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일연 사상의 고유성과 독특성 ― 일연의 생애와 『삼국유사』를 중심으로=The Characteristic and uniqueness of Ilyeon(一然) Thought - Focusing on Ilyeon’s life and 『Samguk Yusa』(三國遺事)
著者 조경철 (著)=Jo, Gyung-cheol (au.)
掲載誌 불교철학=Journal for the Study Buddhist Philosophy=佛教哲學
巻号v.9 n.0
出版年月日2021.10
ページ77 - 103
出版者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Institution for World Buddhist Studies
出版サイト http://www.duwbsi.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연세대학교 사학과 객원교수
キーワード일연=Ilyeon=一然; 삼국유사=Samguk Yusa=三國遺事; 포산=Foshan=包山; 남해 정림사=Jeongnimsa Temple=定林寺; 중편조동오위=Jungpyeonjodongowi=重編曹洞 五位; 고조선=Gojoseon=古朝鮮; 고=古; 선월사=Seonwolsa Temple=禪月社; 일본원정= Japanese conquest; 국존=State honor=國尊
抄録일연과 『삼국유사』에 대한 연구는 세종과 ‘한글’에 대한 연구처럼 긍정적인 입장에서만 주로 다루어졌다. 이 글에서는 일연의 생애에서 정치적 측면을 강조하였고 그 정치사상적인 구체적인 사례를 『삼국유사』에서 찾아보았다. 고려시대 승려에게는 구도와 정치가 별개가 아니었다. 특히 몽골의 침입과 몽골간섭기라는 시대적 격동기에 처한 승려에게는 더욱 더 그렇다고 생각한다. 일연은 몽골침략기에 포산에 은거하는 등 소극적인 자세를 취했지만 삼계가 환몽이라는 걸 깨달은 한편 세속에 몸을 담아도 하나도 거리낄게 없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포산에서 나와 정안의 남해 정림사에 머물면서 정치와 관련을 맺게 되었다. 정안이 정계에서 퇴출되자 다시 일선에서 잠시 물러나 『중편조동오위』등을 편수하였다. 일연은 왕정복고가 이루어지자 강도의 선월사에서 주석하였고, 충렬왕의 일본 원정에 참여하기 위해 경주 행재소로 갔고, 몽골의 일본 정벌의 국제 정세 속에서 국존에 임명 되는 등 그의 행적에서 굵직 굵직한 사건이 중앙정치와 원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연의 정치사상은 『삼국유사』 ‘고조선’ 항목에서 잘 드러난다. 같은 나라이름을 구분할 때 ‘고(古)’를 붙인 건 ‘고조선’이 유일하다. ‘고’는 동양에서는 ‘상고주의’처럼 이상적인 것을 의미한다. 일연은 ‘고조선’을 이상국가로 보고 환인(제석)-환웅(천왕)-단군(인왕)으로 이어지는 불교국가로 해석하였다. 일연이 『삼국유사』를 편찬한 목적은 민족의식을 고취하여 몽골에 저항하기 위한 것만은 아니었다. 송나라에서 원나라로 세계의 중심이 바뀌는 시대적 격변기에 우리에 대한 자각이 일어나서 편찬한 것이 『삼국유사』이고 ‘고조선’ 항목이었다. 일연의 사상도 변화하는 시대를 이끌어가야 했기 때문에 한쪽에 치우치지 않았다. 가지산문에 속하면서도 수선사와 선월사에 머물고 지눌을 계승했다고 하고 간화선의 입장에 있으면서도 조동선이나 문자선은 물론 대장경에 대한 이해와 더 나아가 유교와 도교에 대한 이해도 깊었다. 일연 사상의 고유성과 특수성은 현실 정치에 뛰어들어 그 시대의 어려움을 여러 사상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우리 역사의 자각을 통해 헤쳐 나가려고 했던 점에 있다.

The study of Ilyeon and 『Samguk Yusa』 was mainly dealt with only from a positive point of view, like the study of Sejong and ‘Hangeul’. In this article, the political aspect of Ilyeon’s life was emphasized, and concrete examples of that political thought were found in 『Samguk Yusa』. For monks in the Goryeo Dynasty, composition and politics were not separate. In particular, I think it is even more so for the monks who are in the turbulent period of the Mongol invasion and Mongol intervention. During the Mongol invasion, Ilyeon took a passive stance, such as hiding in Foshan(包山). After leaving Foshan, Ilyeon became involved in politics while staying at Jeongnimsa Temple(定林寺) in Namhae of Jeongan. When Jeongan was expelled from politics, Ilyeon stepped back from the front line for a while, and published 『Jungpyeonjodongowi』(重編曹洞五位). When the restoration of the monarchy was accomplished, he stayed at Seonwolsa Temple[禪月社] of Gangdo Island, went to Gyeongju Haengjaeso to participate in King Chungryeol’s Japanese expedition, and was appointed as State honor[國尊]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Yuan’s Japanese conquest. It can be seen that a major event is taking pla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 politics and the Yuan Empire. Ilyeon’s political thought is well expressed in 『Samguk Yusa』 ‘Gojoseon(古朝鮮)’. ‘Gojoseon’ is the only one that uses ‘Go[古]’ to distinguish the same country name. In the East, ‘Go’ means an ideal, like ‘sanggoism[尙古主義]’. Ilyeon saw ‘Gojoseon’ as an ideal state and interpreted it as a Buddhist state that was followed by Hwanin(Joseok), Hwanin(Cheonwang), and Dangun(Inwang). The purpose of Ilyeon’s compilation of 『Samguk Yusa』 was not to inspire national consciousness and resist the Mongols. 『Samguk Yusa』 and the item ‘Gojoseon’ were compiled after awakening awareness of us during the period of turbulent times when the center of the world changed from the Song dynasty to the Yuan dynasty. Illyeon’s thought was not biased toward one side because he had to lead the changing times. Although belonging to Gajisanmun, it is said that he stayed at Suseonsa Temple and Seonwolsa Temple and inherited Jinul. Although he was in the position of Ganhwaseon, he had a deep understanding of Jodongseon, Mukjoseon, and Mumseon, as well as the Tripitaka Koreana, and furthermore, Confucianism and Taoism. The uniqueness and specificity of Ilyeon thought lies in the fact that it trie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that era through a broad understanding of various thoughts and awareness of our history.
目次1. 들어가며 79

2. 일연의 생애에 대한 몇 가지 검토 80

3. 『삼국유사』로 살펴본 몇 가지 사상적 특징 86

4. 맺음말 - 고유성과 특수성 97
ISSN25863843 (P)
ヒット数57
作成日2024.01.07
更新日期2024.01.07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90825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