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분황 원효 『승만경소』(輯逸)의 중심 내용과 주요 특징 ― 「攝受正法章」 제4·「一乘章」 제5·「無邊聖諦章」 제6을 중심으로=Main idea and features of Bunhwang Wonhyo's Commentaries on Śrīmālādevī Siṃhanāda Sūtra - Focusing on the 4th, 5th, and 6th chapters Acceptance of Correct Dharma, One Vehicle, and Boundless Noble Truth, respectively
著者 고영섭 (著)=Ko, Young-seop (au.)
掲載誌 불교철학=Journal for the Study Buddhist Philosophy=佛教哲學
巻号v.10 n.0
出版年月日2022.04
ページ69 - 112
出版者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Institution for World Buddhist Studies
出版サイト http://www.duwbsi.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 서울캠 교수











キーワード응연의 승만경소상현기; 성덕태자의 승만경의소=Prince Sungduk’s Annotation on Śrīmālādevī Siṃhanāda Sūtra; chapter Boundless Noble Truth; 분황 원효의 승만경소; 김상현의 집일본=Sanghyun Kim’s collected quotations from Commentaries on Śrīmālādevī Siṃhanāda Sūtra; 후쿠시 지닌의 편집본=Fukushi Jinin’s edited version of collected Commentaries on Śrīmālādevī Siṃhanāda Sūtra; 섭수정법장; 일승장=chapter One Vehicle; 무변성제장; Wonhyo’s Commentaries on Śrīmālādevī Siṃhanāda Sūtra; Ung-yun’s Commentaries on the Annotation on Śrīmālādevī Siṃhanāda Sūtra; chapter Acceptance of Correct Dharma
抄録이 논문은 분황 원효(芬皇元曉, 617~186)의 『승만경소』 집일본의 중심내용과 주요 특징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원효의 『승만경소』는 동아시아 주석가들에게 여러 차례 인용되었다. 하지만 그의 주석서는 현존하지 않아 그의 『승만경』 인식을 온전히 들여다보기 어렵다. 그러나 일본의 응연이 성덕태자의 『승만경의소』(勝鬘經義疏)에 대해 주석한 그의 『승만경소상현기』(勝鬘經疏詳玄記)에 104(80)여회 7,000자를 인용하였다. 일찍이 이러한 인용문에 주목한 김상현의 집일본(1993)과 후쿠시 지닌의 편집본(2003)은 원효의 『승만경』 인식에 접근할 수 있는 통로가 되고 있다. 이들 두 본은 20년 간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호 출입이 있어 연구자들은 이들 두 본의 비교를 통해서 원효의 『승만경』 이해에 접근할 수밖에 없다. 원효의 『승만경소』에 대한 보다 진일보한 연구를 위해 이들 집일본과 편집본의 상호 교감 작업이 요청된다. 원효는 『승만경소』에서 경문의 섭수정법의 대전제 위에서 섭수와 정법의 동일시 내지 일체시 속에서 자신의 일승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육처의 대승 정법 섭수와 이승 선법 섭수에 대해 역설하면서 아라한이 열반을 얻는다는 것을 붓다의 방편으로 파악하고 있다. 특히 원효는 아라한의 4가지 지혜에 대해 『대비바사론』을 원용하여 사성제에 대한 지혜와 견주고, 『유가사지론』을 원용하여 성자와 성자가 된 근거에 배대하여 2가지 죽음인 변역생사와 분단생사 중 분단생사로 보아 이승의 지혜라고 파악하였다. 그 결과 그는 아라한은 처음 귀의할 때나 구경에 가서나 열반사덕을 지닌 붓다에게 귀의할 수밖에 없는 존재로 보고 있다. 원효는 아라한은 두려움이 있으며 이 육신을 가진 채 유여열반에 머물때에야 비로소 마음이 일어나 대승에 나아간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그는 육신조차 남기지 않은 무여열반에 머물 때가 아니라 육신을 남긴채 유여열반에 머무를 때가 대승으로 나아가는 것이며 이것도 결국 붓다의 방편임을 밝히고 있다. 이처럼 원효는 주석서에서 『승만경』의 취지에 충실하면서도 이 경전의 본래 의미를 확장시켜 자신의 여래장 인식과 일승 이해에 기초한 불교관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main idea and features of Wonhyo's Commentaries on Śrīmālādevī Siṃhanāda Sūtra(hereafter CSSS). Wonhyo's CSSS has been widely quoted by east Asian commentators. However, because CSSS no longer exists,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understand its philosophy. Nonetheless, CSSS was quoted 104 (80) times within 7,000 words in Ung-yun’s Commentaries on Prince Sungduk's Annotation in Śrīmālādevī Siṃhanāda Sūtra in Japan. Thanks to the scholars who worked on the quotations from CSSS, such as Sanghyun Kim (1993), and Fukushi Jinin (2003), these quotations were successfully collected, allowing people to study the philosophy of CSSS. The two versions of collected quotations from CSSS have a ten-year gap between them, and they are not entirely similar. However, these two versions are the only options for studying CSSS.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compare these two versions and revise them as necessary, to obtain better results in further studies. In CSSS, Wonhyo states that the acceptance of sutras and correct dharma are identical and the same thing, and that one vehicle means the same. He understood that Theravada practitioners can also practice the dharma of Mahayana in their six methods of practice; practitioners of two vehicles can also practice the good dharma of Mahayana to attain Nirvāṇa. However, he added that their concept of Nirvāṇa is not as complete as that of the Mahayana, and is only a method of Buddhism for guiding people in the intermediate level. When it comes to the four wisdoms of arhat, Wonhyo compared these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Mahāvibhāṣa Śāstra, that is, the wisdoms that can be attained as a result of understanding the Four Noble Truths. In terms of analyzing the status of arhat and the basis for their status, Wonhyo compared these with transformed Saṃsāra and fragmentary Saṃsāra, respectively; according to Yogācārabhūmi-Śāstra, their basis of being arhat is fragmentary Saṃsāra, which corresponds only to the wisdom of Theravada. As a result, arhats who attained Nirvāṇa are practitioners who still need to take refuge in Buddha, who attained all four Pāramitās of Nirvāṇa. Wonhyo understood that arhats still have fear, and that they can enter the realm of Mahayana only when they are in the state of Nirvāṇa, while still having a body. In other words, in the state of Nirvāṇa, when they no longer have a body, they cannot enter Mahayana. He understood that this also is a method of Buddhism to guide people to complete enlightenment. Wonhyo was true to the teachings of SSS in his CSSS; but, at the same time, he extended the teaching of SSS to the realm of Tathāgatagarbha and one vehicle under the guidance of his thorough understanding of Buddhism.
目次Ⅰ. 풀어내는 말 71

Ⅱ. 『승만경』의 구성과 주제 74

Ⅲ. 집일 『승만경소』의 섭수정법과 일승 83

Ⅳ. 집일 『승만경소』의 정법과 선법 섭수와 득열반의 방편 92

Ⅴ. 원효의 일승 인식과 성제 이해 104

Ⅵ. 매듭짓는 말 106
ISSN25863843 (P)
ヒット数45
作成日2024.01.11
更新日期2024.01.11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91230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