신학의 본의를 제대로 파악한 원효의 인간관과 세계관이 불교적 인간상에 부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기신학 연구는 기신의 본의를 충실히 드러내는 데에서 출발해야 하며 원효는 그것을 충실히 해낸 불학자였다고 할 수 있다.

This essay examines the differences in the understanding of Bunhwang Wonhyo (芬皇元曉, 617-686) and Hyunsoo Bupjang (賢首法藏, 643~712) with regard to two aspects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 first, the theory of mind, thought, and cognition, and second, the arrangement of the three subtle and six coarse aspects of manifest nescience. A comparison between these two masters' perspectives reveals subtle differences. Wonhyo's perception is that a human being is an entity with one mind having two sides. On one side, this one mind is Nirvana, and on the other side, this one mind is only a matrix of Buddha, that is, an embryo that will become a Buddha. According to Bupjang, a human being is more than an entity that has one mind that is a combination of Nirvana and an embryo that will become a Buddha. Bupjang initiated the teaching of dependent arising from the tathagatagarbha, which defines a human being as an entity that has one mind only as Nirvana, which is a perspective of the school of Huayan. From this standpoint, he tried to combine his theory with the theory of the school of Yogacara that views one mind as a combination of both Nirvana and an embryo of a Buddha. While Wonhyo was true to the main idea of the Awakening of Faith, Bupjang’s understanding of the world and human beings was based on Huayan philosophy, and he tried to compromise this ideology with the original idea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 Wonhyo's arrangement of four levels of initial enlightenment, and three subtle and six coarse aspects of manifest nescience well represents his interpretation of human nature. He viewed human beings' Alaya consciousness as yet incomplete. He maintained this ideology because he thought if a human being had one mind that was Nirvana, he would already be complete and would not require further improvement to progress to enlightenment. This is why he suggested his double-sided one mind human model with both a Nirvana aspect and a phenomenal aspect (the embryo). In this way, he felt that both aspects could be harmonized. However, after suggesting this model,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piritual practice by placing the enlightened aspect of one mind at the top. Wonhyo’s approach seems to successfully adhere to the real message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 which suggests both aspects of a human being ―complete and incomplete, but progressing through spiritual practice. It is always important to conserve the message in the original text. Therefore, Wonhyo can be considered faithful to the true message in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
目次I. 서론 143
II. 교상판석을 보는 관점 146
III. 일심과 여래장 인식 158
IV. 起信의 心識說과 三細 六麤 배대 167
V. 인간 이해와 세계 인식 177
ISSN25863843 (P)
ヒット数64
作成日2024.01.03
更新日期2024.01.03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90385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